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의 본성의 측면에서 10학년 과학의 탐구 단원 분석
Analysis of Inquiry Unit of Science 10 in Terms of Nature of Scienc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8 no.6, 2008년, pp.685 - 695  

조정일 (전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의 본성의 관점에서 과학의 탐구 단원의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10종의 10학년 과학 교과서 탐구단원 속에 있는 학습 목표, 활동, 문장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내용, 관점, 제시방법을 분석하였다. 10종 교과서의 학습 목표들은 과학의 정의, 과학자의 특성, 과학적 방법, STS로 대분류되었다. 한편 과학 지식의 특성과 모델 형성 등과 같은 구체적인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관점은 학습목표에 포함되지 않았다. 활동 총 38개 중 17개가 어떤 정보도 주지 않은 과제형으로 제시되었다. 21개는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 그것을 기초로 활동하는 형식이었다. 어느 경우이든 그 활동을 통해 배워야할 NOS 요소와 그에 대한 타당한 관점에 대한 명시적 언급이 없거나 부족했다. 과학 교과서 문장도 4영역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현대적 관점과 고전적 관점이 혼재되어 있었다. 특히 과학의 정의는 귀납주의적 진술이 많았고, 과학 지식의 생성은 이론 형성보다는 법칙의 발견으로 표현되었다. 교사 수준에서 NOS에 대한 학습 목표와 학습 내용 제시와 함께 분명한 관점이 반영된 읽을거리를 제공해야만 효과적인 과학의 본성 수업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nalysis on the Inquiry unit of Science 10 textbooks was conducted in terms of nature of science (NOS). The subject of the analysis was instructional objectives, activities and sentences in the unit of ten Science 10 textbooks. Contents of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could be grouped into nat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들은 7차 교육과정의 한 교과서를 이용하여 과학의 정의, 과학의 발달, 과학적 방법에 대한 견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주제에 대해 귀납주의, 상대주의, 반증주의의 견해를 보인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한 교과서의 몇 단락을 근거로 그런 결과를 얻었다는 점에서 결론의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지만, 교과서의 진술을 토대로 그 교과서가 채택하고 있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을 조사한 점에 있어서는 새로운 접근으로 보인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과 과학적 탐구 과정과 과학적 지식의 특성을 중심으로 교과서가 보이는 관점을 분석하였다. 이 주제들은 현재 NOS에 대한 연구들에서 가장 빈번하게 연구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김준예, 전은경, 백성혜, 2007; Khishfe and Abd-ElKhalick, 2002; Schwartz, Lederman and Crawford, 2004).
  • 학습목표를 가지고 각 단원에서 다루는 중요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습 목표는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 중요한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단어들을 추출하여 본문 내용과 활동에서 다루고 있는 과학의 본성의 요소를 파악하였다. 즉 학습 목표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된 단어일수록 그와 관련된 본문과 활동 내용의 비중이 많을 것이라고 보았다.
  • 그 교과서들에는 총 55개의 소단원이 있으며, 각 소단원의 학습 목표를 조사하였다. 학습목표를 가지고 각 단원에서 다루는 중요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습 목표는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 중요한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단어들을 추출하여 본문 내용과 활동에서 다루고 있는 과학의 본성의 요소를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목표에 따른 내용 분석은 전체적인 경향을 아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 자료를 가지고 각 요목별로 배정된 학습목표의 비율을 파악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한 이유는? 유사한 용어들을 분류하는데 특별한 어려움은 없었다. 이러한 분석에서의 제한점은 단원별 학습목표의 수가 일정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학습 목표의 수준 또한 다르다는 점이다. 따라서 학습목표에 따른 내용 분석은 전체적인 경향을 아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 자료를 가지고 각 요목별로 배정된 학습목표의 비율을 파악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교사의 주입식 교수방법으로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학습은 무엇인가? 문헌을 통해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습은 교사의 주입식 교수방법으로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볼 수 있다. 대신 학생들이 직접 활동에 참여하되 교사가 가르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해 명시적으로 지적하고 학생들이 그 활동과 관련하여 반성적인 사고를 할 기회를 주도록 촉구한다 (Khishfe and Abd-El-Khalick, 2002; Sandoval and Morrison, 2003; Schwartz, Lederman and Crawford, 2004).
학생들에게 과학교과서는 어떤 원천인가? 과학교과서는 학생들에게 제일 중요한 과학지식의 원천이다 (Weiss, 1977; Harms and Yager, 1981). 1960년대 출판된 고등학교 생물교육과정인 Biological Sciences Study Curriculum (BSCS)은 학생들이 탐구로서의 과학을 이해하고 체득하도록 여러 전략을 활용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 (1998). 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2. 김문선 (2008).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 조사들의 메타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3. 김안나 (2008). 고1 과학 교과서 탐구 단원의 과학 의 본성 요소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준예, 전은경, 백성혜 (2007). 과학 교과서 및 과 학 교사, 고등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09-817 

  5. 전경문, 박현주, 노태희 (2004). 고등학교 과학 교과 서의 과학의 탐구 단원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 분석: 6차 와 7차 교육과정에서 개발된 교과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825-832 

  6. 조정일, 이현욱 (1997). 생물학 탐구의 원리. 서울: 교육과학사 

  7. 최승희 (2007). 10학년 과학교과서의 과학의 본성 내용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Aikenhead, G. S. (1987). High school graduates' beliefs about science-technology-society III: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Education, 71(4), 459-489 

  9. Aikenhead, G. S. & Ryan, A. G. (1992). The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Views on Science- Technology-Societty"(VOSTS). Science Education, 76(5), 477-491 

  1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1. Carey, S. S. (1998). A beginner's guide to scientific method (2nd Ed.).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2. Harms, N. C. & Yager, R. E. (Eds) (1981).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Vol. 3. Washington, D. 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3. Khishfe, R. & Abd-El-Khalick, F. (2002). Influence of explicit and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oriented instruction of sixth grad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551-578 

  14.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15. Martin-Hansen, L. (2002). Defining Inquiry. The Science Teacher, February, 34-37 

  16.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y Press 

  17. Nott, M., & Wellington, J. (1993). Your nature of science profile: an activity for science teachers. School Science Review, 75(270), 109-112 

  18. Park, J. (2007). A study of new models for scientific inquiry activity through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A proposal for a synthetic view of the NO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2), 153-167 

  19. Rubba, P. A., & Anderson, H. O. (1978). Development of instrument to assess second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Education, 62(4), 449-458 

  20. Rudolph, J. L. (2000). Reconsidering the 'nature of science' as a curriculum component.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2(3), 403-419 

  21. Schwab, J. J. (1963). Biology teachers handbook.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22. Schwartz, R. S., Lederman, N. G. & Crawford, B. A.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4), 610-645 

  23. Smith, C. L., Maclin, D., Houghton, C. & hennessey, M. G. (2000). Sixth-grade students' epistemologies of science: The impact of school science experiences on epistemological development. Cognition and Instruction, 18(3), 349-422 

  24. Tamir, P. (1985). Content Analysis focusing on inquiry.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7(1), 87-94 

  25. Weiss, I. R. (1977). Report of the 1977 national survey of science,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6. Yager, R. E. (1996).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in science educ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