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서해 중부 연안역의 수질환경 특성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long Mid-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v.30 no.4, 2008년, pp.379 - 399  

임동일 (한국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부) ,  강미란 (한국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부) ,  장풍국 (한국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부) ,  김소영 (한국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부) ,  정회수 (한국해양연구원 연구개발실) ,  강양순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연구본부) ,  강영실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atial-temporal variations in physiochemical water qualities (temperature, salinity, DO, SPM, POC and nutrients) of surface and bottom waters were investigated along the mid-western coastal area (Taean Peninsula to Gomso Bay) of Korea.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국 해양생태계 기본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최근 태안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유류오염 사고에 의한 환경 변화를 파악하고 서해 중부의 연안역 관리를 위한 기반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이와 같이 연구해역인 서해 중부 연안의 수질환경은 조석전선의 발달, 금강 담수 유입, 초대형 인공호수, 쿠로시오 난류 등과 연계하여 시(계절)공간적으로 매우 역동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태안반도에서 곰소만에 이르는 서해 중부의 광역적 연안역에서 해수의 수온, 염분 및 영양염류 등의 주요 수질 인자들의 시(계절) 공간적 분포 특성을 토대로 서해 중부해역의 수질환경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국 해양생태계 기본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최근 태안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유류오염 사고에 의한 환경 변화를 파악하고 서해 중부의 연안역 관리를 위한 기반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해역에는 어떤 환경들이 존재하는가? 연구해역은 태안반도에서 곰소만에 이르는 서해 중부의 대조차 연안역으로 여러 만(가로림만, 천수만 등)과 초대형 인공호수(새만금호, 부남-간월호) 그리고 금강 하구 등 다양한 특성의 환경이 존재한다(Fig. 1).
규산염 농도는 어떻게 측정하였는가? 규산염 농도는 시료에 산성인 몰리브덴산암모늄(ammonium molybdate)을 가한 후 염화물(stannous chloride)과 옥살산(oxalic acid)의 환원 시약을 가해 황색의 몰리브 덴산착염체를 형성시켜 발색 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산염농도는 시료에 몰리브덴산암모늄(ammonium molybdate), 타르타르산안티모닐 칼륨(antimony potassium tartrate), 황산의 혼합 시약을 가하고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으로 환원시켜 발색강도를 측정하였다.
많은 양의 영양염이 일시에 유입될 경우 부유생물의 기초생산력 등의 해양생태계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1998). 특히 영양염류는 해양환경에 서식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생장을 제한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조성 및 생산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화학적 환경요인이다. 따라서 많은 양의 영양염이 일시에 유입될 경우 부유생물의 기초생산력 등의 해양생태계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김 1989; 양 등 2000; 권 등 2001a, 2001b; 임 등 2007b; Humbor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권기영, 문창호, 양한섭. 2001a.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영양염의 거동. 한국수산학회지, 34, 199-206 

  2. 권기영, 이평강, 박철, 문창호, 박미옥. 2001b.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동-식물플랑크톤의 현종량 및 종조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 93-102 

  3. 기상청. 2006. 기상월보 2006 

  4. 김동선, 임동일, 전수경, 정회수. 2005. 한국 서해 천수만의 화학적 수질특성과 부영양화. Ocean and Polar Res., 27, 45-58 

  5. 김학균. 1989. 마산만의 편모조 적조의 발생과 환경특성.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서, 43, 1-40 

  6. 박승윤, 박경수, 김형철, 김평중, 김전풍, 박중현, 김숙양. 2006. 천수만의 수질환경 특성과 장기변동. 한국환경과학회지, 15, 447-459 

  7. 신은주, 이상호, 최현용. 2002. 금강 풀룸의 구조와 분포에 대한 수치모델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7, 157-170 

  8. 양재삼, 최현용, 정해진, 정주영, 박종규. 2000.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1. 물리-화학적인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5, 16-26 

  9. 이동섭. 1999. 여름과 겨울철 남해의 영양염 분포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4, 371-382 

  10. 이상호, 권효근, 최현용, 양재삼, 최진용. 1999.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II. 염분구조와 하구유형.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 255-165 

  11. 이상호, 최현용, 손영태, 권효근, 김영곤, 양재삼, 정해진, 김종구. 2003. 하계 서해안 새만금 연안역 주변 저염수와순환.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 138-150 

