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일상생활 수행 능력, 영양 상태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trition Status in the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8 no.1, 2008년, pp.122 - 130  

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동대문병원) ,  이에리쟈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ssociated factors of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Korea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elderly's health management.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design. The subject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 일상생활 수행 능력, 영양상태, 공존이 환율, 교육 정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주관적 건강중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의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주관적 건강중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주관적 건강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건강수명을 연장하여 보다 질 높은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Kim, 2004).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1991년 노인의 영양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미국 영양사협회, 미국가정의학회, 국립노화위원회가 30여개의 관련 단체 협조를 얻어 공동개발한 Nutritional Screening Initiative (NSI)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것을 말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가노인의 주관적 건강, 일상생활 수행능력, 영양상태, 공존이 환율 교육 정도를 파악하고, 주관적 건강 중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궁극적으로 건강수명을 연장시키고,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bak, M., Pikhart, H., Hertzman, C., Rose, R., & Marmot, M. (1998). Socioeconomic factors perceived control and self-reported health in Russia. A cross-sectional survey. Soc Sci Med, 47, 269-279 

  2. Choi, E. J. (2000). Social relationship, social support and mental and physical health for old adults. Society Culture, 11, 185-203 

  3. Choi, Y. J., Park, Y. S., Kim, C., & Chang, Y. K. (2004). Evaluation of functional ability and nutritional risk according to Self- Rated Health (SRH) of the elderly in Seoul and Kyunggi-do. Korean Nutr Soc, 37, 223-235 

  4. Gong, S. J., Kim, H. S., & Ha, M. O. (2005). The predi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J Korean Acad Adult Nurs, 17, 368-378 

  5. Han, A. K. (2004). A study on physiological parameter, physical health status, and health perception in the elderly. J Korean Acad Adult Nurs, 16, 460-469 

  6. Han, K. H. (2000).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male and female in chong-ju area. J Appl Sci Technol, 6(1), 307-329 

  7. Jang, E. H., Kim, H. J., Kwon, K. N., Chung, K. A., Kim, Y. H., & Lee, I. H. (2003). A survey on physical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who live alone and who live with family. Yeungnam College Science Technology, 33, 91-104 

  8. Jung, Y. M. & Kim, J. H. (2004). Comparison of cognitive levels, nutritional status, depression in the elderly according to living situations. J Korean Acad Nurs, 34, 495-503 

  9. Kanagae, M., Abe, Y., Honda, S., Takamura, N., Kusano, Y., Takemoto, T., et al. (2006). Determinants of self-rated health among community-dwelling women aged 40 years and over in Japan. Tohuku J Exp Med, 210(1), 11-19 

  10. Keller, H. H. (2004). Nutri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rail older adults. J Nutr Health Aging, 8, 245-252 

  11. Kennedy-Malone, L., Fletcher, K. R., & Plank, L. M. (2004). Management guidelines for nurse practitioners working with older adults (2nd ed.). Philadelphia: F. A. Davis Company 

  12. Kim, C. G. (2007). The relationship of family support, health perception,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in elders. J Korean Gerontol Nurs, 9(1), 14-21 

  13. Kim, Y. S. (2003). Health state variation and health management of old 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Pusan 

  14. Kim, C. G., Jang, H. J., & Kim, S. S. (2001). The correlation between ability of activity in daily living and self-care agency among elderly in chunchon province. J Korean Acad Adult Nurs, 13(1), 40-52 

  1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Retrieved from http://www.nso.go.kr 

  16. Lawton, M. P., & Brody, E. M. (1969).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Gerontologist, 9, 179-186 

  17. Lee, S. Y., Choi, S. J., & Na, Y. H. (2001). A study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Korean J Gastrointestinal Mortality, 7(1), 6-17 

  18. Lee, K. J., & Park, H. S. (2006). A study o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elderly in urban areas. Korean J Women Health Nurs, 12, 221-230 

  19. Mahoney, F. J., &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 index. Md State Med J, 14(1), 1-3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7). The World Health Report. Retrieved Nov. 6, 2007, from http:// www.nso.go.kr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 Society at a glance-OECD social indicators. Retrieved Aug. 31, 2007, from http:// www.nso.go.kr 

  22. Phillips, L, J., Hammock, R. L., & Blanton, J. M. (2005). Predictors of self-rated health status among Texas residents. Prev Chronic Dis, 2(4), 1-10 

  23. Ro, Y. J., & Kim, C. G. (1995). Comparisons of physical fitness, self efficacy,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between institutionalized and noninstitutionalized elderly. J Korean Acad Nurs, 25, 259-278 

  24. Shah, S., Vanclay, F., & Cooper, B. (1989).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barthel Index for stroke rehabilitation. J Clin Epidemiol, 42, 703-709 

  25. Smith, A. M., Shelley, J. M., & Dennerstein, L. (1994). Self-rated health: biological continuum or social discontinuity? Soc Sci Med, 39(1), 77-83 

  26. Song, K. C., & Kim, D. K. (2002).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elderly in a rural area and study for related factors. J Korean Geriatr Soc, 6(1), 29-40 

  27. Sung, J. A. (2007). A study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8. Ware, J. E. (1976). Scales for measuring general health perceptions. Health Serv Res, 11, 396-415 

  29. Ware, J. E., & Sherbourne, C. D. (1992).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 Care, 30, 473-483 

  30. Woo, E. K., Han, C. S., Jo, S. A., Park, M. K., Kim, S. S., Kim, E. K., et al. (2007). Morbidity and related factors among elderly people in South Korea: results from the Ansan Geriatrics (AGE) cohort study. BMC Public Health, 7(10), 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