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끼 아래눈물샘의 미세구조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Rabbit Inferior Lacrimal Glands 원문보기

한국전자현미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lectron microscopy, v.37 no.1, 2007년, pp.23 - 33  

박영희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안의태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고정식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박대균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김명수 (한서대학교 보건학부 방사선학과) ,  박경호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눈물샘은 주위환경으로부터 눈의 표면을 보호해주는 눈물막(tear film)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한다. 포유동물의 종에 따라 눈물샘의 구조와 구성요소는 차이가 있다. 포유류의 눈물샘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 즉, 위눈물샘 (superior lacrimal gland)과 아래눈물샘 (inferior lacrimal gland)으로 나눌 수 있다. 위눈물샘은 사람, 토끼, 개, 말, 낙타, 소등에 있는데, 안구의 위쪽에 위치하며, 아래눈물샘은 설치류, 토끼, 식충류 등에 존재하며, 안구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토끼는 두 종류의 눈물샘 즉, 위눈물샘과 아래눈물샘을 모두 갖고 있는 데, 본 실험에서는 아래 눈물샘의 전자현미경적 구조를 관찰하였다. 토끼의 아래 눈물샘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일반구조는, 눈물샘은 전체적으로 피막에 싸여있었고, 샘실질은 결합조직에 의해 소엽으로 나뉘어지고, 소엽에는 분비부, 소엽속관 및 소엽사이관이 있다. 샘포세포는 아주 좁은 속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사이관(intercalated duct)은 샘포와 소엽속관을 연결한다. 소엽속관은 단층의 입방상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출관인 소엽사이관이 결합조직 안에 잘 발달되어 있다. 눈물샘의 미세구조는 눈물샘 샘포세포는 피라밋형으로, 세포사이는 잘 발달된 연접복합체로 연접하였으며, 좁은 꼭대기 부분은 약간의 미세융모들이 샘의 내강쪽으로 향해 있다. 세포들의 가쪽면 사이에는 세포사이세관이 형성되었고, 그 속에도 상당수의 미세융모들이 관찰된다. 눈물샘분비세포는 세 종류로서 장액세포(serous cell), 장점액세포(seromucous cell)와 점액세포(mucous cell)로 이루어졌다. 장액세포는 샘포의 바닥 쪽에 많고, 세포질에는 전형적인 골지복합체와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 있으며, 둥글둥글한 소포상의 과립형질내세망이 특징적인 구조이다. 한편 장점액세포는 전형적인 납작한 과립형질내세망이 조밀하고, 리보소체도 많아서 매우 어둡게 보이며, 분비과립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장액분비과립, 미세먼지같은 중등도의 전자밀도를 지닌 과립, 전자밀도가 낮으며 가끔은 융합되는 점액 분비과립을 갖고 있다. 점액세포의 과립세포질세망은 세포질전체에 퍼져 있으며, 관모양의 사립체들이 드물게 관찰된다. 점액세포에서는 세 가지 종류의 분비과립 즉, 전자밀도가 낮은 분비과립, 전자밀도가 비교적 높으며 빈도가 낮은 과립과 중간정도의 전자밀도를 가진 과립이 있으며, 전자밀도가 낮은 과립은 서로 융합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과립세포질세망은 주로 세포의 바닥부분에 위치하며, 골지복합체는 세포의 중간부분인 핵상부에 주로 위치한다. 점액세포의 가쪽벽에는 세포사이공간이 있어 가쪽주름(lateral fold)과 내강에 미세융모를 지닌 세포사이세관(intercellular canaliculi)이 관찰된다. 분비관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들에는 세포질이 어두운 세포와 밝은 세포가 있었으며, 세포질내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 관찰되었다. 전체적인 특징은 눈물샘분비세포 중 장액세포의 것과 비슷하였으나, 과립의 크기는 작았다. 분비관을 구성하는 세포들 사이에도 연접복합체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었다. 샘포에서 사이관으로 이행되는 곳에서도 샘포세포와 사이관세포 사이에서도 연접복합체가 관찰되었다. 분비관세포의 분비과립 가운데는 중심부분에 전자밀도가 더 높은 중심을 가진 다른 모양의 과립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acrimal gland are compound tubule-acinar glands. The main lacrimal function is the production of the aqueous layer, the thickest and major constituent of the precorneal tear film. The lacrimal gland also has an important function in the defense system of the ocular surface, forming a part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토끼의 눈물샘의 구조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는 눈물샘에서 일어나는 자가면역질환 등의 원인 을 형태학적으로 비교분석하기 위한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 실험을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auregard C, Brandt PC: Down regulation of interleukin-1B-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lacrimal gland acinar cells by sex steroids. Current Eye Reserch 29 : 59-66, 2004 

  2. Botelho SY: Tears and the lacrimal gland. Sci Am 211 : 78-86, 1964 

  3. Draper CE, Adeghate EA, Singh J, Pallot DJ: Evidence to Suggest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Alterations of Lacrimal Gland Acini with Ageing. Exp Eye Res 68 : 265-276, 1999 

