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북 지역의 향사와 불천위제례의 진설과 제수 비교 - 대구와 안동지역 중심으로 -
Comparison of Hyang-Sa and Bulchunwee Rituals and Food in Kyungbuk - Focused on Daegu and Andong Areas -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4 no.6, 2008년, pp.801 - 810  

최정희 (영남외국어대학 조리제과제빵과) ,  박금순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Korea's traditional ritual food culture, and to compare two types of ancestral rites the Hyang-Sa and Bool-cheon-wi rites which were held in the Daegu and Andong regions of Korea.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performance of the Bool-cheon-wi ri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듯 사회적, 시간적 변화 속에서도 여전히 종가는 전통적 생활양식을 고수하는 것으로써 다른 집단과 차별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와 안동지역의 대표적인 종가를 대상으로 우리 전통 문화의 본질이자 계승해나가야 할 소중한 문화유산인 제례의 조사를 통해 제수와 의례에 대해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구와 안동지역의 대표적인 종가를 사례로 하여 향사와 불천위제례에 사용되어지는 음식의 종류와 제수의 진설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암서원 숭현사란 무엇인가? 구암서원 숭현사(龜巖書院 崇賢祠, 대구 문화재 자료제2호)는 현재 대구시 북구 산격1동 산79-1에 소재되어있으며 달성서씨 대종회가 관리하는 서원이다. 기일은 10월 3일(음력 9월 1일)이며 건물의 문은 솟을 대문으로 동입 서출(東入西出)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중간의 계단이나 문은 神길이라 하여 사람이 다니지 못하도록 금했다.
달성서씨의 향사 제사 음식으로 무엇을 준비하는가? 달성서씨의 향사 제사 음식은 모두 날것으로 준비하며 고기는 원래 녹포를 사용하였으나 현재 육포를 사용하고 있다. 날고기를 사용하는 것은 혈식군자(血食君子)라 하여 사용하고 제사밥은 진밥, 찰밥 반반으로 담는다.
대구와 안동지역의 대표적인 종가의 향사와 불천위제례에 사용되어지는 음식의 종류와 제수의 진설을 비교한 결과는 무엇인가? 대구지역 사례종가인 달성 서씨와 하빈 박씨의 향사의 제수는 메(飯), 갱(羹), 멧좌반, 포, 적, 채소 및 숙채, 과일 및 조과, 제주이며 날 것을 사용하였다. 날것은 가장 신선하고 깨끗한 재료로 조상에게 가장 신선하고 깨끗한 것을 바치려는 의미로 날 것을 사용하였다. 달성서씨는 메를 조밥과 쌀밥을 반반 사용하였고 하빈 박씨는 날음식으로 조, 현미, 수수, 피를 사용하였다. 멧좌반은 하빈 박씨만 조기를 사용하였고 포는 달성서씨는 예전에는 녹포이나 현재에는 북어포와 육포를 사용하였고, 하빈 박씨는 대구포를 사용하였다. 적은 달성서씨는 돼지고기, 쇠고기, 상어고기이며 하빈 박씨는 돼지고기와 쇠고기를 사용하였다. 채소에서 달성서씨와 하빈 박씨 모두 생것인 미나리와 무를 사용하였고 과일은 달성서씨는 대추, 밤, 은행을 사용하였으며 하빈 박씨는 대추와 밤만 사용하였다. 미나리는 과거 미나리김치를 종묘제사상에 올렸을 만큼 역사가 오래된 먹거리이다. 안동지역 사례 종가인 서애 류성룡 종가와 단계 하위지 종가의 불천위제에서 사용되어진 음식제수는 메, 갱, 면, 멧좌반, 탕, 포, 적, 편, 채소 및 숙채, 침채, 전, 과일 및 조과, 청주를 사용하였다. 메와 갱은 두 종가 모두 흰쌀밥을 사용하였고 소갱을 사용하였다. 면으로 서애 류성룡은 메국수(소면), 단계 하위지는 메국수를 사용하였다. 멧좌반은 서애 류성룡댁만 사용하였으며 그 종류로는 북어, 간고등어, 민어, 도미, 조기, 쇠고기였다. 탕은 서애 류성룡 종가댁은 5탕(육탕, 어탕, 소탕, 계탕, 해물탕), 단계 하위지 댁은 3탕(육탕, 어탕, 소탕) 사용하였다. 포는 두 종가 모두 대구포를 사용하였다. 편으로 서애 류성룡은 백편, 상추시루떡, 콩고물․팥고물 시루떡, 송편(청태콩), 모시송편, 송기송편, 경단, 낱증편, 화전, 조약, 대추 꾸리, 깨꾸리를 고임하여 사용하였고 단계 하위지는 인절미, 시루떡, 검은깨떡, 경단, 찹쌀전, 조약을 사용하였다. 채소 및 숙채에서 서애 류성룡은 고사리, 도라지, 콩나물을 사용하였고, 단계 하위지는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를 사용하였다. 침채에서 두 종가 모두 물김치 사용하였고 전은 서애 류성룡 종가만 두부전을 사용하였다. 과일 및 조과에서는 서애 류성룡은 사과, 대추, 배, 귤, 앵두, 참외, 수박, 호두, 밤, 곶감, 은행, 땅콩, 다식, 중개로 가짓수가 많았으며 단계 하위지 종가에서는 대추, 밤, 배, 곶감, 수박을 사용하였다. 서애 류성룡 종가와 단계 하위지 종가 모두 제주를 청주로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희정. 1999. 제사와 문화 : 불천위 제사집단의 인식변화와 제일 (祭日)의 양력화 - 경북 영양군 일월면 주실마을의 사례 를 중심으로 -. 안동대 민속학연구소. 민속연구 9집 pp 299-327 

