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 생산 양파종의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분석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Domestic Onions Harvested in Various Reg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2, 2008년, pp.1609 - 1614  

이희영 (국립산림과학원 환경소재공학과) ,  정은정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선영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민숙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우진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  김희대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양파연구소) ,  차용준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주요 생산지인 전남 무안, 전북 부안, 경북 안동 및 경남 창녕의 3개 지역(유어, 장마, 성산)에서 수거된 양파 6종의 휘발성향기성분을 SPME법으로 추출하여 GC/MSD 로 분석하였다. 총 51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이는 함황화합물류(20종), 알데히드류(4종), 케톤류(5종), 에스테르류(11종), 방향족화합물류(4종), 함질소화합물류(2종) 및 기타화합물류(5종)로 구성되었다. 함황화합물류가 총 휘발성 향기성분 함량의 $62.6{\sim}80.3%$를 차지하였으며, 함량 면에서는 안동(4,828 ng/g), 부안(4,627 ng/g), 유어(4,149 ng/g), 장마(2,979 ng/g), 성산(2,758 ng/g) 및 무안(2,171 ng/g) 순으로 많았다(p<0.05). 항산화효과가 있는 5종의 함황화합물류 (2,4-, 2,5-dimetylthiophene, 2-vinyl-1,3-dithiane, 5-methoxy thiazole, 3,5-diethyl-1,2,4-trithiolane)는 안동, 유어, 장마, 부안, 성산 및 무안 순이었고, 항암효과가 있는 함황화합물류 5종((Z)-, (E)-methyl propenyl disulfide, (Z)-, (E)- propenyl propyl disulfide, di-2-propenyl disulfide)은 부안, 유어, 안동, 장마, 성산 및 무안 순으로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ovide scientific information for processing of value-added products from onion,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compared in onions harvested in 6 regions, such as Muan (Jeonnam), Buan (Jeonbuk), Andong (Gyeongbuk), and 3 regions of Gyeongnam around Changnyeong (Yueo, Jangma, Seongsan). A total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으로 양념채소류 수급동향 전망에서 2006~2015년까지 마늘 소비는 감소하는 반면 양파, 대파 등의 소비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고(10), 매년 생산량과 소비량이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산지별에 따른 양파의 품질특성 비교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고 품질 및 기능적으로 우수한 양파를 공급하는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양파생산량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수확된 양파를 선정하여, 품질특성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 비교하였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국내 주요 생산지(6개 지역)에서 수거된 양파의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몇 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는가? 국내 주요 생산지(6개 지역)에서 수거된 양파의 향기성분을 SPME법으로 추출하여 GC/MSD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총 51종이 동정되었는데, 이는 함황화합물류(20종), 알데히드류(4종), 케톤류(5종), 에스테르류(11종), 방향족화합물류(4종), 함질소화합물류(2종) 및 기타화합물류(5종)로 구성되었다.
양파에서 생리적 유용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물질 중 하나인 함황 화합물의 생성경로는? 양파(Allium cepa)는 재배 역사가 긴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특징적인 향과 건강에 유익함으로 인해 오래전부터 식품, 향신료 및 약재 등에 널리 이용되어져 왔다(1). 특히 양파에서 생리적 유용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물질 중의 하나로 알려진 함황 화합물의 생성경로를 보면, 무향무취 비휘발성 cysteine 유도체 (+)-S-alk(en)yl-L-cysteine sulfoxides(ACSO)의 조직파괴에 의해 액포 내 존재하는 alliinase(S-alk(en)ly-L-cysteine sulfoxide lyase; E.C. 4.4.1.4)가 작용하여 가수분해 되면서 피루브산, 암모니아 및 휘발성 함황 화합물이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2,3).
양파는 오래전부터 어디에 널리 이용돼 왔는가? 양파(Allium cepa)는 재배 역사가 긴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특징적인 향과 건강에 유익함으로 인해 오래전부터 식품, 향신료 및 약재 등에 널리 이용되어져 왔다(1). 특히 양파에서 생리적 유용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물질 중의 하나로 알려진 함황 화합물의 생성경로를 보면, 무향무취 비휘발성 cysteine 유도체 (+)-S-alk(en)yl-L-cysteine sulfoxides(ACSO)의 조직파괴에 의해 액포 내 존재하는 alliinase(S-alk(en)ly-L-cysteine sulfoxide lyase; 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나우현. 2000. 마늘, 파, 양파. 오성출판사, 서울. p 242-243 

