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삼 및 천연물 혼합소재의 비만 유도 흰쥐에 대한 항비만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Ginseng and Herbal Plant Mixtures on Anti-Obesity in Obese SD Rat Induced by High Fat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4, 2008년, pp.437 - 444  

이성계 (KT&G 중앙연구원) ,  소승호 (KT&G 중앙연구원) ,  황의일 (KT&G 중앙연구원) ,  구본석 (KT&G 중앙연구원) ,  한경호 (KT&G 중앙연구원) ,  고상범 (한국화학시험연구원) ,  김나미 (KT&G 중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홍삼과 보이차, 노팔선인장을 소재로 하여 체중조절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없는 최적의 원료와 적정 섭취 농도를 설정하고자 홍삼, 보이차, 노팔선인장 혼합소재(DM1) 및 홍삼, 보이차 혼합소재(DM2)를 고지방식이로 8주간 비만을 유도한 수컷 흰쥐에게 100, 300, 500 mg/kg의 농도로 8주간 투여하면서 체중, 혈중 지질 분석, 복부 및 기타지방 조직, 비만에 관련된 몇 가지 생화학적 지표를 조사하였고, 간 기능과 신장 기능, 조혈 기능을 나타내는 생화학적 지표를 조사하였다. 체중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DM1 투여군에서 $77.1{\sim}51.8%$, DM2 투여군에서 $64.7{\sim}16.1%$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중성 지질의 농도는 DM1 투여군에서 고지방 식이군의 $84{\sim}54%$, DM2 투여군에서 $62{\sim}58%$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혈청 렙틴의 농도는 DM2 투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여 고지방식이군의 $82.8{\sim}66.9%$로 감소되었다. 혈중 인슐린의 농도는 DM1 투여군에서 고지방식이군의 $66.8{\sim}65.1%$, DM2 투여군에서 $66.7{\sim}62.5%$의 수준이었으며 1% 수준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부고환 주위 지방(좌/우), 내장지방, 신장주위 지방의 무게는 DM1 500 mg/kg과 DM2 300, 500 mg/kg 투여에서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고 DM2는 정상식이군의 수준으로까지 감소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간 조직내 지질침착도는 DM2 500 mg/kg 투여군에서는 감소하였다(p<0.05). 간과 신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AST, ALTALP, T-BIL, BUNWBC 수치는 시험물질 섭취군에서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고 RBC는 DM2 500 mg/kg 투여군에서 다소 증가하였고 다른 시험군에서는 큰 변화가 없어서 부작용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홍삼과 보이차, 노팔선 인장을 소재로 한 DM1과 DM2 복합 소재는 항비만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없었으며, 홍삼과 보이차를 혼합한 DM2의 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며, 적정 섭취 농도는 DM1은 500 mg/kg, DM2는 $300{\sim}500mg/kg$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besity effects of ginseng and herbal plant mixtures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natural materials for anti-obesity. After inducing obesity with high fat diet for 8 weeks in male SD rats, ginseng and herbal plant mixtures DM1 (ginseng, puer tea, opuntia) and DM2 (ginseng, puer tea) were admi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예비 실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홍삼과 보이차, 노팔선인장을 포함하는 항비만 혼합원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들을 2종 또는 3종으로 혼합한 원료를 농도 별로 동물에 투여하면서 체중, 혈중 지질 분석, 복부 및 기타지방 조직, 비만에 관련된 몇 가지 생화학적 지표를 조사하였고, 간 기능과 신장, 조혈 기능을 나타내는 생화학적 지표의 조사를 통하여 항비만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없는 최적의 혼합 원료와 적정 섭취 농도를 설정하고자하였다.
  •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부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간, 신장, 조혈 작용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간 기능의 바이오마커인 AST, ALT 및 담도계와 신장 기능의 바이오마커인 ALP, T-BIL, BUN을 측정한 결과 Table 4에서와 같이 AST와 ALT는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오차 범위가 크고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란 어떠한 상태를 말하는가? 비만은 에너지 소모량에 비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많아서 체내에 과잉된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된 상태를 말하며,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의 31.8%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나 1995년도의 14.
비만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어떤 것이 쓰이고 있는가? 비만은 에너지의 과다 섭취, 운동 부족 뿐 아니라 신경내분비적 요인, 약물원인, 유전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비만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식사, 운동, 행동 요법이나 약물 치료 등이 쓰이고 있다. 약물요법으로는 비만을 일으키는 작용기전에 따라서 식욕억제효과를 나타내는 리덕틸과 지방의 소화흡수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제니칼 등이 FDA의 승인을 받아 시판되고 있다(5).
비만 개선을 위한 약물요법에 사용되는 약물은 어떤 부작용을 동반하는가? 약물요법으로는 비만을 일으키는 작용기전에 따라서 식욕억제효과를 나타내는 리덕틸과 지방의 소화흡수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제니칼 등이 FDA의 승인을 받아 시판되고 있다(5). 이러한 약물은 기름변이나 복부 팽만감, 어지러움, 구갈, 변비, 혈압상승 등의 부작용을 동반한다(6). 이러한 약물의 부작용을 우려하여 최근에는 천연식물에서부터 체중조절에 효과적인 기능성 소재들을 찾아내고 이들의 작용기전을 밝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당류흡수억제, 체지방합성 억제, 지방 흡수억제, 식욕조절의 순으로 많은 특허가 출원되고 있다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summary 

