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꽃게(Charybdis japonica)장의 식품 성분

Food Composition of Crab(Charybdis japonica) Preserved in Brine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0 no.1 = no.40, 2008년, pp.95 - 106  

박일웅 (호원대학교) ,  김현수 (군산대학교) ,  최규홍 (군산대학교) ,  최선남 (군산대학교) ,  김종배 (군산대학교) ,  임성한 (주식회사 효성)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민꽃게(Charybdis japonica)를 이용하여 만든 게장은 우리의 식생활에 밀접하게 접근되어 있으나 이에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지역마다 게장을 만드는데 필요한 장에 여러 가지 양념류가 첨가되어 있어 게장 본래의 화학적 성분 조성을 밝히기 쉽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꽃게의 화학적 성분 조성과 염지한 민꽃게장을 온도별($5{^{\circ}C}$, $15{^{\circ}C}$, 상온)로 저장하여 저장일수(10, 15, 20, 25, 30일)에 따른 화학성분 변화량을 측정하였으며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민꽃게의 일반성분 함량을 보면 수분(77.5%), 회분(2.3%), 조단백(19.7%), 조지방(0.5%)이었으며 저장기간 중 수분과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회분 함량은 수분 함량의 감소에 따라 상대적으로 그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민꽃게와 민꽃게장의 휘발성 염기질소량은 민꽃게는 2.3mg/100g로 나타났으며 $5{^{\circ}C}$에서 저장한 민꽃게장에서는 30일 경과 후에도신선도(20.8mg/100g)를 유지함을 알 수 있었으나 $15{^{\circ}C}$에서 저장한 민꽃게에서는 25일 이후에는 초기부패의 상태(31.2mg/100g)를 나타내었다. 상온에서는 민꽃게장 저장 10일만에 초기부패의 상태(34.7mg/100g)를 나타내었으며 30일 경과 시 부패취(51.4mg/100g)를 내었다. 이로서 민꽃게장의 저장은 상온보다는 $5{^{\circ}C}$, $15{^{\circ}C}$등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일정하게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소에서 보관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3. 민꽃게와 민꽃게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보면 생시료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100mg/100g로 나타났으며 민꽃게장의 저장 중 콜레스테롤 변화를 살펴보면 $5{^{\circ}C}$에서는 저장기간 중 변화량이 적었는데 건물량으로 환산하여 보면 민꽃게에서 콜레스테롤 함량이 444.4mg/100g였으나 저장일수 10일에 306.3mg/100g, 저장일수 30일에 395.3mg/100g로 약 11-31% 감소하였으며 $15{^{\circ}C}$에서 저장한 민꽃게장에서는 저장기간 중 콜레스테롤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건물량으로 환산하면 저장일수 10일에 272.0mg/100g, 저장일수 30일에 440.6mg/100g로 약 0.8-38.76%로 감소하였다. 상온에서 저장한 민꽃게장에서도 $5{^{\circ}C}$$15{^{\circ}C}$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건물량으로 환산해보면 저장일수 10일에 332.2mg/100g, 저장일수 30일에 408.9mg/100g로 약 8-25%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4. 민꽃게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보면 hydroxyproline(1015.8mg/100g), urea(731.2mg/100g), arginine(256.6mg /100g), taurine(215.9mg/100g), glutamic acid(109.7mg/100g), alanine (106.3mg/100g)의 순서로 정량되었으며 glutamic acid(109.7mg/100g), alanine (106.3mg/100g)의 순서로 정량되었으며, 민꽃게장에서도 이들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 온도대별($5{^{\circ}C}$, $15{^{\circ}C}$, 상온), 저장기간(10, 15, 20, 25, 30일)에 따라 양적변화는 약간 있지만 대체로 그 함량이 많았다. 정미성분인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및 lysine의 함량을 보면 $5{^{\circ}C}$에서 저장한 민꽃게장에는 저장일수 25일 경과 시, $15{^{\circ}C}$에서 저장한 민꽃게장에는 저장일수 15일 경과 시, 상온에서 저장한 민꽃게장에는 저장일수 20일 경과 시 다른 저장일수에 비해 이들 아미노산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민꽃게에서 타우린 함량은 215.9mg/100g로 나타났으며 $5{^{\circ}C}$에서 저장한 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ckled crabs made using Charybdis japonica are becoming part of our dietary habits. Yet research on this food is disappointingly scarce.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original food composition of pickled crabs defies scrutiny because various seasonings are added to soy for the production of pic...

