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상용 과일과 채소의 계절별 영양성분 변화 : 수분, 단백질, 지방, 아스코르브산, 베타-캐로틴 함량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 in Korean fruits and vegetables : Examining water, protein, lipid, ascorbic acid, and ${\\beta}-carotene$ cont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3 no.4, 2007년, pp.423 - 432  

김미정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주현 (한국식품영양재단) ,  오현경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문정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선희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산물 중 한국인이 주로 많이 섭취하는 채소나 과일을 중심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 계절 간 성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4 계절에 모두 구입 가능하면서 섭취빈도가 높은 과일 4종, 채소 17종 총 21종을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별로 구입하여 그 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식품재료는 가식 부위만을 손질하여 약 30-60 g을 택하여 $-50^{\circ}C$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가 24시간 후 동결건조 시켜 분말로 만든 다음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영양소는 채소나 과일이 함유하고 있는 주요 영양성분으로 비타민 중 비타민 C와 베타 캐로틴(${\beta}-carotene$)을 HPLC로 분석하였으며 수분함량 및 지방과 단백질 함량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분석한 4종의 과일은 대개 84-89%의 수분을 함유하였으며, 채소는 과일보다는 더 많은 수분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한 채소 중에서는 오이가 가장 수분 함유율이 높았다. 과일 중에 사과 및 배의 경우에는 봄, 여름에 가을, 겨울에 비해 수분 함량이 많은 경향을 보였으며 귤과 딸기는 계절별 수분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다. 채소 중에서는 양파의 경우 여름 겨울에 봄가을에 비해 수분함량이 적었으며, 시금치는 여름에 가을에 비해 수분함량이 많았으며 가을, 겨울, 봄, 여름의 순서로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다. 2. 식품별 단백질 함량은 본 연구에서 분석한 식품에서는 2% 미만이었는데, 과일은 1% 미만이었으며 채소에서는 시금치, 꽃상추, 상추, 냉이, 콩나물, 깻잎, 양송이가 1%를 넘었다. 가을철 과일인 사과, 배, 귤의 경우 봄철에 가장 단백질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금치는 겨울철에 당근은 가을철에 단백질 함량이 많았고, 깻잎은 여름과 겨울에 많았고, 상추는 봄과 겨울에 단백질 함량이 더 많았다. 3. 지방 함량을 보면, 과일의 경우 귤이 사과나 배보다는 지방이 많았으며 채소에서는 콩나물이 1% 이상의 지방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에서 오이, 시금치, 깻잎, 풋고추, 브로콜리, 양송이는 겨울철에 더 많은 지방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비타민의 경우, 귤은 사과나 배보다는 많은 양의 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가을과 겨울의 사과, 배, 귤에는 봄이나 여름보다는 다량의 아스코르빈산${\beta}-carotene$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채소에는 과일보다는 전반적으로 더 많은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가을이나 겨울철의 배추나 무에는 봄과 여름철에 비해 더 많은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른 채소의 경우에는 배추와 무만큼의 뚜렷한 계절별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채소 중에서는 시금치, 당근, 냉이, 깻잎, 미나리, 브로콜리가 다량의 ${\beta}-carotene$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깻잎과 당근의 함유량이 많았다. 호박, 시금치, 풋고추와 같은 채소는 다른 계절에 비해 겨울에 ${\beta}-carotene$ 함유량이 많으나 식품에 따라 계절별 차이는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과일과 채소의 경우에 제철에 다른 계절에 비하여 주성분이라고 할 수 있는 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의 함량이 더 많으며 특히 한국의 전통적인 식재료라 할 수 있는 배추와 무의 경우에 가을과 겨울에 더 많은 양의 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을 함유하므로 경제적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asonal variations in water, protein, lipid, ascorbic acid, and ${\beta}-carotene$ contents of 17 vegetables and 4 fruits that are available all the year round and frequently consumed by Koreans. The water contents of the fruits ranged fro...

주제어

참고문헌 (25)

  1. Cha HS, Hong SI, Chung MS. 2003. Changes in mineral and pectic substances of Korean mature-green mume fruits packaged in plastic films with gas absorbent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 149-154 

  2. Choi YH, Han JS. 2001. Vitamin C and Mineral Contents in Perilla Leaves by Leaf age and Storage Conditions. Korean J Food & Cookery Sci 17(6): 583-588 

  3. Cho JS. 1984. Food Materials 8th ed. Moonwoondang, Seoul. pp 139-184 

  4. Jeong CH, Kim JH, Shim GH. 2006. Chemical components of yellow and red on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6): 708-712 

  5. Kang GH, Rho BS, Seo JH, Huh WD. 1998. Food Analysis.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Seoul. pp129-130 

  6. Kim GH. 1982. Science of Soybean, Tofu and Bean Sprout.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Seoul. pp 200-203 

  7. Kim MR, Jhee OH, Park HY, Chun BM. 2002. Characteristics of salted radish cubes at different seas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1): 1-7 

  8. Kim MR. Park HY, Chun BM. 2001. Characteristics of Kakdugi radish cube by autumn cultivars during salt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1): 25-31 

  9. Kim SO. 1985. Wilting phenomena and vitamin C content of spinach during consignment. J Korean Soc Food Nutr 14(1): 23-26 

  10.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0. Database of Nutrient Analysis Data in foo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11. Korean Society of Food Sci Technol. 1977. Cumul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s of Korean Foods. 2: 112-153 

  12. Korean Society of Food Sci Technol. 1984. Cumul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s of Korean Foods. 3: 72-116 

  13. Korean Society of Food Sci Technol. 1989. Cumul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s of Korean Foods. 4: 84-115 

  14. Kye SH, Lee JD, Paik HY. 1993. Analysis of ascorbic acid contents in raw, processed and cooked foods by HPLC, Korean Home Economics 31(4): 201-208 

  15. Lee HS, Castle WS. 2001. Seasonal changes of carotenoid pigments and color in hamlin, earlygold, and budd blood orange juices. J Agric Food Chem 49: 877-882 

  16. Lee NK, Yoon JY, Lee SR. 1995. Changes in heavy metals and vitamin C content during the storage of canned bottled orange ju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5): 742-747 

  17. Lee YC. 1983. Effect of ethephon treatment on vitamin and mineral contents of fresh tomato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5(4): 409-413 

  18. Lee YC. 1984. Effect of ripening methods and harvest time on vitamin content of tomato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6(1): 59-65 

  19.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2001. RDA. Food Composition Table. 6th ed. Sanglocksa, Seoul 

  20. Park WB, Kim DS. 1995. Changes of contents of $\beta$ -carotene and vitamin 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juice of Angelica keiskei Koidz stored at different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3): 375-379 

  21. Shin HJ. 1990. The efficient analysis test method of protein. Korean J Food & Nutrition 13(2): 207-210 

  22. Song JC. 1992. Food Materials. Gyomunsa. Seoul. pp 272-283 

  23. Stahl W, Schwarz W, Sundquist AR, Sies H. 1992. Cis-trans isomers of lycopene and ${\beta}$ -carotene in human serum and tissues. Arch Biochem Biophysics 294(1): 173-178 

  2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7th revision. Chungangmunwhasa, Seoul 

  25. USDA. 2003. USDA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Release 15. USDA,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