  4. El-Mofty SK, Kahn AJ: Early membrane injury in lethally irradiated salivary gland cells. Int J Radiat Biol Relat Stud Phys Chem Med 39 : 55-62, 1981 

  5. Hakim SG, Geerling G, Lauer I, Sieg P: Scintigraphic Evaluation of Lacrimal Glands Using a Rabbit Experimental Model. Ophthalmic Res 34 : 254-257, 2002 

  6. Hand AR, Oliver C: Relationship between the Golgi apparatus, GERL, and secretory granules in acinar cells of the rat exorbital lacrimal gland. J Cell Biol 74 : 399-413, 1977 

  7. Hodges RR, Dartt DA: Regulatory pathways in lacrimal gland epithelium. Int Rev Cytol 231 : 129-196, 2003 

  8. Ichikawa M, Ichikawa A: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histochemistry of the serous secretory granules in the salivary glandular cells of the mongolian gerbil (Mongolian meridanus) and rhesus monkey (Macaca irus). Anat Rec 189 : 125-139, 1977 

  9. Marcos HJA, Ferrari CC, Cervino C, Affanni JM: Histology, Histochemistry and Fine Structure of the Lacrimal and Nictitans Glands in the South Americal Armadillo Chaetophractus villosus (Xenarthra, Mammalia). Exp Eye Res 75 : 731-744, 2002 

  10. Molina R, Provost TT, Arnett FC, Bias WB, Hochberg MC, Wilson RW, Alexander EL: Primary Sjogren's syndrome in Men. Clinical, serologic and immunogenetic features. Am J Med 80 : 23-31, 1986 

  11. Ohashi YM, Motokura M, Kinoshita Y, Mano T, Watanabe H, Kinoshita S, Manabe R, Oshiden K, Yanaihara C: Presence of epidermal growth factor in human tears. Invest Ophtalmol Vis Sci 30 : 1879-1982, 1989 

  12. Parks HF: On the fine structure of the parotid gland of mouse and rat. Am J Anat 108 : 303-329, 1961 

  13. Putney JW Jr, VandeWalle CM, Leslie BA: Stimulus-secretion coupling in the rat lacrimal gland. Am J Physiol 235 : C188-198, 1978 

  14. Sakai T: Major ocular glands (Harderian gland and lacrimal gland) of the musk shrew (Suncus murinus) with a review on the comparative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mamalian lacrimal glands. J Morphol 201 : 39-57, 1989 

  15. Sampson HW, Bowers DE, Cannon MS, Piscopo I: Intracellular calcium localization in stimulated and non-stimulated extraorbital lacrimal glands of rats. Tissue Cell 14 : 735-749, 1982 

  16. Schontahal AH, Warren DW, Stevenseon D, Schecter JE, Azzarolo AM, Mircheff AK, Trousdale MD: Proliferation of Lacrimal Gland Acinar Cells in Primary Culture. Stimulation by Extracellular Matrix, EGF, and DHT. Exp Eye Res 70 : 639-649, 2000 

  17. Sjogren H, Bloch KJ: Keratoconjunctivitis sicca and the Sjogren syndrome. Survey Ophthal 16 : 145-159, 1971 

  18. Stephens LC, King GK, Peters LJ, Ang KK, Schultheiss TE, Jardine JH: Acuto and late radiation injury in rhesus monkey parotid glands. Evidence of interphase cell death. Am J Pathol 124 : 469-478, 1986 

  19. Stephens LC, Schultheiss TE, Price RE, Ang KK, Peters LJ: Radiation apoptosis of serous acinar cells of salivary and lacrimal glands. Cancer 67 : 1539-1543, 1991 

  20. Sullivan DA, Allansmith MR: Hormonal modulation of tear volumn in the rat. Exp Eye Res 42 : 131-139, 1986 

  21. Sullivan DA, Bloch KJ, Allansmith MR: Hormonal influence on the secretory immune system of the eye: androgen control of secretory component production by the rat exorbital lacrimal gland. Immunol 52 : 234-246, 1984a 

  22. Sullivan DA, Bloch KJ, Allansmith MR: Hormonal influence on the secretory immune system of the eye: androgen regulation of secretory component levels in rat tears. J Immunol 132 : 1130-1135, 1984b 

  23. Sullivan DA, Bloch KJ, Allansmith MR: Hormonal influence of the secretory immune system of the eye: endocrine interactions in the control of Ig A and secretory component levels in tears of rats. Immunol 60 : 337-343, 1987 

  24. van Setten GB, Tervo K, Viranen I: Immunohistochemical demonstr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in the lacrimal and submandibular glands of rats. Acta Ophtanlmol (Copenh) 68 : 477-480, 1990 

  25. Yoo SJ, Kim JG, Park KH, Ko JS, Ahn ET, Yang NG: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secretory duct of parotid gland of the head-irradidated rat. J Korean Cancer 26 : 311-321, 1994.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