  12. 임동일, 엄인권, 전수경, 유재명, 정회수. 2003. 한국 남해 연안역에서 여름 홍수기에 형성된 연안 염하구 환경의 물리-화학적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 151-163 

  13. 임동일, 노경찬, 장풍국, 강선미, 정회수, 정래홍, 이원찬. 2007a. 한국 서해 경기만 연안역에서 수질환경의 시 공간적 변화 특성고 조절 요인. Ocean and Polar Res., 29, 135-153 

  14. 임동일, 김영옥, 강미란, 장풍국, 신경순, 장만. 2007b. 한국 남해 마산만에서 수질환경의 계절적 변동과 기초생산 제한인자. Ocean and Polar Res., 29, 346-366 

  15. 정해진, 박종규, 최현용, 양재삼,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김형섭, 조경제. 2000.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2: 1997년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5, 27-36 

  16. 최진용, 박용안. 1998. 하계동안 한국 서해 태안반도 연근해에서 부유퇴적물의 운반양상.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3, 45-52 

  17. 최중기. 1990. 경기만의 조석전선 형성과 생물학적 중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보고서. 447p 

  18. 최중기. 1991. 황해 중-동부 연안 수역의 조석전선이 식물플랑크톤 생산력과 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학회지, 26, 223-241 

  19. 최현용, 이상호, 오임상. 1998. 황해 중부 연안 수온전선역의 정량적 해석.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3, 1-8 

  20. 최현용, 이상호, 유광우. 1999. 금강 하구언 대량방류시 황해중동부 해역의 염분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 1-9 

  21. Billen, G., C. Lancelot, and M. Mayberk. 1991. N, P, Si retention along the aquatic continuum from land to ocean. p. 19-44. In: Ocean Margin Processes in Global Change, ed. by R.F.C. Matoura, J.M. Martin, and R. Wollast. John Wiley & Sons, New York 

  22. Cugier, P., G. Billen, J.F. Guillaud, J. Garnier, and A. Menesguen. 2005. Modelling the eutrophication of the Seine Bight (France) under historical, present and guture riverine nutrient loading. J. Hydrol., 304, 381-396 

  23. Goni, M.A., N. Monacci, R. Gisewhite, A. Ogston, J. Crockett, and C. Nittrouer. 2006. Distribution and sources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water column and sediments of the Fly River Delta, Gulf of Papua (Papua New Guinea). Estuar. Coast. Shelf Sci., 69, 225-245 

  24. Humborg, C., V. Ittekkot, A. Cociasu, and B.V. Bodungen. 1997. Effect of Danube River dam on Black Sea biogeochemistry and ecosystem structure. Nature, 386, 385-388 

  25. Justic, D., N.N. Rabalais, and R.E. Turner. 1995. Stoichiometric nutrient balance and Origin of coastal eutrophication. Mar. Pollut. Bull., 30(1), 41-46 

  26. Seung, Y.H., J.H. Chung, and Y.C. Park. 1990. Oceanographic studies related to the tidal front in the mid-Yellow Sea off Korea: Physical aspects. J. Oceanol. Soc. Korea, 25, 84-95 

  27. Pingree, R.D., G.R. Forster, and G.K. Morrison. 1978. Turbulent convient tidal front. J. Mar. Biol. Ass. U.K. 54, 469-479 

  28. Pingree, R.D., G.T. Mardell, and L. Maddock. 1983. A marginal front in Lyme Bay. J. Mar. Biol. Ass. U.K. 63, 9-15 

  29. Simpson, J.H., D.J. Edelsten, A. Edwares, N.C.G. Morris, and P.B. Tett. 1982. The Islay Front: Physical structure and phytoplankton distribution. Estur. Coast. Mar. Sci., 9, 713-726 

  30. Yoshida, Y. 1973. Changes in biological production in low trophic levels. p. 92-103. In: Fisheries Science Series, 1. Koseisha Koseikaku, Tokyo 

  31. Wasmund, N., A. Andrushaitis, E. Lysiak-Pastuszak, B. Muller-Karulis, G. Nausch, T. Neumann, H. Ojaveer, I. Olenina, L. Postel, and Z. Witeek. 2001. Trophic status of the South-Eastern Baltic Sea: A comparison of coastal and open areas. Estur. Coast. Shel. Sci., 53, 849-864 

  32. Wong, G.T.F., G.C. Gong, K.K. Liu, and S.C. Pai. 1998. Excess nitrate in the East China Sea. Estuar. Coast. Shelf. Sci., 46, 411-4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