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흉부외상에 의한 인공호흡기치료 환자에서 발생한 폐렴의 임상분석
Clinical Analy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Chest Trauma 원문보기

大韓胸部外科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v.41 no.6 = no.287, 2008년, pp.736 - 741  

윤주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전남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오봉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전남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류상우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전남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장원채 (장성혜원병원 흉부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경: 흉부 외상 환자에 있어서 폐렴은 가장 흔한 감염증이며, 진단 및 치료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환율과 치사율을 높이는 매우 심각한 합병증이다. 본 연구는 흉부 외상 환자 중 인공호흡기 치료를 하였던 환자에서 폐렴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고 그 원인 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흉부 외상에 의해 인공호흡기 치료를 시행한 7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 중 폐렴이 발생한 38예를 I군으로,폐렴이 발생하지 않은 40예를 II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각 군의 병원 도착시 혈역학적 소견 및 이학적 소견, 혈액학적 소견, 외상의 원인, 흉부 외상의 형태 및 그 정도, 동반 외상, 기저 질환, 인공호흡기 이용 기간, 중환자실 입원 기간 그리고 사망률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는 남자 57명, 여자 21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8.3{\pm}19.9$세였다. 흉부외상에 의해 인공호흡기 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48.7%에서 외상 후 페렴이 발생하였고, 사망률은 I군에서 21.0%, II군에서 2.5%로 II군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내원시 혈역학적 소견 상 수축기 혈압이 90 mmHg 이하의 쇼크 상태로 인해 수축촉진약(inotropics)을 사용한 경우는 I군에서 24예(63.1)로 II군의 10예(25%)보다 유의하게 많았으며(p=0.001), C-Reactive Protein(CRP) 치는 I군에서 $11.3{\pm}7.8$으로 II군의 $6.4{\pm}7.3$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6). 인공호흡기 이용기간 및 중환자실 입원 기간은 I군에서 각각 17.4일, 21.7일로 II군의 6.5일, 9.7일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p<0.001). 결론: 외상 후 폐렴의 발생은 인공호흡기 이용 기간 및 중환자실 입원 기간이 긴 환자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그외 내원시 측정한 CRP 치가 높은 경우, 쇼크 상태로 인해 수축촉진약(inotropics)를 사용한 경우에 많이 발생하였다. 흉부 외상 환자의 치료 시 이런 요인들을 고려한다면 폐렴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Pneumonia continues to be the most common major infection in trauma patients. Despite the advances in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for pneumonia, it remains a major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i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nd clinic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인공호흡기 치료를 시행한 흉부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폐렴 발생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고, 여러가지 혈 역학적, 생리학적 지표들을 분석하여 흉부 외상 후 폐렴 발생의 원인 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ker AM, Meredith JW, Haponik EF. Pneumonia in intubated trauma patients: microbiology and outcomes.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6;153:343-9 

  2. Croce MA, Fabian TC, Lynda WS, et al. Utility of Gram's stain and efficacy of quantitative cultures for posttraumatic pneumonia: a prospective study. Ann Surg 1998;227:743-55 

  3. Ecket MJ, Davis KA, Reed RL, et al. Urgent airway after trauma: who gets pneumonia? J Trauma 2004;57:750-5 

  4. Croce MA, Fabian TC, Waddle-Smith L, Maxwell RA. Identification of early predictors for post-traumatic pneumonia. Am Surg 2001;67:105-10 

  5. Croce MA, Tolley EA, Fabian TC. A formular for prediction of posttraumatic pneumonia based on early anatomic and physiologic parameters. J Trauma 2003;54:724-30 

  6. Miller PR, Meredith JW, Chang MC. Optimal threshold for diagno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using bronchoalveolar lavage. J Trauma 2003;55:263-7 

  7. Grasy SM, Kamelhar DL. Management of acute respiratory failure. In: Hood RM, Boyd AD, Culliford AT. Thoracic trauma.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 1989;342-57 

  8. Hood RM. Pre-hospital management, initial evaluation, and resuscitation. In: Hood RM, Boyd AD, Culliford AT. Thoracic trauma.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 1989;1-34 

  9. Tanaka H, Yokioka T, Yamaguti Y, et al. Surgical stabilization of internal pneumatic stabilization?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of management of severe flail chest patients. J Trauma 2002;52:727-32 

  10. Pinilla JC. Acute respiratory failure in severe blunt trauma. J Trauma 1982;22:221-6 

  11. Richardson JD, Adams L, Flint LM. Selective management of flail chest and pulmonary contusion. Ann Surg 1982;196:481-7 

  12. Baron A, Sagesser F. Indications for intubation in blunt chest trauma. J Trauma 1986;26:334-7 

  13. Rello J, Sonora R, Jubert P, Artigas A, Rue M, Valles J. Pneumonia in intubated patients: role of respiratory airway car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6;154:111-5 

  14. Baughman RP. Diagnosis of ventilator-associated bacterial pneumonia. Microbes Infect 2005;7:262-7 

  15. Andrews CP, Coalson JJ, Smith JD, Johanson WG. Diagnosis of nosocomial bacterial pneumonia in acute diffuse lung injury. Chest 1981;80:254-8 

  16. Croce MA.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neumonia. Probl Gen Surg 2002;19:31-6 

  17. Rodriguez JL, Gibbons KJ, Bitzer LG, Dechert RE, Steinberg SM, Flint LM. Pneomonia: incidence, risk factors, and outcome in injured patients. J Trauma 1991;31:901-14 

  18. Cellis R, Torres A, Gatell JM, Almela M, Rodriguez RR, Agusti VA. Noscomial pneumonia: a multivariate analysis of risk and prognosis. Chest 1988;93:318-24 

  19. Galan G, Penalver JC, Paris F. Blunt chest injuries in 1696 patients. Eur J Cardiothorac Surg 1992;6:284-7 

  20. Giannoudis PV. Current concepts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after major trauma: an update. Injury 2003;34:397-4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