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도시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The Factors Related to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Foreign Wives who Live in Small Tow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6 no.6 = no.96, 2008년, pp.83 - 94  

김은경 (창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of the foreign wives who live in small town. Data for the study were based on a snowball sampling of 101 foreign wives who married to Korean husbands and had residence in Changwon and Masan city, Gyeong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들은 그 같은 변화 경향을 반영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도시인 경남의 창원과 마산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의 질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결혼안정성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경우 결혼 전 배우자간의 상호작용 기간이 매우 짧다. 따라서 서로에 대한 이해와 정보가 부족하므로 이러한 점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에 대한 사전정보의 정확도를 포함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양순미·정현숙, 2006; 양점도·김춘택, 2006) 결과 나이와 학력, 자녀유무, 결혼기간과 같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결혼만족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 참여자 개인의 학력이나 나이가 아니라 부부간의 나이차이와 학력차이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 또한 선행연구(양순미·정현숙, 2006; 양점도·김춘택, 2006) 결과 나이와 학력, 자녀유무, 결혼기간과 같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결혼만족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 참여자 개인의 학력이나 나이가 아니라 부부간의 나이차이와 학력차이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배경, 결혼의 과정, 결혼생활의 어려움과 결혼만족도를 파악하고,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를 한국인 남성과 결혼하여 한국에 거주할 목적으로 체류를 하고 있는 외국인 여성으로 정의를 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기 때문에 여성결혼이민자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한글과 영어로 의사소통이 되는 경상남도 마산·창원에 거주하는 여성들만을 포함시켰다.
  • 그러나 행복한 부부관계는 일방적인 것일 수 없다. 특히 다문화 가정 부부의 경우 결혼 전 부부의 상호작용 기간이 일반 부부에 비해 짧고 서로에 대한 이해가 낮은 상태에서 결혼을 시작하기 때문에 아내가 혼자 다양한 교육에 참여하는 것 보다 부부가 함께 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여성들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여겨 부부동반교육 참여를 포함하여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타민족간의)결혼은 일반적인 결혼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국제(타민족간의)결혼은 단순히 언어와 종교에 있어서의 차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의 표현, 갈등의 표출과 관리, 자녀양육에 있어서의 원가족의 역할 그리고 언제, 어떻게, 어떤 명절을 쇠는가 하는 등에 있어서의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Bhugra & De Silva(2000)은 국제결혼을 한 부부는 일반 부부에 비해 두 가지 어려움에 더 직면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 적응 특히, 결혼 초기 적응을 위한 사회적 지원이 매우 시급함을 알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국제결혼 부부의 이혼 건수는 지난 2002년 1,866건에서 2004년 3,400건, 2007년 8,828건으로 급증하여 우리나라 총 이혼의 7.1%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아내의 이혼 건수는 5,794건으로 전년 대비 44.5%가 증가해서 한국인 아내와 외국인 남편의 이혼(3034건, 전년 대비 33.7%증가)에 비해 건수나 증가세가 모두 높았다.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의 평균 동거기간은 3.3년이었고 외국인 남편과 한국인 아내 부부는 평균 동거기간이 6.2년이었으며, 동거기간이 4년 이하인 부부가 90.2%나 되었다.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 부부의 이혼 5,794건 중 5,320건(91.8%)은 20세 미만 미성년 자녀가 없으며, 한국인 아내와 외국인 남편 부부의 이혼 3,034건 중 2,572건(84.8%)은 20세 미만 미성년 자녀가 없음이 드러났다. 따라서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 적응 특히, 결혼 초기 적응을 위한 사회적 지원이 매우 시급함을 알 수 있다.
2007년 현재 국제결혼은 몇 건인가? 경제발전과 더불어 국가간 이동이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이 용이해 짐에 따라 해외 근무, 유학, 그리고 해외여행이 증가하고 있고, 이와 함께 국제결혼도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어서 2007년 현재 국제결혼이 38,491건으로 1998년의 8,054건에 비해 4.8배 정도 증가하였다(통계청, 2008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경상남도(2007). 경상남도 내부자료 