  2. Virtanen A, Spare CG. 1961. Isolation of the precursor of the lachrimatory factor in onion (Allium cepa). Suomen Kemistilehti B 34: 72-74 

  3. Moisio T, Space CG, Virtanen AI. 1962. Mass spectral studies of the chemical nature of the lachrymatory factor formed enzymically from S-(1-propenyl)-cysteine sulfoxide isolated onion (Allium cepa). Suomen Kemistilehti B 35: 29 

  4. Block E. 1992. The organosulfur chemistry of the genus Allium-implications for the organic chemistry of sulfur. Angew Chem Int Ed Engl 31: 1135-1178 

  5. Randle WM. 2000. Increasing nitrogen concentration in hydroponic solutions affects onion flavor and bulb quality. J Am Soc Hort Sci 125: 254-259 

  6. Rose P, Whiteman M, Mooreb PK, Zhu YZ. 2005. Bioactive S-alk(en)yl cysteine sulfoxide metabolites in the genus Allium: the chemistry of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Nat Prod Rep 22: 351-368 

  7. Jang HW, Ka MH, Lee KG.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extracts of Capsicum annuum L. and Allium spp. Flavour Fragr J 23: 178-184 

  8. Sparnins VL, Barany G, Wattenberg LW. 1988. Effects of organosulfur compounds from garlic and onions on benzo[a]pyrene-induced neoplasia and gluth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in the mouse. Carcinogenesis 9: 131-134 

  9. Ariyama K, Nisshida T, NoDa T, Kadokura M, Yasui A. 2006. Effects of fertilization, crop year, variety, and provenance factors on mineral concentrations in onions. J Agric Food Chem 54: 3341-3350 

  10. Choi IH, Lee ET, Nam SS, Kim CW. 2006. Study on Allium crops situation to onion, garlic and welsh onion. Treat Crop Sci 7: 570-586 

  11. 통계기획담당관. 2004. 농림통계연보 2004. 농림부. p 1-320 

  12. Cha YJ, Kim H, Park SY, Kim SJ, Yoo YJ. 2000. Identification of irradiation-induce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beef.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050-1056 

  13. Nielsen GS, Poll L. 2004. Determination of odor active aroma compounds in freshly cut leek (Allium ampeloprasum Var. Bulga) and in long-term stored frozen unblanched and blanched leek slices by gas chromatography olfactometry analysis. J Agric Food Chem 52: 1642-1646 

  14. Cha YJ, Kim H, Cadwallader KR. 1998. Aroma-active compounds in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Agric Food Chem 46: 1944-1953 

  15. Park ER, Ko CN, Kim SH, Kim KS. 2001.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fresh and decayed on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11-1020 

  16. Bolenes M, De Valois PJ, Wobben HJ, Van der Cen A. 1971.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onion. J Agric Food Chem 19: 984-991 

  17. Cha YJ, Cadwallader KR. 1995. Volatile components in salt-fermented fish and shrimp pastes. J Food Sci 60: 19-24 

  18. Eiserich JP, Shibamoto T. 1994. Sulfur-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antioxidative activity formed in maillard reaction model systems. In Sulfur compounds in foods. Mussinan CJ, Keelan ME, eds. ACS symposium series 564,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p 247-257 

  19. Mussinan CY, Keelan ME. 1994. Sulfur compounds in foods; an overview. In Sulfur compounds in foods. Mussinan CJ, Keelan ME, eds. ACS symposium series 564,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p 1-6 

  20. Yoon HE. 2005. The quantitative comparison of functional components from different onion cultivars. MS Thesis. Konkuk University 

  21. Freeman GG. 1975. Distribution of flavor components in onion (Allium cepa. L.), leek (Album porrum), and garlic(Allium sattvum). J Sci Food Agric 26: 471-481 

  22. Randle WM. 1997. Onion flavor chemistry and factors influencing flavor intensity. In Flavor chemist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Risch SJ, Ho CT, eds. ACS symposium series 660,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p 41-52 

  23. Uddin MM, MacTavish HS. 2003. Controlled atmosphere and regular storage-induced changes in S-alk(en)yl-Lcysteine sulfoxides and alliinase activity in onion bulbs(Allium cepa L. cv. Hysam). Postharvest Biol Technol 28: 239-2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