$\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X VIII) -다릅나무(Maackia amurensis) 수피의 추출성분의 분리 및 항산화 활성-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 (X VIII) -Isol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emical Constituents from Maackia amurensis-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35 no.6 = no.147, 2007년, pp.135 - 144  

김우진 (충북대학교 임산공학과) ,  이학주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이상극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강하영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최돈하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최태호 (충북대학교 임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릅나무 수피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95% 에탄올로 추출하고 석유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동결건조시켰다. 디클로로메탄 가용부 및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를 Sephadex LH-20과 silica gel 6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TLC로 확인한 후 $^1H-$, $^{13}C-NMR$, COSY, NOESY, HMQC, HMBC 등의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정확한 구조를 구명하였고, FAB 및 EI-MS로써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기기분석 결과, 7-O-$\beta$-D-glucopyranosyl-4'-methoxyisoflavone, 7-O-$\beta$-glucopyranosyl(1'''->6'')-$\beta$-D-glucopyranosyl-4'-methoxyisoflavone, 7-O-$\beta$-D-glucopyranosyl(1''''->6''')-$\beta$-D-glucopyranosyl(1'''->6'')-$\beta$-D-glucopyransoyl-4'-methoxyisoflavone, 7-O-$\beta$-D-glucopyranosyl-4', 6-dimethoxyisoflavone으로 각각 동정하였다. 단리 물질의 항산화 활성DPPH법에 의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alpha$-tocopherol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BHT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ried barks of Maackia amurensis were ground, extracted with 95% EtOH, concentrated, and fractionated with a series of light petroleum ether,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and water on a separatory funnel. Each fraction was concentrated, then a portion of dichloromethane and ethyl acetate solu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다릅나무 추 출물의 성분을 단리하여 NMR, mass 등의 기 기분석에 의해 화학구조를 구명하였다. 또한, 항산화 활성 시험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ulesh, N. I., V. A. Denisenko, and O. B. Maksimov. 1995. Stilbenolignan from Maaekia Amurensis. Phytochemistry. 40(3): 1001-1003 

  2. Kulesh, N. I., O. B. Maksimov, V. A. Denisenko, and V. P. Glazunov. 2001. Isoflavonoids from Heartwood of Maacleia amurensis RUPR. ET MAXIM. Chemistry of Natural Compounds. 37(1): 29-31 

  3. Hwang, M. H., Y. S. Kwon, and C. M. Kim. 1997. Isoflavone Compound of the heartwood of Maackia fauriei. Yakhak Hoeji. 41(4): 444-449 

  4. Kim, S. M., Y. S. Cho, and S. K. Sung.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6): 626-632 

  5. Krishnaveni, K. S. and J. V. S. Rao. 1999. An isoflavone from Pterocarpus santalinus. Phytochemistry. 53: 605-606 

  6. Matsuura, N., R. Nakai, M. Iinuma, T. Tanaka, and K. Inoue. 1994. A prenylated flavanone from roots of Maaekia amurensis subsp. Buergeri. Phytochemistry. 36(1): 255- 256 

  7. Park, H. J., J. H. Park, J. O. Moon, K. T. Lee, W. T. Jung, S. R. Oh, and H. K. Lee. 1999. Isoflavone glycosides from the flowers of Pueraria tbunbergiana. Phytochemistry. 51: 147- 151 

  8. Rukachaisirikul, V., Y. Sukpondma, C. Jansakul, and W. C. Talyor. 2002. Isoflavone glycosides from Derris scandens. Phytochemistry. 60: 827-834 

  9. Tostes, J. B. F., A. J. R. Silva, and J. P. Parente. 1999. Isoflavone glycosides from Centrosema pubescens. Phytochemistry. 50: 1087-1090 

  10. Yadaba, R. N. and S. Kumar. 1999. A novel isoflavone from the stems of Ageratum conyzoides. Fitoterapia. 70: 475-477 

  11. Yenesew, A., J. O. Midiwo, M. Heydenreich, and M. G. Peter. 1998. Four Isoflavones from the Stem Bark of Erytbrina Sacleuxii. Phytochemistry. 49(1): 247- 249 

  12. Yoshida, T. K., M., T., Hatano, T., Okumura, I. Uehara, K. Komagoe, Y. Fujita, and T. Okuda. 1989. Stusdies on inhibition mechanim of autoxidation by tannins and flavonioids. V. Radicalscavenging effects of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n 1, 1-dipheny1-2-picryhydrazyl radical.Chem. Pharm. Bull. 3(7): 1919-1921 

  13. Barreno, A. F., J. F. Snchez, A. Barron, F. Corrrales, and I. Rodriguez. 1989. Resorcinol derivatives and other components of Ononis speciosa. Phytochemistry. 28: 161 -164 

  14. 김진규, 2006. 국내산 참나무속 수종의 수피와 잎의 추출성분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이창복, 1985.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 4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