  2. 경상북도(2007). 2007 경상북도 결혼이민자가족 실태조사와 정책과제. 경상북도보고서 

  3. 구자순(2007).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가족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0, 319-360 

  4. 김민정(2007). 한국 가족의 변화와 지방 사회의 필리핀 아내. 페미니즘연구, 7(2), 213-248 

  5. 김영란(2006).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관련 정책. 아시아여성연구, 45(1), 143-189 

  6. 김오남(2006a).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족과 문화, 18(3), 63-06 

  7. 김오남(2006b).여성 결혼이민자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8, 33-76 

  8. 김이선. 김민정. 한건수(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9. 박재규(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농촌생활 적응 관련 요인 분석: 전북 지역 사례. 농촌경제, 29(3), 67-84 

  10.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11. 설동훈. 이혜경. 조성남(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 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연구보고서 

  12. 신경희. 양성은(2006). 국제결혼가족의 부부갈등에 관한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5), 1-8 

  13. 양순미(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여성 부부 중심. 농촌사회, 16(2), 151-179 

  14. 양순미. 정현숙(2006). 농촌국제결혼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3), 223-25 

  15. 양점도. 김춘택(2006). 농촌 외국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복지행정논총, 16(1), 1-20 

  16. 이명신(2006). 진주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생활실태 및 결혼안정성.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7. 이무영. 강기정(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2(2), 29-44 

  18. 이순형 (2006). 농촌여성결혼이민자 정착 지원 방안. 농림부 연구보고서 

  19. 이정연(1987). 주부의 결혼만족도 관련 변수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25(1), 105-117 

  20. 장지혜 (2007).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정영덕(2004). 국제결혼한 외국인 여성들의 삶의 만족도 연구 -장수군 중심으로. 한일장신대학교 아시아태평양국제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채옥희. 홍달아기(2007).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61-73 

  23. 최승희(2006). 다문화가정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개입전략.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4. 최연실. 권용혁. 김태성. 우실하(2007). 한. 중 국제결혼에서의 갈등과 적응: '소외'와 '타자화'의 체험에서 '소통'과 '화합'의 모색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251-299 

  25. 통계청(2008a). 2007 혼인통계 

  26. 통계청(2008b). 2007 이혼통계 

  27. 통계청(2008c). 푸른 들, 숲, 바다, 그리고 삶-농림어업총조사 종합분석보고서 

  28. 한건수(2006). 농촌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 (1), 195-243 

  29. 홍달아기. 채옥희(2007). 국제결혼부부의 가치관 및 의사소통유형과 갈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733-744 

  30. Bahr, S. J., Chappell, C. B., & Leigh, G. K.(1983). Age at marriage, role enactment, role consensus,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4), 795-803 

  31. Bhugra, D. & De Silva, P.(2000). Couple therapy across cultures. Sexual and Relationship Therapy, 15, 183-192 

  32. Glenn, N. D., & Weaver, C. N.(1978). A multivariate, multisurvey study of marital happines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0(2), 269-282 

  33. Heller, P. E. & Wood, B.(2000). The influence of religious and ethnic differences on marital intimacy: Intermarriage versus intramarriag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6, 241-252 

  34. Piper, N.(2003). Wife or worker? Worker or wife? marriage and cross-border migration in contemporary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ulation Geography, 9, 457-469 

  35. Roer-Strier, D. & Ezra, D. B.(2006). Intermarriages between Western women and Palestinian men: Multidirectional adaptation process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8, 41-55 

  36. Snyder, D. K.(1979). Multidimensional assess- ment of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1, 813-823 

  37. Sullivan, C.& Cottone, R. R.(2006). Culturally based couple therapy and intercultural relationships: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Family Journal: Counseling and Therapy for Couples and Families, 14(3), 221-225 

  38. Tseng, W., McDermott, J. F. & Maretzki, T. W.(1977). Adjustment in intercultural marriage. Honolulu: University Press of Hawaii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