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작나무를 이용한 차가버섯균의 인공접종
Artificial Inoculation of Inonotus obliquus on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36 no.2, 2008년, pp.144 - 147  

이봉훈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가강현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박현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이혜민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박원철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유성열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차가버섯균을 접종한 자작나무를 조사한 결과, 6$\sim$13cm 직경의 나무들에서 균이 확인되었다. 또한 나무 직경과 차가버섯균의 활착 간에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종 위치에 따른 활착 차이도 거의 없었다. 차가버섯균이 활착된 나무의 절단면 관찰에서는 차가버섯균이 위아래 방향으로는 활발히 움직인 반면에 방사상으로는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나무에서 분리한 균과 보관균 간의 대치배양에서는 대치선이 형성되지 않았다. 차가버섯 접종목에서 8종(Trichoderma reesei, T. atroviride, Cryptococcus neoformans, Botrytis cinerea, Fusarium sp., 명확하게 되지 않는 균 3종)의 오염균이 분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onotus obliquus could be isolated from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with diameter in the range of 6$\sim$13 cm that artificially inoculated by the fungus. The diameter and/or inoculation point of tre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infection rate of the fungu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차가버섯 인공재배에 적당한 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가버섯의 인공 재배를 위해서는 어떤 것을 기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은가? 차가버섯을 인공 재배하기 위해서는 차가버섯의 기주로 알려진 자작나무류, 오리나무류, 가래나무류, 너도밤나무류, 새우나무류 중에서 선택을 하는 것이 유리한데, 국내에서는 아직 자작나무류에 속하는 거제수나무나 사스래나무, 물박달나무 등에서만 차가버섯이 발견되고 있을 뿐다른 수종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박 등, 2005; 이 등, 2007). 따라서 전국적으로 많이 조림되어 있는 자작나무를 재배에 이용하는 것이 현실적이라 할 수 있다.
차가버섯균을 접종한 자작나무를 조사한 결과, 차가버섯 접종목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오염균이 분리되었는가? 그리고 나무에서 분리한 균과 보관균 간의 대치배양에서는 대치선이 형성되지 않았다. 차가버섯 접종목에서 8종(Trichoderma reesei, T. atroviride, Cryptococcus neoformans, Botrytis cinerea, Fusarium sp., 명확하게 되지 않는 균 3종)의 오염균이 분리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차가버섯에 대한 실정은 어떠한가? 유럽이나 러시아 등에서는 차가버섯이 일상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고 접하기도 쉬우므로 약용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산간지방의 재래시장에서나 가끔 국내산 차가버섯을 볼 수 있을 뿐 일반인들이 접하는 차가버섯의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아무리 좋은 효능관련 연구가 나온다 하더라도 재료는 수입으로 충당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생산량을 높이는 것이 급선무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박원철, 윤갑희, 가강현, 박현, 이봉훈. 2006. 표고재배 및 병해충 방제기술.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제258호. pp. 87-90 

  2. 박현, 이봉훈, 박원철. 2005. 점봉산 거제수나무에서 분리한 차가버섯의 배양특성. 한국버섯학회지 3:71-74 

  3. 이봉훈, 박현, 박원철, 윤갑희, 장지연, 유성열, 가강현. 2007. 국내 수집 차가버섯 균주의 배양특성과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 한국균학회지 35:28-32 

  4. Agrios, N. G. 2005. Plant Pathology. Academic Press. pp. 535-538 

  5. Breitenbach, J. and Kranzlin, F. 1986. Fungi of Switzerland (Volume 2. Non gilled fungi). Verlag Mykologia, Switzerland. pp. 252-253 

  6. Cullings, K. W. 1992. Design and testing of a plant-specific PCR primer for ecological and evolutionary studies. Molecular Ecology 1:233-240 

  7. Doyle, J. J. and Doyle, J. L. 1987. A rapid DNA isolation procedure for small quantities of fresh leaf tissue. Phytochemistry Bulletin 19:11-15 

  8. Ellis, D. and Pfeiffer, T. 1992. The ecology of Cryptococcus neoformans. Eur. J. Epidermiol. 8:321-325 

  9. Lee, I. K., Kim, Y. S., Jang, Y. W., Jung, J. Y. and Yun, B. S. 2007. New antioxidant polyphenols from the medicinal mushroom Inonotus obliquus.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7:6678-6681 

  10. Rhee, S. J., Cho, S. Y., Kim, K. M., Cha, D. S. and Park, H. J. 2008. A comparative study of analytical methods for alkali-soluble $\beta$ -glucan in medicinal mushroom, Chaga (Inonotus obliquus). LWT 41:545-549 

  11. Seaby, D. 1998. Trichoderma as a weed mould or pathogen in mushroom cultivation: Trichoderma and Gliocladium. CRS Press. pp. 267-272 

  12. Ulhoa, C. J. and Peberdy, J. F. 1992.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the extracellular chitinase produced by Trichoderma harzianum. Enxyme Microb. Technol. 14:236-240 

  13. White, T. J., Bruns, T. D., Lee, S. and Taylor, J.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obosomal RNA genes for polygenetics. In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M. A. Innis, D. H. Gelgand, J. J. Sninsky & T. J. White, eds), Academic Press, San Diego. pp. 315-3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