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과학교과의 온라인 탐구형 콘텐츠 개발
Inquiry based Online Contents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8 no.12, 2008년, pp.457 - 464  

김인숙 (서강대학교 공학교육연구센터) ,  조은순 (목원대학교 교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생들의 탐구능력 향상 및 고차원적인 사고력 증진에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관심이 확산되고 있는 탐구형 콘텐츠를 초등학교 과학교과에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 설계 전략을 수립한 후, 이를 기반으로 초등 5학년 과학과 수업 [용액과 반응]을 위한 콘텐츠로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콘텐츠를 수업현장에서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탐구형 콘텐츠의 설계와 개발 및 실제 수업에 적용할 때 시사점 및 고려할 사항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진행은 먼저, 초등학교 과학교과용 탐구형 콘텐츠 개발을 위해 문헌고찰, 기존 사례조사, 분석, 관련 사이트 검색, 전문가 회의 및 학교 현장 전문 교사진 검토 및 적용 테스트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들 논의를 통해 본 연구에서 활용할 탐구형 콘텐츠의 설계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실제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콘텐츠를 2개 초등학교의 160명 학생들에게 실제 수업시간에 적용하여 현장적용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추출한 후 수정 및 보완을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탐구형 콘텐츠는 학습자들의 흥미유발과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좀 더 구체적이고 분명한 학습안내 및 튜터의 지원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탐구형 학습방법이 향후 다른 교과와 다양한 학습자 그룹으로 확산될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하였으며, 논문의 결과는 향후 초등학교 온라인 탐구형 콘텐츠, 특히 과학교과의 현장 적용 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design, develope, and deploy of e-learning inquiry based content in elementary science class. First, this study analyzed related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inquiry based class models for seeking better applicable design and development modes. From focus group meeting, ex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과학교과는 그 특성상 다양한 형태의 탐구활동이 존재하며 학습과제에 따라 서로 다른 탐구과정이 사용되기 때문에 과제의 성격, 학습자의 학습 유형과 성향에 맞는 콘텐츠 설계와 개발이 핵심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탐구형 콘텐츠에서 필요한 핵심요소들을 온라인상에서 구현하고 수업현장에서 활용할 때 어떻게 설계, 개발하여 활용해야 학습효과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탐구형 콘텐츠 설계 전략을 바탕으로 초등 과학교과 5학년 2학기 용액과 반응 단원의 중성용액 만드는 방법에 대한 1차시 분량의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다음 [그림 2]는 실제 개발된 탐구형 콘텐츠의 진행상황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교과의 탐구형 콘텐츠를 설계하여 개발한 후 실제 현장 수업에 적용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과학 탐구형 콘텐츠의 수업 활용 시사점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먼저, 본 연구결과로 얻은 탐구형 콘텐츠 설계 및 개발을 위한 전략상의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e-learning 교육방법으로 관심이 확산되고 있는 탐구형 콘텐츠를 초등학생 대상의 과학교과에 적용할 경우 콘텐츠 설계전략 및 실제 콘텐츠를 개발이 어떻게 진행되며, 이러한 콘텐츠를 현장에 적용할 경우 현장적용 가능성 및 시사점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온라인 탐구형 콘텐츠 개발을 위해 문헌고찰, 기존 사례조사․분석, 관련 사이트 검색, 전문가 회의 및 학교 현장 전문 교사진 검토 및 적용 테스트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탐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탐구는 끊임없는 질문을 통해서 진리, 사실, 정보, 지식을 찾는 과정이며, 탐구라는 말에는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논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1][10][11]. 탐구학습이란 경험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전략이다.
과학 비전공자가 많은 초등 교육 현장의 온라인 과학교과 콘텐츠 설계 및 활용 시 고민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과학적 탐구능력과 사고력이 필요한 과학교육의 목표는 단순히 지식 전달 위주 형태를 벗어나서 사고력 증진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신장이 핵심이며, 정보를 수집하고 조직하는 기능 및 관찰 결과를 전달하고 해석하는 탐구능력을 증진시키도록 학습경험을 제공해야 한다[4].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과학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학 실험실 수업의 효과 및 성과에 대해 회의적인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낮은 학습자 동기부여 및 흥미유발, 학습한 내용의 비전이 문제, 과학적 추론과정 및 탐구기능의 성취수준도 낮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5-7]. 또한 실험실 활동은 혼란스럽고 비생산적이며, 실험의 목적과 일치하지 않는 실험실 수업이 많다는 주장도 있다[8]. 이러한 점은 과학 비전공자가 많은 초등 교육 현장의 온라인 과학교과 콘텐츠 설계 및 활용 시 특히 고민해야 할 부분들이다[9].
과학적 탐구능력과 사고력이 필요한 과학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과학적 탐구능력과 사고력이 필요한 과학교육의 목표는 단순히 지식 전달 위주 형태를 벗어나서 사고력 증진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신장이 핵심이며, 정보를 수집하고 조직하는 기능 및 관찰 결과를 전달하고 해석하는 탐구능력을 증진시키도록 학습경험을 제공해야 한다[4].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과학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학 실험실 수업의 효과 및 성과에 대해 회의적인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낮은 학습자 동기부여 및 흥미유발, 학습한 내용의 비전이 문제, 과학적 추론과정 및 탐구기능의 성취수준도 낮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손미, "초등학교에서의 인터넷 자원기반 탐구학습설계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교육정보방송연구, 제8권, 제2호, pp.57-91, 2002. 

