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 여성에서 영양표시 사용과 식행동 요인과의 관계
Dietary Behavioral Correlates of Nutrition Label Use in Korean Women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1 no.8, 2008년, pp.839 - 850  

이혜영 (이화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미경 (이화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 여성에서 영양표시 사용의 특성을 파악하고 식행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서울 및 6대광역시 (서울 45.4%, 부산 14.0%, 대구 9.8%, 인천 11.8%, 광주 7.0%, 대전 6.9%, 울산 5.0%)의 20${\sim}$60세 성인 여성 2,07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양표시에 대한 행동변화단계는 고려전단계 5.9%, 고려단계 35.9%, 준비단계 26.6%, 실행단계 19.0%, 유지단계 12.6%로서 영양표시 사용군은 실행 유지단계에 있는 사람들로 31.6% (654명)였고 영양표시 비사용군은 고려전 고려 준비단계에 있는 사람들로 68.4% (1,419명)였다. 2) 소득이 150만원 미만 또는 150${\sim}$300만원 미만, 고졸 이하의 경우 영양표시 비사용군이 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중반 연령 (30${\sim}$49세), 1주 1회 이상 운동자, 식이보조제 사용자의 경우 영양표시 사용군이 비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결혼, 임신 수유, 자녀, 흡연 유무에 따라서는 영양표시 사용군과 비사용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스스로 질병을 자각하는 비율은 영양표시 사용군이 비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저체중군은 영양표시 비사용군이 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품구매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맛 (42.5%) > 영양 (23.6%) > 가격 (21.1%) > 편이성 (9.6%) > 분위기 (3.2%) 순이었고, 영양은 영양표시 사용군이 비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3) 영양표시 사용군은 비사용군에 비해 과잉섭취우려 성분 (나트륨, 콜레스테롤, 당, 트랜스지방)과 질병 간 관계에 대한 신념이 더 높았고, 비타민 C, 칼슘 같은 권장섭취 성분과 질병 간 관계에 대한 신념은 차이가 없었다. 건강한 식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전체 대상자의 인식도는 평균 4.2 ${\pm}$ 0.8로서 모든 항목에서 높은 편이었고 영양표시 사용군이 비사용군보다 약간 높았다. 4) 식사의 질에 대한 전체 대상자의 평균 점수는 3.2 ${\pm}$ 0.8로서 영양표시 사용군은 비사용군보다 과일류, 채소류, 유류, 고기 육류 콩류, 다양한 식사섭취에 대한 식사의 질 점수와 콜레스테롤, 열량에 대한 식사의 질 점수가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 5) 전체적으로 영양표시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영양표시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식사의 질이 2배 높았다 (OR: 2.01, CI: 1.66${\sim}$2.44) (P < 0.001). 고소득이면서 영양표시를 사용하는 사람은 저소득이면서 영양표시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식사의 질이 2.5배로 좋았으며 (OR: 0.39, 0.36${\sim}$0.69) (P < 0.001). 고소득인데 영양표시를 사 용하지 않는 사람의 식사의 질은 고소득이면서 영양표시를 사용하는 사람의 1/2수준으로 낮았고 (OR: 0.56, 95% CI:0.43${\sim}$0.73), 저소득의 영양표시 사용자보다도 식사의 질이 더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한국 성인 여성에서 영양표시 사용자는 비사용자에 비해 나트륨, 콜레스테롤, 당, 트랜스지방과 같은 과잉섭취우려 성분과 질병 간 관계에 대한 신념이 더 높고, 건강한 식습관에 대한 인식이 더 높으며 식사의 질이 더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소비자가 영양표시를 이해하고 식사에의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인 교육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향후 식사의 질에 미치는 영양표시 사용의 다양한 특성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어떤 영양표시정보가 식생활개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scribes the demographic and diet-related psychosocial correlates of nutrition label use,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label use and diet. Self-reported dada from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urvey of 2073 Korean women aged 20 to 60 years were collected to identify demo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 여성의 영양표시 사용과 식이관련 사회심리적요인 (영양성분-질병간 관계에 대한 신념, 식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식사의 질 등 식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식생활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 및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였던 것이 2007년에는 79%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고된다.5) 이와 같이 영양표시제도가 확대되면서 소비자들은 점점 더 영양표시를 많이 사용할 것으로 기대되는데 중요한 것은 영양표시 사용이 유용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도구가 되느냐이다. 영양표시 사용에 대한 많은 실증적 연구는 Stiger6)의 cost-benefit 개념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수행되어 왔는데 건강정보 탐색에 대한 경제학적 모델을 처음으로 도입한 Stigler6)는 영양표시의 사용은 정보 탐색, 의미의 평가, 평가에 기초한 결정 등 일련의 적극적 과정으로서 소비자가 정보를 탐색하는데 드는 비용 (cost)이 정보로부터 얻게 되는 이익 (benefit)-즉 더 좋은 식품의 선택, 더 영양있는 식사-을 초과하지 않는 한 소비자는 계속해서 좋은 제품을 얻기 위해 정보를 탐색한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공식품의 영양표시의 역할은? 식생활과 건강간의 관련성이 점차 밝혀지면서 올바른 식품선택을 위한 영양정보제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가공식품의 영양표시는 영양정보를 제공하여 식품선택을 도움으로써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중요한 교육도구가 된다. Zarkin 등1)은 영양표시 사용은 심혈관계질환과 암과 같은 만성 식이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하였으며 모든 가공식품에 처음으로 영양표시를 의무화한 미국은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의무화로 향후 20년 간 심장병과 암에 대한 위험만 고려하더라도 39,207건의 질병발생을 예방하고 12,902건의 사망을 방지하며, 80,930명의 생명을 연장시켜 이로 인한 국가 경제적 이득이 44~220억불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우리나라의 영양 의무표시 대상식품은? 우리나라는 영양표시제도를 1995년에 처음으로 도입하여 의무표시 대상식품을 점차 확대해왔다. 현재는 특수용도식품, 과자류 중 식빵, 케이크류, 빵, 도넛, 기타빵, 건과류, 캔디류, 초콜릿류, 쨈류, 면류, 레토르트식품, 음료류, 영양성분표시를 하고자 하는 식품에 열량, 탄수화물, 당, 단백질, 지방,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 9가지를 의무적으로 표시하고 있으며4) 영양표시율은 2001년에는 18.7%, 2005년에 24.
모든 가공식품에 처음으로 영양표시를 의무화 한 나라는? 가공식품의 영양표시는 영양정보를 제공하여 식품선택을 도움으로써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중요한 교육도구가 된다. Zarkin 등1)은 영양표시 사용은 심혈관계질환과 암과 같은 만성 식이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하였으며 모든 가공식품에 처음으로 영양표시를 의무화한 미국은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의무화로 향후 20년 간 심장병과 암에 대한 위험만 고려하더라도 39,207건의 질병발생을 예방하고 12,902건의 사망을 방지하며, 80,930명의 생명을 연장시켜 이로 인한 국가 경제적 이득이 44~220억불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였다.1) 이러한 예측은 영양표시 사용이 소비자의 식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에 기인하는 것으로 식사의 개선은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가져오고 결과적으로 수명을 연장하고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건정책상 중요한 의미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Zarkin GA, Dean N, Nauskopf JA, Williams R.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nutrition label changes. Am J Public Health 1993; 83: 717-724 