주제어

참고문헌 (43)

  1. 강진훈, 천석조, 이형일, 이용우, 박영호(1984). 수산물의 콜레스테롤 함량과 가공중의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17(4): 327-332 

  2. 박영호, 장동석, 김선봉(1997). 수산가공이용학 

  3. 산업기술정보원(1992). 기능성식품의도입과 개발동향, 은광사, 서울, 1-12 

  4. 정승용, 이응호(1976). 새우젓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9(2): 79-110 

  5. 한국농촌경제연구원(1994). 식품수급표, 동양문화인쇄주식회사, 서울, 20-21 

  6. A.O.A.C(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7. Analytical Chemists, 16th Edition" Edited by Patricia A. Cunniff.,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Virginia, U.S.A 

  8. Cha, Y.J.(1992). Volatile Flavor Component in Korean Salt-Fermented Anchov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719-718 

  9. Chang, D.S., Cho, H.R., Goo, H.Y. and Choe, W.K.(1989). A Development of Food Preservative with the Waste of Crab Processing, Bull. Korean Fish, Soc. 22: 70-78 

  10. Chang, H.,J., Jeon, D.W. and Lee, S.R .(1994). In vitro Study on the Functionality in Digestive Tract of Chitin and Chitosan from Crab Shill.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48-347 

  11. Chiba, H.(1992). Food components and blood pressure regulation, 189-96, In: The bioactive Function of Foods. Press Center of Academic Society, Tokyo, Japan 

  12. Chung, S.Y. and See, E.H.(1976). The Taste Compounds of Fermented Acetes Chinensis. Bull. Korean Fish, Soc. 9: 79-10 

  13. Fan-Zhu Lee, Jin-Cheol Lee, Dong-sik Jung, Ho-Chul Yung and Jong-Bang Eun(2001). Chemical Composition of Blue crabs Preserved in So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33, 6, 714-719 

  14. Gaull, G.E.: Taurine(1986). Biological update. Ann. Rev. Biochem., 55, 427 

  15. Giddings, G.G. and L.H. Hill(1975). processing effects on the lipid fractions and principal fatty acids of blue crab (Callinecetes sapidus) muscle. J. Food Sci., 40: 1127 

  16. Gilles, R.(1970). Osmoregulation in the stenohaline crab Libinia emarginata, Arch. Int. Physiol. Biochem., 78: 91 

  17. Han, Y.S., Lee, D.S., Kim, S.I., Kim, D.S, and Pyeun, J.H. (1996).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he Extract of Crabs caught in the Korean adjacent sea. Korean J. Soc. Food Sci, Vol. 12, No. 4 

  18. Hayashi, T., H. Ren, T. Akiba, H. Endo, and E. Watanabe. (1993). Extractive components of unutilized small crabs and their sensory evaluation as seasonings, Nippon suisan Gakkaishi. 59: 865 

  19. Hayashi, T., K. Yamaguchi, and S. Konosu(1978). Studies on flavor components in boiled crabs. II.Nucleotides and organic bases in extracts. Bull, Jpn. Soc. Sci. fish., 44: 1357 

  20. Hayashi, T., K. Yamaguchi and S. Konosu(1981). Sensory analysis of boiled snow crab meat, J. of Food Sci., 46: 479 

  21. Hiltz, D.F., and L.J. Bishop(1975). Postmortem glycolytic and nucleotide degradation changes in muscle of the Atlantic queen crab (Chionoecetes opilio) upon iced storage of unfrozen and of thawed meat, and upon cooking, Comp. Biochem. Physiol., B52: 453 

