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 Lactobacillus plantarum의 분리 및 특성 규명
Antifung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Kimchi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6 no.4, 2008년, pp.276 - 284  

양은주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해춘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숙성된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 1종과 감수성을 나타내는 곰팡이 1종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 조사와 165 rRNA 염기서열 결정을 통한 균주 동정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AF1으로 명명하였고, 감수성 곰팡이는 ITS-5.8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Epicoccum nigrum KF-1으로 명명하였다. Dual culture overlay assay를 통한 Lb. plantarum AF1의 항진균 활성 실험 결과 A. ochraceus, A fumigatus, C. gossypiicola 등 식품 부패 곰팡이 및 병원성 곰팡이에 강한 생육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균 물질에 의한 항미생물 활성 범위를 측정한 결과 항진균 활성 외에도 식중독균주를 포함한 그람 양성 및 음성 세균들에 강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Lb. plantarum AF1은 넓은 항미생물 활성 범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b. plantarum AF1의 생육에 따른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진균 활성은 배양 20시간부터 최대 활성(3,200 AU/ml)을 나타내어 120시간까지 활성이 감소되지 않고 유지되었다. 항진균 물질의 안정성 실험을 통하여 AF1 항진균 물질은 산성의 pH(pH $3.0{\sim}4.0$)와 열에 안정한 물질이며, 단백분해효소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비단백질성 물질이거나 단백분해효소의 영향을 받지않는 구조의 물질임을 추정하였다. AF1 항진균 물질의 분자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Lb. plantarum AF1의 배양액을 3,000 Da 이상과 이하의 분획으로 나누어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AF1 항진균 물질은 분자량 3,000 Da 미만의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 분리한 김치유산균인 Lb. plantarum AF1은 넓은 범위의 항진균 활성 및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강력한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lactic acid bacterium having antifungal activity was isolated from kimchi. It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based on its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and 16S rRNA sequence, and designated as Lb. plantarum AF1. This isolate inhibited the growth of Aspergillus flavus ATCC 2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분리 균주가 생산하는 항진균 물질의 특성을 조사하여 세균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곰팡이를 억제할 수 있는 강력한 천연 식품보존제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디..
  •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을 가진 유산균을 분리 - 동정하고 분리 균주의 항미생물 활성 범위를 조사하였다. 또한 분리 균주가 생산하는 항진균 물질의 특성을 조사하여 세균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곰팡이를 억제할 수 있는 강력한 천연 식품보존제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tanossova, M., Y. Choiset, M. Dalgalarrondo, J. M. Chobert, X., Dousset, I. Ivanova, and T. Haertle. 2003. Isolation and partial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roteinaceous anti-bacteria and anti-yeast compound produced by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 strain M3. Int. J. Food Microbiol. 87: 63-73 

  2. Aziz, N. H. and L. A. A. Moussa. 2002. Influence of gamma-radiation on mycotoxin producing moulds and mycotoxins in fruits. Food Control 13: 281-288 

  3. Bello, F. D., C. I. Clarke, L. A. M. Ryan, H. Ulmer, T. J. Schober, K. Strom, J. Sjogren, D. van Sinderen, J. Schnurer, and E. K. Arendt. 2007. Improvement of the quality and shelf life of wheat bread by fermentation with the antifungal strain Lactobacillus plantarum FST 1.7. J. Cereal Sci. 45: 309-318 

  4. Brul, S. and P. Coote. 1999. Preservative agents in foods. Mode of action and microbial resistance mechanisms. Int. J. Food Microbiol. 50: 1-17 

  5. Galvano, F., A. Piva, A. Ritieni, and G. Galvano. 2001. Dietary strategies to counteract the effects of mycotoxins: A review. J. Food Prot. 64: 120-131 

  6. Gould, G. W. 2001. New processing technologies: an overview. Proc. Nutr. Soc. 60: 463-474 

  7. Hoover, D. G. and S. K. Harlander. 1993. Screening methods for detecting bacteriocin activity, pp. 23-39. In Hoover, D. G. and L. R. Steenson. (eds.), Bacteriocins of Lactic Acid Bacteria.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U.S.A 

  8. Hussein, H. S. and J. M. Brasel. 2001. Toxicity, metabolism, and impact of mycotoxins on humans and animals. Toxicol. 167: 101-134 

  9. Kim, J.-D. 2005. Antifung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gainst Aspergillus fumigatus. Mycobiol. 33: 210-214 

  10. Kim, S. I., I. C. Kim, and H. C. Chang.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gent producing microorganisms and sensitive strain from soil. J. Kor. Soc. Food Sci. Nutr. 28: 526-533 

  11. Klaenhammer, T. R. 1988. Bacteriocin of lactic acid bacteria. Biochim. 70: 337-349 

  12. Lavermicocca, P., F. Valerio, A. Evidente, S. Lazzaroni, A. Corsetti, and M. Gobetti. 2000. Purification and chracterization of novel antifungal compounds from the sourdough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21B. Appl. Environ. Microbiol. 66: 4084-4090 

  13. Lee, H.-J., J.-H. Baek, M. Yang, H.-U. Han, Y.-D. Ko, and H.-J. Kim. 1993. Characterizations of lactic acid bacterial community during kimchi fermentation by temperature downshift. Kor. J. Microbiol. 31: 346-353 

  14. Magnusson, J. and J. Schnurer. 2001. Lactobacillus coryniformis subsp. coryniformis strain Si3 produces a broadspectrum proteinaceous antifungal compound. Appl. Environ. Microbiol. 67: 1-5 

  15. Magnusson, J., J. Strogren, and J. Schnurer. 2003. Broad and complex antifungal activity among environmental isolates of lactic acid bacteria. FEMS Microbiol. Lett. 219: 129-135 

  16. Niku-Paavola, M. L., A. Laitila, T. Mattila-Sandholm, and A. Haikara. 1999. New types of antimicrobial compounds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J. Appl. Microbiol. 86: 29-35 

  17. Okkers, D. J., L. M. T. Dicks, M. Silvester, J. J. Joubert, and H. J. Odendaal. 1999. Characterization of pentocin TV35b, a bacteriocin-like peptide isolated from Lactobacillus pentosus with a fungistatic effect on Candida albicans. J. Appl. Microbiol. 87: 726-734 

  18. Sanglard, D. 2002. Resistance of human fungal pathogens to antifungal drugs. Curr. Opin. Microbiol. 5: 379-385 

  19. Schnurer, J. and J. Magnusson. 2005. Antifungal lactic acid bacteria as biopreservatives. Trends Food Sci. Technol. 16: 70-78 

  20. Sjogren, J., J. Magnusson, A. Broberg, J. Schnurer, and L. Kenne. 2003. Antifungal 3-hydroxy fatty acids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MiLAB 14. Appl. Environ. Microbiol. 69: 7554-7557 

  21. Stiles, M. E. 1996. Biopreserv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tonie van Leewenhoek 70: 331-345 

  22. Strom, K., J. Sjogren, A. Broberg, and J. Schnurer. 2002. Lactobacillus plantarum MiLAB 393 produces the antifungal cyclic dipeptides cyclo(L-Phe-L-Pro) and cyclo(L-Phe-trans-4-OH-L-Pro) and phenyl lactic acid. Appl. Environ. Microbiol. 68: 4322-43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