  2. 권삼문. 1999. 향사의 지속과 변화. 안동대 민속학연구소. 민속연구 9집 pp 169-196 

  3. 권삼문. 2002. 향사의 역사와 구조. 역사민속학 제12호 pp 42-60 

  4. 김영순. 1999. 제사와 문화: 불천위제사의 집사분정에 나타나는 종법체계와 연령의식. 안동대 민속학연구소. 민속연구 9집 pp 243-298 

  5. 김일근. 1986. 언간의 연구. 건국대학교 출판부. p 291 

  6. 대구광역시. 1996. 옻골. p 22 

  7. 백두현. 2000. 조선시대 한글 편지에 나타난 제례와 상례. 인간을 통해서 보는 선비문화. p 69 

  8. 안해벽 2000. 전통제례의 이론적 의미고찰. 석사학위논문. 안동 대학교 교육대학원. pp 1-2 

  9. 윤숙경. 1996. 종교와 식생활문화(2) : 안동지역의 불천위 제례와 제수. 1996년도 한국식생활문화학회 춘계학술심포지움 11(2): 279-298 

  10. 이기태. 1999. 현대사회의 제례 -대구광역시 한 동성촌락의 사례 -. 안동대 민속학 연구소. 민속연구 제9집 pp 143-167 

  11. 이정우, 김연화. 1999. 도시주부의 가치지향성.제례의식.제례수 행.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3(2):33-50 

  12. Chun HJ, Sim YJ, Kim JS. 1999. The Knowledge of Korean Ceremony Foods and Table Setting of Korean American Housewives in the New York / New Jersey area. Korea J Soc Food Sci 15(2):146-157 

  13. Im YS. 1984. A Study on the Thinking Pattern regarding Ritual Food of the Housewives in Kang Weon Area.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s Kangweon National University. 20(0): 247-265 

  14. Kim YI. 1989. A Study on the Table Setting of Korean Ceremonial Foods. Korea J Food Culture 4(3):213-219 

  15. Yoon SK. 1996. Dietary Culture for Sacrificial Rituals and Foods in Andong Area (1) - Bul-Chun-Wi Sacrificial Rituals and Foods -. Korea J Food Culture 11(4):439-454 

  16. Yoon SK, Park MN. 1999. The Study of Dietary Culture in East Cot Area in Kyungpook Province (2) - for Sacrificial Rites Foods -. Korea J Food Culture 14(2):83-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