  22. Imabori, K. and Yamakawa, T. Taurine(1990). p. 786. In: Biochemistry Dictionary. 2nd ed. Tokyo Chemistry Companion, Tokyo, Japan 

  23. Jeong-Ro Park, Ll-Shid Moon, Senog-Hee Choi and Mi-Yae Shon(1999). Effects of Chitin and Chitosan on Lipid Metabolis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2), 477-483 

  24. Kim, S.B. and Park, T.(199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in from Crab Shell, Theories and Application of Chemical Engineering, 2: 1857-1860 

  25. Kim, S.B.(1996).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crystalline chitin from chell, Theories and Application of Chemical Engineering, 2: 1857-1860 

  26. Kim, S.D., Kim, M.H, and Kim, I.D.(1996). Originals Effect of Crab Shell on Shelf-life Enhancement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907-914 

  27. Kohara, T., R. Suzuki and Y. Iwami(1997). Handbook of food analysis, Kenbeisha, Tokyo, p. 87 

  28. Konosu, S., K. Yamaguchi, and T. Hayashi(1978). Studies on flavor components in boiled crabs. I. Amino acids and related components in the extracts, Bull. Jpn. Soc. Sci. Fish., 44: 505 

  29. Kwang-Soo OH(2002). The Character Impact Compounds of Oder Evolved from Cooked Shore Swimming Crab Flesh, J. Korean Fish. Soc. 35(2), 122-129 

  30. Kyoichi, O. T., Kodama, L.C., Koji, Y. and Michihiro, S.(1993). Levels and formation of oxidized cholesterols in processed marine foods, J. Agric. Food Chem., 41, 1893 

  31. Lee, E.H, and Sung, N.J.(1997). The Taste Compounds of Fermented Squid, Loligo Kobien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9: 255-254 

  32. Lee, J.H.(1974). Studies on the Variation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J, Korean Fish. Soc. 7:105-114 

  33. Martin, R.E, Flick F.J. and Ward D.R.(1982). 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Marine Food Products: chapter 17 the Flavor components in fish and shellfish, 370-371, AVI publishing co., westport, Connettcut 

  34. Michael N,V., and Botta J.R.(1989). Advance in Fisheries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for increased Profitability: Chapter VIII, Marine Fermentations Biotechnology, 461-462 Oder department Technomic Publishing Co. Inc. USA 

  35. No, H.K. and Lee, M.Y.(1995). Isolation of Chitin from Crab Shell W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105-104 

  36. Park, Y.H., Jang, D.S. and Kim, S.B. (1997). Free amino acids, pp. 149-153. In: Fisheries Processing and Utilization. 2nd ed. Hyeongseol Press, Seoul, Korea 

  37. Peng, S. K., Taylor. C., Bruce, P. T., Nicholas, T. W. and Belma, M. (1978). Effects of auto oxidation products from cholesterol on aortic smooth muscle cells, Arch Pathol, Lab. Med., 102, 57 

  38. Pion,P.D., Kittleson, M.D., Rogers, Q.R. and Morris, J.G.(1987). Myocardial failure in cats associated with low plasma taurine: A reversible cardiomypathy, Science 237: 764-768 

  39. Ro, R.H.(1988). Changes in Lipid Components of Salted-Dried Yellow Corvenia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Korean Fish, Soc. 21: 217-224 

  40. Take, T., Y. Yoshimura, and H. Otsuka.(1967). Studies on the tasty substances in various foodstuffs (Part10). On the tasty substances of edible crab (Chionoecetes opilio O. FABRICIUS), J. Home Econ. Japan, 18: 209 

  41. Tsuji, K.(1985). Taurine and Cholesterol metablism,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23: 217-218 

  42. Yositsuka, T., Ito, H., Ohta, A. and Tamura, T. Taurine(1991). In: A handbook of New Materials for Food Development. Korin Press Tokyo, Japan. 482-485 

  43. Zatta, P.(1987). Calcium and taurine interaction in the heart of the crab carcinus maenas, Can. J. Fish. Aquat Sci. 44: 1765-17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