  2. Golan E, Kuchler F, Mitchell L, Greene C, Jessup A. Economics of Food Labeling. USDA. Agri Econo Report No. 793; 2000 

  3. Hawkes C. Nutrition labels and health claims: the global regulatory environment. World Health Organization report: Geneva; 2004 

  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labeling Standards; 2006; Available; http://www.kfda.go.kr 

  5. Kwon KL, Park SH, Lee JH, Kim JY, Yoo KS, LEE JS, Kim SY, Sung HN, Nam HS, Kim JW, Lee HY, Park HK, Kim MC. Prevalence of nutrition labeling and claims on processed, and packaged food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7; 12(2); 206-213 

  6. Stigler G. The economics of information. J Polit Econ 1961; 69: 213-225 

  7. Drichoutis AC, Lazaridis P, Nayga RM Jr. Consumers'use of nutritional labels: A review of research studies and issues.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Review 2006; 9: 1-22. Available: http:// www. amsreview.org/articles/drichoutis09-2006.pdf 

  8. Drichoutis AC, Lazaridis P, Nayga RM Jr. Nutrition knowledge and consumer use of nutritional food labels. Eur Re Agri Econo 2005; 32(1): 93-118 

  9. Nayga RM Jr. Toward an understanding of consumers' perceptions of food labels. International Food and Agribusiness Management Review 1999; 2(1): 29-45 

  10. Moorman C. The effects of stimulu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on the utilization of nutrition information. J Consum Res 1990; 17(3): 362-374 

  11. Guijing W, Stanley MF, Dale HC. Consumer utilization of food labeling as a source of nutrition information. J Consum Aff 1995; 29(2): 368-380 

