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단지시설의 연결성 및 접근성 연구

EConnectivity and Accessibility Measurement of Facilities in a Residential Complex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16 no.4, 2008년, pp.65 - 71  

서현지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대학원) ,  장훈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세형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정부 정책으로 건설된 신도시의 2006년 이후 설계된 500세대 이상의 복합주거단지를 두 곳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접근성 및 연결성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들에서의 접근성 및 연결성 이론과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접근성 및 연결성 지수, MST를 활용한 효율성 지수를 측정하였다. 건축도면으로 각 단지의 Node와 Edge를 추출하고 접근성 행렬을 유도해 내었다. 그 결과, 두 대상지의 연결성 지수들 모두 1보다 작아 다소 낮은 수치를 나타냈고, 접근성 지수는 동탄 신도시가 86.922로 일산 신도시의 96.199보다 작았으며, MST 값을 활용한 효율성 지수는 0.26으로 두 대상지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다. 측정한 지수를 근거로 주거단지 내의 기하학적인 평가와 주민들의 통행편이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wo residential complexes, both built in the New City area after 2006 and both composed of over 500 households, were selected to estimate an efficient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index using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theories and methods from previous studies. With architect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보도 통행의 설계와 상업지구의 상점 또는 지역의 중요한 시설에 대한 연결성 및 접근성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방법이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지역, 상업지역 또는 지역의 중요한 시설 간 통행망의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보도통행에 관련한 기존의 다양한 이론들을 적용하여 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사항에 대한 평가를 위해 대형 복합 주거 단지를 대상으로 공간이 갖는 접근성 및 연결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내주기 위해 선행 연구들에서의 접근성, 연결성 이론을 이용하여 평가 기준을 마련해 보았다.
  • 따라서 실제 대형 복합 거주단지 사례연구를 통해 거주 자들의 편익시설의 이용거리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주거단지계획 시 편익시설 배치에 고려할 거주자 측면의 계획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 본 연구는 대형 복합 거주공간을 대상으로 공간이 갖는 접근성 및 연결성의 용이함을 정량적으로 나타내주는 공 간 분석 기법을 시행해 보았다. 효율적인 접근성 및 연결 성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접근성 및 연결성 이 론과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적용 및 검증 을 위해 실제 대형 복합 거주공간을 대상으로 보도통행로 와 사용시설조사를 실시하여 복합 거주시설 내의 시설물 과 거주지 사이의 접근성 및 연결성 지수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개념적인 평가에 의존하고 있는 주거단 지의 통행망의 연결성 및 접근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측정하였다. 실제 대형 복합 거주공간 두 곳을 대상으로 단지 내 보도통행의 접근성 및 연결성을 정량적으로 나 타내주는 공간 분석 기법을 시행한 결과 두 연구 대상지 의 연결성 지수들은 모두 다소 낮은 수치를 나타냈는데 이는 불필요한 Node 와 Edge의 수가 많기 때문으로 추정 되며, 이러한 불필요한 Node 와 Edge는 다른 관점에서 단지 내에 거주자 또는 보도 통행자들을 위한 산책로나 공원, 휴게시설과 같은 편의시설을 제공하였기 때문에 생긴 결과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 및 도시설계분야에 있어서 연결성의 개념이 유사 개념과 혼용하여 쓰여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연결성은 이용과 편리에 관계된 속성으로 동선의 연결 뿐만 아니라 시각적 연결까지 주호, 주동, 단지, 도시 각 영역에 걸쳐 두루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연구 개념이다. 건축 및 도시설계분야에 있어서 연결성의 개념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명확하게 정의된 바 없고, 연 계성, 접근성, 인접성, 근접성 등의 유사 개념과 혼용하여 쓰여 지고 있다.
교통지리학에서 접근성은 무엇으로 정의할 수 있는가? 교통지리학에서 접근성은 Node와 Edge로 구성된 교통망의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얼마만큼의 연결성을 보유하는지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즉, 접근성은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최단거리로 도달할 수 있는 Edge수인 것이다(Shimbel, 1953). 이러한 개념의 접근성은 그래프 이론을 적용한 접근성 측정모형으로 산출될 수 있고, 단순히 직접연결이 있느냐 없느냐 하는 연결성에 대한 단순한 정보로부터 출발하지만 교통망 상의 각 Node들이 그 외의 Node들에 대한 접근성의 개념으로 쓰일 수 있어 접근성의 공간구조에 대한 기하학적 분석에 많이 이용되어왔다(이금숙, 1995).
Node들 상호간에 연결된 상태에 대한 정보는 무엇으로 표현할 수 있는가? Node들 상호간에 연결된 상태에 대한 정보는 거리에 해당하는 값을 단위 1로 대체하여 연결도 행렬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고, 이러한 행렬은 분석구역 내의 선택된 Node 개수에 관계없이 항상 정방 행렬로 나타난다. 또한 연결도 행렬은 임의의 분석 구역에 존재하는 Node들의 간의 상대적인 접근 용이도를 나타내는 ‘접근성 행렬’을 유도해 내는 데에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