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사자(Cuscutae Semen)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항돌연변이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Cuscutae Semen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4 no.1, 2008년, pp.46 - 51  

전연희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현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라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장수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토사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항돌연변이 활성을 분석하였다. 토사자 에탄올 추출물은 100 ppm, 200 ppm의 농도에서 BHT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토사자 추출물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농도에서는 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았으며, 직접돌연변이원인 4-NQO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를 90% 이상 억제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어 우수한 항돌연변이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사자 에탄올 추출물은 폴리페놀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이들 항산화 물질이 토사자의 항산화 효과와 항돌연변이 활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 연구 결과 토사자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함께 돌연변이 유발을 억제하는 항돌연변이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천연항산화제 및 고부가가치의 기능성식품 신소재로서 이용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Cuscutae semen ethanol extract were evaluated.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by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method and the Ames test was employed to determine the inhibition effect on mutagenicity in Salmonella typhimu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사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항돌연변이 활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 의 탐색과 고부가가치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유용성을 알 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토사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항돌연변이 활성을 분석하였다. 토사자 에탄올 추출물은 100 ppm, 200 ppm의 농도에서 BHH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가설 설정

  • 1) Data are expressed as means ± SD of histidine positive revertant colonies on plat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BY Kim DG Choi DS. 1999. Antimutagenic effect of Salvia Miltriorrhza Bunge.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3): 197-202 

  2. Ames BN. 1983. Dietary carcinogens and anticarcinogens. Oxygen radical and degenerative diseases. Science 221(4617): 1256-1264 

  3.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4617): 1199-1200 

  4. Chance B, Sies H, Boveris A. 1979. Hydroperoxide metabolism in mammalian organs. Physiol Rev 59(3): 527-605 

  5. Chen JH, Ho CT. 1997. Antioxidant activities of caffeic acid and its related hydroxycinnamic acid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5(7): 2374-2378 

  6. Cuvelier ME, Richard H, Berset C. 1996.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enolic composition of pilot-plant and commercial extracts of sage and rosemary. J Am Oil Chem Soc 73(5): 645-652 

  7. Fridorich I. 1986. Biological effects of the superoxide radical. Arch Biophys 247(1): 1-11 

  8. Guo HZ, Li JS. 2000. Study on constituents of the seed from Cuscuta australis. J Beijing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3(3): 20-23 

  9. Han SH, Woo NR, Lee SD, Kang MH. 2006.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ndemic plants extracts in Korea. Korean J Med Crop Sci 14(1): 49-55 

  10. Hussain SR, Cillard J, Cillard P. 1987.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oids. Phytochem 26(9): 2489-2491 

  11. Iqbal S, Bhanger MI, Anwar F. 2005. Antioxidant properties and components of some commercially available varieties of rice bran in Pakistan. Food Chem 93(2): 265-272 

  12. Jimenez-Escrig A, Rincon M, Pulido R, Saura-Clixto F. 2001. Guava fruit (Psidium guajava L.) as a new source of antioxidant dietary fiber. J Agric Food Chem 49(1): 5489-5493 

  13.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o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 J Food Sci Technol 28(2): 232 

  14. Kim BS, Park YG, Kang BS. 1997.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effect of Cuscutae Semen. Korean J Herbol 12(1): 67-84 

  15. Kim EY, Baik IH, Kim JH, SR Kim,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2): 333-338 

  16. Kwak CS, Im SJ Kim SA, Park SC, Lee MS. 2004.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uckwheat, sorghum, millet and Job's te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6): 921-929 

  17. Lee KI, Park KY, Rhee SH. 1992. Antimutagenic effect of greenyellow vegetables toward aflatoxin B1 and 4-nitroquinoline-1- oxide. J Korean Soc Food Nutr 21(1): 143-148 

  18. Lee MY, Joo JS. 1989. Effect of Cuscutae extract on experimentally induced liver demage in rabbits. J Korean Soc Food Nutr 18(3): 333-337 

  19. Maron DM, Ames BN.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t Res 113(3-4): 173-215 

  20. Miyahara K, Du XM, Watanabe M, Sugimura C, Yahara S, Nohara T. 1996. Resin glycosides. XXIII. Two novel acylated trisaccharides related to resin glycoside from the seeds of Cuscuta chinensis. Chem Pharm Bull 44(3): 481-485 

  21.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1): 109-114 

  22. Oh DH, Ham SS, Park BK, Ahn C, Yu JY. 1998.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atural medicinal herbs on the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4): 957-963 

  23. Oh HC, Kang DG, Lee SY, Lee HS. 2002.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from Cuscuta japonica Choisy. J Ethnopharmacol 83(1): 105-108 

  24. Pan HJ, Sun HX, Pan YJ. 2005. Adjuvant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Semen Cuscutae on the immune responses to ovalbumin in mice. J Ethnopharmacol 99(1): 99-103 

  25. Park CS. 2005.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2(6): 631-636 

  26. Park JW, Lee YJ, Yoon S. 2007. Total flavonoids and phenolics in fermented soy products and their effects on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by different assays. Korean J Food Culture 22(3): 353-358 

  27. Park YS.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 compound of medicinal herb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1): 23-31 

  28. Pellegrini N, Re R, Yang M, Rice-Evans C. 1999.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e 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 Enzymol 299: 379-389 

  29. Sato M, Ramarathna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1996.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ic Food Chem 44: 37-41 

  30. Steele VE, Kelloff GJ. 2005. Development of cancer chemopreventive drugs based on mechanistic approaches. Mutat Res 591(1-2): 16-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