  2. 보건복지부. 2005.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ealth plan 2010 분야별세부추진계획. p 61-64 

  3. Antipatis VJ, Gill TP. 2001. Obesity as a global problem. In International textbook of obesity. Per Bjorntorp, ed.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er, UK. p 3-22 

  4.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8.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WHO Consultation on Obesity, Geneva, 3-5 June, 1997 

  5. Kim MH. 2004. Updates in treating obesity. Korean J Health Psychol 9: 493-509 

  6. Reddy P, Chow MSS. 1998. Focus on orlistat: A nonsystemic inhibitor of gastrointestinal lipase for weight reduction in the management of obesity. Formulary 33: 943-959 

  7. Seo YH. 2005. Patent trend of anti-obesity supplementary food. Food World 8: 116-122 

  8. Burns AA, Livingstone MB, Welch RW, Dunne A, Rowland IR. 2002. Does-response effects of a novel fat emulsion ( $Olibra^{TM}$ ) on energy and macronutrient intakes up to 36 h post-consumption. Eur J Clin Nutr 56: 368-377 

  9. Delzenne NM, Cani PD, Daubioul C, Neyrinck AM. 2005. Impact of insulin and oligofructose on gastrointestinal peptides. Br J Nutr 1: 157-161 

  10. Zacour AC, Silva ME, Cecon PR, Bambirra EA, Vieira EC. 1992. Effect of dietary chitin on cholesterol absorption and metabolism in rats. J Nutr Sci Vitaminol 38: 609-613 

  11. Griffiths DW. 1986. The inhibition of digestive enzymes by polyphenolic compounds. Adv Exp Med Biol 1999: 509-516 

  12. Jung NP, Jin SH. 1996.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effects of Korean ginseng. Korean J Ginseng Sci 20: 431-471 

  13. Kim JH, Hahm DH, Yang DC, Kim JH, Lee HJ, Shim I. 2005. Effect of crude saponin of Korean red ginseng o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the rat. J Pharmacol Sci 97: 124-131 

  14. Lin JK, Lin-Shiau SY. 2006. Mechanisms of hypolipidemic and anti-obesity effects of tea and tea polyphenols. Mol Nutr Food Res 50: 211-217 

  15. Lin JK, Lin-Shiau SY. 2005. Fermented tea is more effective than unfermented tea in suppressing lipogenesis and obesity. 2005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novation in Tea Scie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ea Industry. November 11-15, Hangzhou, China. p 55-65 

  16. Hegwood DA. 1990. Human health discoveries with Opuntia sp. (prickly pear). Hort Sci 25: 1515-1516 

  17. Frati AC, Jimenez FE, Ariza CR. 1990. Hypoglycemic effect of Opuntia ficus indica in no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patients. Phytother Res 4: 195-197 

  18. Palevitch D, Earon G, Levin I. 1993.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with Opuntia ficus indica (L.) Miller. J Herbs Spices Med Plants 2: 45-49 

  19. Cardenas Medellin ML, Serna Saldivar SO, Velazco de la Garza J. 1998. Effect of raw and cooked nopal (Opuntia ficus indica) ingestion on growth and profile of total cholesterol, lipoproteins, and blood glucose in rats. Arch Latinoam Nutr 48: 316-323 

  20. Stuart AE, Smith II. 1975. Histological effects of lipids on the liver and spleen of mice. J Pathol 115: 63-71 

  21. Rivera CA, Abrams SH, Tcharmtchi MH, Allman M, Ziba TT, Finegold MJ, Smith CW. 2006. Feeding a corn oil/sucrose enriched diet enhances steatohepatitis in sedentary rats.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90: 386-393 

  22. Xiong MM, Zhang YM, Li XB, Ma CW. 2008. Effects of dietary Chinese cured mea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ood Chemistry 107: 60-67 

  23. Rim JCK, Kang SA. 2001. Effect of high fat and high carbohydrate diet on serum leptin and lipids concentration in rat. Korean J Nutrition 34: 123-131 

  24. Maffei M, Halaas J, Ravussin E, Pratley RE, Lee GH, Zhang Y, Fei H, Kim S, Lallone R, Ranganathan S, Kern PA, Friedman JM. 1995. Leptin levels in human and rodent: measurement of plasma leptin and ob RNA in obese and weight-reduced subjects. Nature Med 1: 1155-1161 

  25. Havel PJ, Kasim KS, Mueller W, Johnson PR, Gingerich RL, Stern JS. 1996. Relationship of plasma leptin to plasma insulin and adiposity in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women: effects of dietary fat content and sustained weight loss. J Clin Endo Met 81: 4406-4413 

  26. Tanizawa Y, Okuya S, Ishihara H, Asano T, Yada T, Oka Y. 1997. Direct stimulation of basal insulin secretion by physiological concentration of leptin in pancreatic beta cell. Endocrinology 138: 4513-4516 

  27. Hong KH, Kang SA, Kim SH, Choue RW. 2001. Effect of high fat diet on serum leptin and insulin level and brown adipose tissue UCPI expression in rat. Korean J Nutrition 34: 865-8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