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기오염 노출이 첫 출산아 저체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1999년~2003년 출생코호트를 중심으로-
Air Pollution Exposure and Low Birth Weight of Firstborn Fetus -A Birth Cohort Study in Seoul, 1999-2003-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3 no.4 = no.97, 2007년, pp.227 - 234  

조용성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손지영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이종태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epidemiologic studies show that gestational exposure to air pollution adversely affects pregnancy outcomes including low birth weight in preform birth.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air pollutants on LBW (low birth weight) on firstborn fetus throughout the gestational period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9% 변화하였다고 보고하였다. 33)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잘못된 분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출생자료에서 산모의 거주지 주소와 등록지 주소가 같은 출산자료만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기간인 1999년 1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까지 태어난 총 첫 출산아는 316, 451명에서 산모의 거주지 주소와 등록지 주소가 동일한 첫 출산아 288, 34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91.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1999년부터 2003년까지의 출생코호트 중 대기오염에 더 위해할 것으로 예상되는 첫 출산아만을 대상으로, 임신 분기별 대기오염 노출이 첫 출산아 저체중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1999년에서 2003년까지의 서울지역 출생 코호트를 대상으로 대기오염이 첫 출산아 저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로서 연구결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산모의 연령이 미성년이거나 노산인 경우에 첫 출산아 중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 산모의 임신분기별 대기오염물질 수준 확인 및 대기오염 노출에 따른 저체충아 출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임신분기를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임신 1분기는 태아의 착상 및 태반 형성이 이루어지는 시기로서 본 연구에서는 임신 이후부터 12주까지로 구분하였으며, 임신 2분기는 태아의 잇몸내 치아생성 시작 및 생식기관의 확인이 가능한 시기로서 임신 13주부터 26주까지, 그리고 임신 3분기는 태아의 모든 기관의 성장에 따라 체중이 증가하는 시기로서 임신 27주부터 출생까지로 구분하였다
  • 생존아수 등에 관한 기록이 제공되어 있었다. 이러한 출생자료는 저체중아 출생 결과와 분석 모델에 포함될 잠재적인 영향인자들을 확인하는데 이용되었다. 제태 기간이나 신생아 체중에 대한.

가설 설정

  • Fig. 2는 산모의 대기 중 일산화탄소 노출 수준과 첫 출산아 중 저체중아의 체중 위해도 변화간의 관계를 비모수 적인 방법을 통해 살펴본 나타낸 그림으로서, 산모의 일산화탄소 노출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첫 출산아 중 저체중아의 체중 위해도의 변화가 비교적 선형적으로 감소함을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가정한 대기오염 노출과 신생아의 체중 변화가 역선형성이 타당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기 중 일산화탄소 노출 수준의 전 범위에 걸쳐 이러한 역선형성이 나타난다는 의미는 대기오염 수준의 저감을 통해 첫 출산아 중 저체중아의 체중증가 및 정상아로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Dominici, F., McDermott, A., Daniels, M., Zeger, S. L. and Samet, J. M. : Mortality among residents of 90 cities. Revised analyses of time-series studies of air pollution and health. In: Health Effects Institute, Boston, MA, 2003 

  2. Dockery, D. W., Speizer, F. E., Stram, D. O., Ware, J. H ., S pengler, J . D. and Ferris, B. G. : Effects of inhalable particles on respiratory health of children. The American Review of Respiratory Disease, 139, 587-594, 1989 

  3. Katsouyanni, K., Touloumi, G., Spix, C., Schwartz, J., Balducci, F., Medina, S., Rossi, G., Wojtyniak, B., Sunyer, J., Bacharova, L., Schouten, J. P., Ponka, A. and Anerson, H. R. : Short term effects of ambient sulphur dioxide and particulate matter on mortality in 12 European cities : results from time series data from the APHEA project. British Medical Journal, 314, 1658-1663, 1997 

  4. 조용성, 이종태, 손지영, 김윤신 : 메타분석을 적용한 전국 7개 대도시의 대기오염과 일일사망발생의 상관성 연구(1998년-2001년).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2, 304-315, 2006 

  5. Park, J. and Bae, H. : Assessing the health benefits of the Seoul air quality management plan using Ben-MAP.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32, 207-214, 2006 

  6. 서원호, 장성실, 권호장 : 대전지역 대기오염물질 농도와 천식 환자수의 관련성.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6, 80-90, 2000 

  7. Schwartz, J. : What are people dying of on high air pollution days? Environmental Research, 64, 26-35, 1994 

  8. Lee, J. T., Kim, H., Song, H., Hong, Y. C., Cho, Y. S., Shin, S. Y., Hyun, Y. J. and Kim, Y. S. : Air pollution and asthma among children in Seoul, Korea. Epidemiology, 13, 481-484, 2002 