  2. 임병노, "온라인 탐구학습 환경에서의 학습경험: 효과적인 탐구학습 설계를 위한 시사", 교육공학연구, 제19권, 제3호, pp.69-99, 2003. 

  3. 장혜정, 류완영, "탐구기반학습에서 성찰적 탐구 지원도구의 설계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2권, 제2호, pp.27-67, 2006. 

  4. 김영신, "초.중학교 과학 실험의 탐구 과정에 대한 분석, 중등교육연구", 제55권, 제1권, pp.47-67, 2007. 

  5. 양일호, 권용주, 김영신, 장명덕, 정진우, 박국태, "Effects of students' prior knowledge on scientific reasoning in inquiry",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22권, 제2호, pp.314-335, 2002. 

  6. V. L. Akerson, F. Khalick, and N. G. Lederman, "Influence of a reflective explicit activity-based approach on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ol.37, No.4, pp.295-317, 2000. 

  7. J. Wellington, Teaching and learning secondary science-Contemporary issues and practical approaches, London: Routledge, 2000. 

  8. C. Hart, P. Nullhall, A. Berry, J. Loughran, and R. Gunstone, "What is the purpose of experiment? Or can students learn something from do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ol.37, No.7, pp.655-675, 2000. 

  9. 신영준, 장명덕, 배진호, 권난주, 여상인, 이희순, 노석구, "초등과학 탐구수업 지도자료의 활용 실태". 초등과학교육, 제24권, 제2호, pp.160-173, 2005. 

  10. 변영계, 김영환, 손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2007. 

  11. http://www.thirteen.org/edonline/concept2class/inquiry/index.html, 2004. 

  12. 한국학술정보원, 자율학습용 콘텐츠 개발 방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13. 임정훈, 임병노, 최성희, "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교수학습 모형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141-168, 2004. 

  14. M. Veermans, J. Lallimo, and K. Hakkarainen, "Patterns of Guidance in Inquiry Learning, Journal of Interactive Learning Research," Vol.16, No.2, pp.179-194, 2005. 

  15. B. Joyce, M. Weil, and E. Calhoun, Models of teaching(6th Ed.), Allyn and Bacon, 2000. 

  16. T. J. Lasley and T. J. Matczynski, Strategies for teaching in a diverse society : Instructional models, Belmont :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7. 

  17. A. C. Harms, The Spiral inquiry : A Study in the phenomenology of inquiry.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9. 

  18. M. J. Mahony, H. M. Wozniak, F. Everingham, B. Reid, and A. E. Poulos, Inquiry-based teaching and learning: What's in a name? In : C, Bond & P, 2003. Bright (eds) Learning for an Unknown Future - Research and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Vol.26, HERDSA Annual Conference Learning for an Unknown Future, Christchurch, New Zealand, CD-ROM, 2003(7). 

  19. 강원석, 조현주, "초등과학 학습에서 에니메이션 학습자료의 효과", 교과교육논집, 제2집, pp.163-192, 2005. 

  20. 류해일, 이원주, 장낙한, 중학교 2학년 과학 학습을 위한 힘과 운동의 코스웨어 설계 방법 모색, 과학교육연구, 제36권, pp.77-98, 2005. 

  21. 박성익, 여혜진, 이규민, 이재진,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e-Learning 기반 교수-학습모형 개발 및 적용 효과 : 초등 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pp.27-55,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