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사회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on the Levels of Self-Efficacy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8 no.5, 2008년, pp.704 - 711  

박현숙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배성우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이영 (대구재활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provided by a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 on the levels of self-efficacy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We followed the study subjects for 2 yr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회 복귀시설에서 제공하는 정신사회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 인의 구체적인 효능감(질병 관리를 위한 규칙적인 운동, 효율적인 스트레스 관리, 다양한 음식섭취 등)과 일반적 효능감(계획 설정 및 목표 설정,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자신감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주장을 바탕으로 사회복귀시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고자 하는 이유는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 향상의 중요성 때문이다.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시설 이용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기간은 2004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였으며, 실험집단은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18명, 비교집단은 시설을 이용하지는 않고 주 1회 재가방문서비스를 받은 정신장애인 17명이었다.
  • 본 연구는 정신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유사 실험설계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시기(사전검사, 1 년 후 검사, 2년 후 검사)와 집단(실험집단, 비교집단)이며, 집단은 집단 간 변인이고, 시기는 집단 내 변인이며, 종속 변인은 자기 효능감이 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귀시설에서 2년간 제공한 정신사회 재활 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귀시설에서 제공하는 정신사회 재활 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회 복귀시설에서 제공하는 정신사회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 인의 구체적인 효능감(질병 관리를 위한 규칙적인 운동, 효율적인 스트레스 관리, 다양한 음식섭취 등)과 일반적 효능감(계획 설정 및 목표 설정,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자신감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 , 2001)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정신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경험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1. 정신사회재활서비스를 받은 집단은 비교집단보다 구체적 효능감이 높을 것이다.
  • 가설 1-2. 정신사회재활서비스를 받은 집단은 비교집단보다 일반적 효능감이 높을 것이다.
  • 1. 정신사회재활서비스를 받은 집단은 비교집단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 H. S., & Lee, E. J. (2005). The efficacy of stress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Korean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8, 129-148 

  2. Bae, S. W. (2001). Ethnicity and treatment outcomes from community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A longitudinal and multi-dimensional approa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os Angeles, USA 

  3. Bae, S. W., & Kim, Y. Y. (2005).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provided by a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 on the quality of life outcomes for the mentally ill.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0, 69-94 

  4. Bandura, A., & Wood, R. (1989). Effect of perceived controllability and performance standards on self-regulation of complex decision ma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 805-814 

  5. Bracke, P. (2001). Measur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eople in a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 and a residential psychiatric setting: The outline of the study and the measurement properties of a multidimensional indicator of well-being.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24, 222-236 

  6. Brekke, J. S., Ansel, M., Long, J., Slade, E., & Weinstein, M. (1999). Intensity and continuity of services and functional outcomes in the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schizophrenia. Psychiatric Ser-vices, 50, 248-256 

  7. Brekke, J. S., & Long, J. (2000). Community-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and prospective change in functional, clinical, and subjective experience variables in schizophrenia. Schizophrenia Bulletin, 26, 667-680 

  8. Choi. B. S. (2001). The effect of after care program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ttending outpatients depar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9. Clarkin, J. F., Carpenter, D., Hull, J., Wilner, P., & Glick, I. (1998). Effects of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for marrie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and their spouses. Psychiatric Services, 49, 531-533 

  10.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Erlbaum 

  11. Durbin, J., Perndergast, P., Dewa, C. S., Rush, B., & Cooke, R. G. (2003). Mental health program monitoring: Towards simplifying a complex task.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26, 249-261 

  12. Eklund, M., Hansson, L., & Bejerholm, U. (2001).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with occupational factors and health related variables in schizophrenia outpatient.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36, 79-89 

  13. Han, K. S., Im, H. S., Yang, B. K., Chung, H. K., & Suh, Y. J. (2005). Effects of assertive training on interpersonal relations, social behavior, and psychiatric symptoms in patients with a mental disor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896-903 

  14. Kang, D. G. (2007). Analysis of motivation for change of the person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effectiveness of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5. Kang, S. K. (2007). Perception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treatment environment and coping behavior: The role of self-efficacy.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7, 152-175 

  16. Kim, C. K., Kwang, D. H., Cho, J. S., Shim, K. S., Ha, J. S., Byun, W. T., et al. (1997). Effect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for schizophrenia 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Mental Health Services, 2, 53-67 

  17. Kim, H. J. (2005). Effects of prevocational education program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person with psychiatric disability. Korean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8, 151-168 

  18. Kim, Y. Y. (2004).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services and their impact on rehabilitation outcomes: Six month follow up. Korean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6, 5-26 

  19. Kim, Y. Y. (2005). The efficacy of basis education(medication management, symptom management, stress management, conversation skill training, daily living skill training) for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Korean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8, 91-107 

  20. Kim, Y. Y., Park, H. S., & Park, K. M. (2006). The effects of a recovery education program on rehabilitation motivation, symptoms, and function for schizophren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542-550 

  21. Lee, K. S. (2005). Effect of health-oriented social skills training on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in schizophrenics. Korean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8, 109-128 

  22. Park, H. S., Kim, T. K., Kim, H. M., Son, K. H., Lee, H. K., Jeon, S. S., et al. (2008).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Contemporary practice. Seoul: Hyunmoon Co. 

  23. Park, S. G. (1999). Effect of perspective-oriented social skills training on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in schizophren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24. Rho, E. S. (200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quality of life model of schizophrenic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5. Rho, E. S., Kwon, H. J., & Ryu, E. J. (2001). A study 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schizophren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912-920 

  26. Robinson, D., Woerner, M., & Schooler, N. (2000). Intervention research in psychosis: Issues related to clinical assessment. Schizophrenia Bulletin, 26, 551-556 

  27. Scott, J. E., & Dixon, L. B. (1995).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schizophrenia. Schizophrenia Bulletin, 21, 621-630 

  28. Seo, Y. M. (2002). Meta-analysis of p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about schizophrenia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29. Yildiz, M., Veznedaroglu, B., Eryavux, A., & Kayahan, B. (2004). Psychosocial skills training on social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A controlled study in Turkey.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ic in Clinical Practice, 8, 219-2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