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수면, 신체계측, 영양소섭취 상태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among Life Stress, Sleep,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7, 2007년, pp.840 - 848  

성민정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경자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수면, 신체계측, 영양소섭취 상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와 신체계측 및 체성분 검사,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의 평균 수면 시간은 남학생 7.0시간, 여학생 7.1시간이었고, 수면 점수는 남학생 40.6${\pm}$5.7, 여학생 41.5${\pm}$5.3으로 수면 시간과 수면 점수에 있어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면과 생활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에서 남녀 모두에게 수면 시간은 생활 스트레스의 수준(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 스트레스 점수)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면의 질을 나타내는 수면 점수와 생활 스트레스 수준(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 스트레스 점수)을 살펴보았을 때, 남녀 모두에게 생활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간에 매우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p<0.01) 수면의 양보다는 수면의 질이 생활 스트레스와 더 상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생활 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점과 신체계측 간에 상관성을 보았을 때 남학생은 생활 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점과 신체계측 및 체성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학생은 생활 스트레스 경험빈도, 총점이 신체발달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남학생의 경우 경제 문제와 신체계측과의 상관관계에서 체중(p<0.05), 허리둘레(p<0.05), 엉덩이둘레(p<0.05)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학생은 이성 문제에 대한 스트레스와 BMI(p<0.05), 체지방률(P<0.01), 복부지방률(p<0.01), 비만도(p<0.05) 간에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친구 문제와 BMI(p<0.05), 비만도(p<0.05), 엉덩이둘레(p<0.05)간에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학업 문제에서 체지방률(p<0.05), 복부지방률(p<0.05)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영양소 섭취량과 생활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에서 몇몇 영양소와 생활스트레스 간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생활 스트레스 원인별로 그 양상이 달랐다 남학생은 대체로 동물성 식품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영양소인 칼슘, 철분 등과 생활 스트레스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는 수면의 양보다는 수면의 질과 상관성이 있었으며 체성분, 영양소 섭취상태와도 상관성을 보였다. 생활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처하는데 올바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확립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운동, 자신이 좋아하는 취미활동 하기, 상담제도 이용 등의 올바른 생활스트레스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과 바람직한 식생활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ress levels, sleep,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nutrient intakes their correlations of college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stress scores using a stress test, sleep scores using a sleep test, anthropometric measurement, body composi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활 스트레스와 수면, 신체계측, 영양소섭취 상태와의 상호 관련성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an KS. 2005. Self 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Acad Nurs 35: 585-592 

  2. Cho HJ, Choi SD, Lee OY, Cho DY, Yu BY. 2001.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BEFSI-K score of the adolescent in an urban area. J Korean Acad Fam Med 22: 698-707 

  3. Kim DS, Chung YS, Park SK. 2004.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hormone, salivary cortisol level and stress score by self-report measurement. Korean J Health Psychology 9: 633-645 

  4. Kim JG, Kim JM, Choi MK. 2003. A study on the stress and dietary life of office workers in seou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413-422 

  5. Fuller J, Schaller-Ayers J. 2000. Health assessment: A nursing approach. Lippincott, Philadelphia 

  6. Owens JF, Matthews KA. 1998. Sleep disturbance in healthy middle-aged women. Maturitas 30: 41-50 

  7. Sung MJ, Chang KJ. 2006. Correlations among life stress, dietary behaviors and food choice of college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655-662 

  8. Kerimova MG, Bagirova BA. 1988. Effect of diet corrected for protein, fat and vitamin content on indices of the protective strength of the body in young people during exams. Vopr Pitan 1: 28-32 

  9. Kim KH. 1999. A survey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nutrient intake in adults. Korea J Dietary Culture 14: 507-515 

  10. Kim KH. 2000.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nutrient intake statu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5: 387-397 

  11. Kim YO. 2003. Food and nutrient consumption patterns of Korean adults based on their levels of self reported stres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 340-348 

  12. Yoon HS. 2006. An assessment on the dietary attitudes, stress level and nutrient intakes by food record of food and nutrition 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 J Nutr 39: 145-159 

  13. Chon KK, Kim KH, Yi JS. 2000.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 Health Psychology 5: 316-335 

  14. Oh JJ, Song MS, Kim SM.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 Korean Acad Nurs 28: 563-572 

  15.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6. Min SH, Oh HS, Kim JH. 2004. Dietary behaviors and perceived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19: 158-169 

  17. Kim JH, Oh HS, Min SH. 2004. Health life behavior and perceived stress of university studf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207-216 

  18. Chung HC, Chang KJ. 2006. Body composition of male college students by standard guideline for Korean dietar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261-271 

  19. Chung HC, Chang KJ. 2006. Body compos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rough practice by standard guideline for Korean dietary lif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251-260 

  20. Lee MS, Kwak CS. 2006.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quality of diets and dietary habit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daeje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 39-51 

  21. Sim SJ, Park HS. 2004. The cut-off values of body fat to identify cardiovascular risk among Korean adults. Korean J Obesity 13: 14-21 

  22. Park YW. 2001. Evaluation of abdominal obesity. Korean J Obesity 10: 297-305 

  23. Kim MK, Shin DS, Wang SK. 1995. Effect of the nutrient intakes on psychosocial stress. Korean J Dietary Culture 10: 405-4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