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국장 분말 첨가 패티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ungkukjang Powder Added Hamburger Patty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4 no.6, 2008년, pp.742 - 747  

이용미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류은순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 분말 0%, 2%, 4%, 6%를 첨가한 햄버거 패티를 제조한 후, 일반성분, 물성 및 관능검사를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 조단백, 조회분 함량은 대조군이 청국장 분말 첨가군(실험군)보다 유의적(p<0.01)으로 낮았으며 조지방 함량은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유의적(p<0.01)으로 높게 나타났다. 색도 측정 결과 L값과 b값은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유의적(p<0.01, p<0.05)으로 낮았으나 a값은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유의적으로(p<0.01) 높게 나타났다. 물성 측정 결과, 견고성(hardness)은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며, 청국장 분말 4% 첨가군이 가장 낮았다. 관능검사 결과, 씹힘성(chewiness)에서만 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며, 청국장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적(p<0.05)인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각 관능특성에서 실험군 중, 청국장 분말 2% 첨가군은 색(color), 다즙성(juiciness), 향미(flavor)에서, 4% 첨가군은 고기 비린내(beefy)에서, 6% 첨가군은 촉촉한 정도(moisture)에서, 0% 첨가군은 짠맛(salty)에서 높은 관능점수를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기호도 검사에서는 청국장 분말 2% 첨가군이 질감(texture)에서 시판 A사 제품보다 유의적(p<0.01)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냄새(smell)에서는 청국장 분말 0% 첨가군과 2% 첨가군이 A사 제품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 평균점수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패티는 대조군 보다 수분, 조단백, 조회분 함량은 높으나 조지방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대조군보다 청국장 분말의 첨가로 패티의 경도가 부드럽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청국장 분말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씸힘성에만 높은 점수를 보였고 다른 관능 특성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기호도 검사의 전반적인 수응도에서도 청국장 분말 첨가 패티가 시판 햄버거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청국장 분말 첨가 패티가 시판 햄버거 패티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고, 영양적으로도 의미가 있음을 시사하며, 나아가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제품화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청국장 분말 첨가 패티는 한국 전통 음식의 재료를 패스트푸드의 대표인 햄버거에 접목시켜 맛과 영양을 향상시킨 건강식 햄버거 패티 개발이란 점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기초로 장기적으로는 젊은 층의 입맛을 겨냥하며 청국장의 기호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웰빙 제품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hamburger patty to which Chungkukjang powder (CJP; 0, 2, 4, and 6%) had been added.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ash in the control group(0%) were significantly(p<0.01) lower than that of the CJP patties, 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에게서 선호도가 높은 식품이지만 영양 불균형으로 인한 건강 및 영양상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식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패스트푸드 중 햄버거를 소재로 햄버거 패티에 청국장 분말을 첨가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고, 소비 기호도 조사를 통하여 전통적인 식재료를 패스트푸드에 응용하여 새로운 맛의 영역을 넓히는데 도움을 주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은 무엇이 시판 시 소비자 불만의 요인이 되었는가? 그러나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청국장은 특유한 이취가 시판 시 소비자 불만의 요인이 되어(Choe JS 등 1996, Kim SH 등 1999) 이를 개선시키려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쑥 추출물을 이용한 풍미 향상(Park WJ 등 2001), 동결 처리된 콩으로의 청국장 제조(Joo HK와 Yun SE 1997), 키위와 무 첨가를 통한 발효 과정 중 청국장의 화학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Shon MY 등 2002), 청국장의 풍미 개선에 관한 연구(In JP 등 2002) 등에서는 청국장의 이취와 풍미 저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기능성식품으로서의 활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청국장에 존재하는 trypsin inhibitor은 어떤 효능이 있는가? 청국장의 Bacillus균에 의해 분해되어 만들어진 분해산물인 peptide는 고혈압 인자인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혈압강하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고(Okamoto A 등 1995) 청국장에 존재하는 trypsin inhibitor는 트립신의 작용을 억제하여 암세포가 증식하는 것을 막는 것으로 밝혀졌다(Takahashi C 등 1995, Fukutake M 등 1996). 또한 청국장이 발효 되면서 대량으로 생성되는 protease는 혈전을 녹이는 작용을 하여 뇌졸중, 심장병, 동맥경화 등을 예방하며(Kudo T 1990), 췌장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당뇨병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되었다(Jenkins A 등 1980, Fujita H와 Yamagami T 2001).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패티의 관능검사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패티의 관능검사 결과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색(color)은 청국장 분말 2%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청국장 분말 4% 첨가군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촉촉한 정도(moisture)는 청국장 분말 6%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대조군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고기 비린내(beefy)는 대조군이 가장 낮은 점수(비린내 강하다)를 나타냈으며, 청국장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고기 비린내에 대한 점수가 높게(비린내 약하다)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An HS 등(2008)의 연구에서, 두부 제조 시 청국장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구수한 냄새가 높게 나타났으며 청국장이 가진 본연의 맛이 두부의 구수한 맛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청국장 냄새가 고기 비린내에 다소 영향을 준다고 사료할 수 있겠다. 씹힘성(chewiness)은 청국장 분말 2% 첨가군과 6%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유의적(p<0.05)인 차이를 보였다. 다즙성(juiciness)은 청국장 분말 2%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짠맛(salty)은 대조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청국장 분말을 첨가할수록 낮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전반적인 수응도(overall acceptability)에서는 청국장 분말 2% 첨가군이 8.4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0%는 8.1점, 4%는 7.7점, 6%는 7.6점을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 SH, Lee SH, Park G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commercial Chungkukjang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2):258-265 