  12. Moorman C. Market level effects of information: Competitive responses and consumer dynamics. J Mark Res 1998; 35: 82-98 

  13. Zarkin GA, Anderson, DW. Consumer and producer responses to nutrition label changes. Am J Agri Econ 1992; 74(5): 1202-1207 

  14. Kristal AR, Patterson RE, Glan K, DiClemente CC, Linnan L, Heiemndinger J, Ockene J. Psychosocial correlates of healthful diets and intention to improve diet:baseline results from the Working Well Study. Prev Med 1995; 24: 221-228 

  15. Marietta AB, Welshimer KJ.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 1990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Act food labels. J Am Diet Assoc 1999; 99: 445-449 

  16. Smith SC, Taylor JG, Stephen AM. Use of food labels and beliefs about diet-disease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students. Public Health Nutr 2000; 3: 175-182 

  17. Patterson Re, Kristal AR, White E. Do beliefs, knowledge and norms about diet and cancer predict dietary change. Am J Public Health 1996; 86: 1394-1400 

  18. Satia JA, Galanko JA, Neuhouser ML. Food nutrition label use is associated with demographic, behavioral,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dietary intake among African Americans in North Carolina. J Am Diet Assoc 2005; 105(3): 392-402 

  19. Drichoutis AC, Lazaridis P, Nayga RM Jr. The economics of nutrition information search: Agricultural University of Athens; 2006 

  20. Teisl MF, Levy AS. Does nutrition labeling lead to healthier eating? J Food Distr Resear 1997; 3(28): 19-26 

  21. Kreuter MW, Brennan LK, Sharff DP, Lukwago SN. Do nutrition label readers eat healthier diets? Behavioral correlates of adults' use of food labels. Am J Prev Med 1997; 13: 277-283 

  22. Neuhouser ML, Kristal AR, Patterson RE. Use of food nutrition labels is associated with lower fat intake. J Am Diet Assoc 1999; 99(1): 45-53 

  23. Guthrie JF, Fox JJ, Cleveland LE, Welsh S. Who uses nutritional labeling, and what effects does label use have on diet quality? J Nutr Edu 1995; 27(4): 163-172 

  24. Bowman SA, M.Lino SA, Gerrior P. Basiotis. The Healthy Eating Index: 1994-96,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Center for Nutrition Policy and Promotion, July; 1998 

  25. USDA. Diet and Health Knowledge Survey Questionnaire; 1996 

  26. Kim SY, Nayga RM, Capps O. Food label use, self-selectivity, and diet quality. J Consum Aff 2001; 35(2): 346-363 

  27. Perez-Escamilla R, Haldeman R. Food label use modifies association of income with dietary quality. J Nutr 2002; 132: 768-772 

  28. Prochaska JO, Velicer WF, DiClemente CC, Fava J. Measuring processes of change: applications to the cessation of smoking. J Consult Clin Psychol 1988; 56: 520-528 

  29. Prochaska JO, Vellicer WF, Rossi, JS, Goldstein MG, Marcus BH, Rakowski W.Stages of change and decisional balance for 12 problem behaviors. Health Psycho 1994; 13: 39-46 

  30. Prochaska JO, Velicer WF.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health behavior change. Am J Health Promot 1997; 38: 38-48 

  31. Oh SY, Cho MR, Kim JC, Cho YY.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and beliefs on health behavior regarding stages of change in dieary fat reduction among Korean men and women. Korean J Nutr 2001; 34(2): 222-229 

  32. Coulson NS. An application of the stages of change model to consumer use of food labels. Br Food J 2000; 102(9): 661-668 

  33. Kim WY, Cho MS, LEE H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 Korean J Nutr 2003; 36(1): 83-92 

  3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Nutrition Survey; 2006 

  35. Burton S, Andrews JC. Age, product nutrition, and label format effects on consumer perceptions and product evaluations. J Consum Aff 1996; 30(1): 68-89 

  36. Balasubramanian SK, Cole CA. Consumers' search and use of nutrition information:The challenge and promise of the Nutrition Labeling and Education Act. J Market 2002; 66: 112-127 

  37. Nayga RM Jr. Determinants of consumers' use of nutritional inormation on food packages. J Agri Appl Econo 1996; 28(2): 303-312 

  38. Chang SO. A study on the perception, use, and demand of housewife- consumers for nutrition label. Korean J Nutr 2000; 3(7): 763-773 

  39. Morton J, Guthrie J. Diet-related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low-income individuals with children in the household. Family Econ and Nutr Rev 1997; 10(1): 2-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