  9. Lee, J. T., Kim, H., Cho, Y. S., Hong, Y. C., Ha, E. H. and Park, H. : Air pollution and hospital admissions for ischemic heart disease among individuals 64+ years of age residing in Seoul, Korea. Archives of Environmental Health, 58, 617-623, 2003 

  10. Glinianaia, S. V., Rankin, J., Bell, R., Pless-Mulloli, T. and Howel, D. : Does particulate air pollution contribute to infant death? A systematic review.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2, 1365-1370, 2004 

  11. Miller, J. E. : Birth outcomes by mother's age at first birth in the Philippines. International Family Panning Perspectives, 19, 98-102, 1993 

  12. Kramer, M. S., Olivier, M., McLean, F. H., Dougherty, G. E., Willis, D. M. and Usher, R. H. : Determinants of fetal growth and body proportionality. Pediatrics, 86, 18-26, 1990 

  13. Joseph, K. S. and Kramer, M. S. : Recent trends in Canadian infant mortality rates - effect of changes in registration of live newborns weighing less than 500 g.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55, 1047-1052, 1996 

  14. Su, S., Ding, H. and Wang, X. : Acute effects of total suspended particles and sulfur dioxides on preterm delivery: a community-based cohort study. Archives of Environmental Health, 50, 407-415, 1995 

  15. Ritz, B. and Yu, F. : The effect of ambient carbon monoxide on low birth weight among children born in Southern California between 1989 and 1993.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07, 17-25, 1999 

  16. Maisonet, M., Correa, A., Misra, D. and Jaakkola, J. K. :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effects of ambient air pollution on fetal growth. Environmental Research, 95, 106-115, 2004 

  17. Chen, L., Yang, W., Jennison, B. L., Goodrich, A. and Omaye, S. T. : Air pollution and birth weight in northern Nevada, 1991-1999. Inhalation Toxicology, 14, 141-157, 2002 

  18. Wilhelm, M. and Ritz, B. : Local variations in CO and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adverse birth outcomes in Los Angeles county, California, USA.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3, 1212-1221, 2005 

  19. Dugandzic, R., Dodds, L., Stieb, D. and Smith-Doiron, M. : The association between low level exposures to ambient air pollution and term low birth weight: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Environmental Health: A Global Access Science Source, 5, 1-8, 2006 

  20. Lee, B. E., Ha, E. H., Park, H. S., Kim, Y. J., Hong, Y. C., Kim, H. and Lee, J. T. : Exposure to air pollution during different gestational phases contributes to risks of low birth weight. Human Reproduction, 18, 638-643, 2003 

  21. Mathews, T. J. and MacDorman, M. F. : Infant mortality statistics from the 2003 period linked birth/infant death data set.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s, 54, 1-32, 2006 

  22. Ritz, B., Yu, F., Chapa, G. and Gruin, S. : Effect of air pollution on preterm birth among children born in Southern California between 1989 and 1993. Epidemiology, 11, 502-511, 2000 

  23. Maisonet, M., Bush, T. J., Correa, A. and Jaakkola, J. J. K. : Relation between ambient ambient air pollution and low birth weight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09(s3), S351-S356, 2001 

  24. Ha, E. H., Hong, Y. C., Lee, B. E., Woo, B. H., Schwartz, J. and Christiani, D. C. : Is air pollution a risk factor for low birth weight in Seoul? Epidemiology, 12, 643-648, 2001 

  25. Guinness World Records, 2004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10th revis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1992 

  27. Mittendorf, R., Williams, M. A., Berkey, C. S. and Cotter, P. F. : The length of uncomplicated human gestation. Obstetrics and Gynecology, 75, 929-32, 1990 

  28. Gabrielli, A., Layon, A. J. and Callarher, T. J. : Carbon monoxide intoxication during pregnancy: a case presentation and pathophysiologic discussion, with emphasis on molecular mechanisms. 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7, 82-87 

  29. Longo, L. D. : The biological effects of carbon monoxide on the pregnant women, fetus, and newborn infant.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29, 69-103, 1977 

  30. Mathews, T. J., Menacker, F. and MacDorman, M. F. : Infant mortality statistics from the 2001 period linked birth/infant death data set.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s, 52, 2003 

  31. Adair, L. S. and Popkin, B. M. : Birth weight, maturity, and proportionality in Filipino Infants. Human biology, 60, 319-339, 1988 

  32. Kramer, J. S. : Intrauterine growth and gestation determinants. Pediatrics, 80, 502-511, 1987 

  33. Canfield, J. A., Ramadhani, T. A., Langlois, P. H. and Waller, D. K. : Residential mobility patterns and exposure misclassification in epidemiologic studies of birth defects. Journal of Exposure Science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16, 538-543,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