  2.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82 

  3. Choe JS, Kim JS, Yoo SM, Park HU, Kim TY, Chang CM, Shin SY. 1996. Survey on preparation method and consumer response of Chung-kuk-Jang. Korean J Soybean Res 13(1):29-24 

  4. Fukutake M, Takahashi M, Ishida K, Kawamura H, Sugimura T, Wakabayashi K. 1996. Quantification of genistein and genistin in soybean and soybean product. Food Chem Toxicol 34(4):457-461 

  5. Fujita H, Yamagami T. 2001. Fermented soybean-derived Touchiextract with antidiabetic effect via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on in long-term administration study with KKAy mice. Life Science 70(2):219-227 

  6. Heu MS, Choi SG, Kim JS, 2005.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tty with Red-Tanner Crab (Chionoecetes japonicus) paste. Korean J Fish Soc 38(3):137-142 

  7. Hosoi T. 1996. Recent progress in treatment of osteoporpsis. Nippon Ronen Igakkai Zasshi 33(2):240-244 

  8. In JP, Lee SK, Ahn BK, Chung IM, Jang CH. 2002. Flavor improvement of Chungkookjang by addition or yucca (Yucca shidigera)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4(1):57-64 

  9. Jang JO 2007. Quality properties of madeleine added with black bean Chungkukjang flou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6):840-845 

  10. Jenkins A, Wolever TMS, Taylor RH, Barker HB, Fielden H. 1980. Exceptionally low blood glucose response to dried beans: Comparison with other carbohydrate foods. J British Med 28(4):578-585 

  11. Joo HK, Yun SE. 1997. Improvement on flavor and taste of Chungkookjang by freeze denaturation of soybean. Daesan Nonchong 5(2):161-174 

  12. Jung HJ, Nam ES, Park SI. 2006. The study on the consumption and the preference of Chungkukjang product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Food Nutr 19(3):427-434 

  13. Jung IC, Ok M. 2006. Rheolog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oll bread with Chungkukjang powder. Korean J Culinary Research 12(2):168-183 

  14. Jung IC, Moon YH, Kang SJ, 2004. Effect of addition of Mugwort powder on the physi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Korean J Food Sci Ani 24(1):15-22 

  15. Kim KH, Song MY, Yook H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with Chungkukjang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6):853-859 

  16. Kim SH, Yang JL, Song YS. 1999.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ungkukjang. Food Industry Nutr 4(1):40-46 

  17. Kong SK, Kim SO, Hwang SY, Park SH, Kang KO. 2007. Powder processing of soybean paste (Cheonggukjang) and application to soup recipe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3(2): 1-11 

  18. Kudo T. 1990. Warfarin antagonism of natto and increase in serum vitamin K by intake of natto. Artery 17(2):189-201 

  19. Lee JO, HA SD, Kim AJ, Yuh JS, Bang IS, Park SH. 2005. Industrial application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ungkukjang. Food Sci Industry 38(1):69-78 

  20. Lee KA.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stella with Chungkukjang. Korean J Food Cookery Sci 22(2):244-249 

  21. Okamato A, Hanagata H, Kawamura Y, Yanagida F. 1995. Antihypertensive substance in fermented soybean, natto. Plant. Foods. Hum. Nutr 47(1):39-47 

  22. Shon MY, Kim MH, Park SK, Park JR, Sung NJ. 2002. Taste components and palatability of black bean Chungkukjang added with kiwi and radish. Korean J Food Sci Nutr 31(1): 39-44 

  23. Sung CR, Kim CS. 2007. The development of pizza with Chungkukjang and onion: formulation and assessments of nutrients and sensory quality for Chungkukjang pizza. Korean J Food Cookery Sci 23(4):492-501 

  24. Takahashi C, Kikuchi N, Katou N, Miki T, Yanagida F, Umeda M. 1995. Possible antitumor-promoting activity of components in Japanese soybean fermented foods, natto :Effect on gap junctional intercelluar communication. Carciongenesis 16(4): 471-476 

  25. Park WJ, Park HY, Yoo JH, Rhee MS. 2001. Effect of Artemista asiatica Nakai extract on the flavor of Chungkookjang. Food Engineering Progress 5(2):115-1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