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B형간질환에서 HBV백신 및 항바이러스치료가 간세포암종 발생에 미치는 효과
Long Term Effects of Lamivudine and Adefovir dipivoxil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on the Develop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원문보기

영남의대 학술지 =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25 no.1 = no.46, 2008년, pp.1 - 18  

이헌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80년대부터 시행된 HBV 감염의 예방 백신접종으로 HBV 감염율이 감소되고 1997년부터 시작된 핵산유사체인 LMV의 항바이러스치료 효과로 인하여 CHB 환자에서 HBV 증식 억압이 가능하게 되면서 10~20여년 동안 HCC 발생율이 현저히 감소된다는 보고가 증가하고 있으며 21세기 전반기에는 1980년대 부터인 백신접종가능 시기 이후의 출생자들이 성인이 되는 시점이 되면 HBV 감염율 감소로 동반된 HCC 발생율의 현저한 감소를 예측하고 있다. 이미 백신 개발 이 전에 또는 백신접종의 기회를 얻지 못하고 이미 영유아 시기에 감염되어 CHB에 이환된 환자들의 간경변증, HCC 등 만성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항바이러스치료가 필요하였으나 1980년대 후반에 유일하게 CHB 치료제로 인정된 인터페론은 치료 적응증이나 그 효과에 있었으나 극소수의 제한된 환자에서 제한된 효과만이 입증되었으며 특히 역학적 차이로 인한 바이러스학적, 개체 면역학적 조건에 따라 전혀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수직감염자가 대다수인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부분의 고감역지역에서는 우선 선택되지 않는 약제였으며 장기 효과에 대해서는 이십여년이 지난 시점에도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1997년부터 극적인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LMV을 투약할 수 있게 되었다. LMV의 HCC 발생 억제효과를 높이기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은 필수적인 장기투약에 의해 발생되는 내성 바이러스의 출현이며 이는 간기능뿐 만아니라 HCC 발생의 위험도 높일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LMV 이후 처방 허가된 ADV, telbivudine(LdT), ETV, CLV, TDF 등도 장기 투약시 내성바이러스 발생이 가능하나 내성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약의 선택과 새로운 약제의 개발과 동시에 치료 원칙의 정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바이러스치료로 CHB의 진행 및 만성 합병증 발생의 빈도가 감소되고 있으며 HCC 발생 역시 감소될 것이며, 그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내성변이종 발생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치료대상, 치료기준, 약제의 선택과 방법 및 면밀한 검사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일단 HBV에 감염되면 과거감염이건 현재 감염이건 현재의 핵산유사체 제제로 HBV DNA 증식을 억제하더라도 간조직내 cccDNA와 융합된 HBV DNA를 보유할 수 있으며 그 증거로는 HBsAg이 음성인 HCC 환자의 혈청이나 간조직에서 HBV DNA가 발견되는 빈도가 높다는 증거가 무수히 많고, 상황에 따라서는 간질환의 원인이 된다는 보고가 다수 있으므로 가장 완벽하고 확실한 예방법인 HBV 백신 접종이 무엇보다 필수적이며 전세계 대부분의 HCC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제시되고 있는 항바이러스제 치료기준은 혈청 간세포괴사치 상승을 조건으로 제한하는데 혈청 ALT치나 HBeAg 상태에 무관하게 간 조직의 상태나 HBV DNA치의 증가와 비례해서 간경변이나 HCC 발생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Lamivudine and adefovir dipivoxil are efficacious drugs for preventing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their efficacy is far from completely satisfactory. The risk of liver cirrhosis and HCC begins to increase at an HBV DNA level of $10^4$ copies/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1980년대부터 시행되어온 HBV 예방백신접종으로 인한 HBV 감염율의 변화 및 HCC 발생예방효과에 관한 문헌조사를 하고 HBV에 이미 감염된 만성 B형 간질환 환자들에게 근래 10 여년간 활발히 투약해 오고 있는 경구 복용제인 핵산유사체인 LMV 및 LMV 내성바이러스 치료를 위한 동정투약으로 2003년부터 사용한 아데포비르 디피복실(adefovir dipixoxyl: ADV) 등의 한시적인 치료가 복합적인 발생 유발 위험요인과 수 십년 이상의 장기 만성경과를 필요로 하는 HCC 발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관찰하고자 1997년부터 2005년 사이에 영남의대 내과에서 LMV 및 ADV로 치료 받은 1867명 중 874명과 비치료군 2803명중 286명을 대상으로 임상경과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만성 B형 간질환 환자는 치료시점에서 이미 비가역적인 HCC 발생 위험요인이 조직에 내재해 있을 수 있고 또한 치료 후의 다양한 반응에 따라서 HCC 발생 위험 감소 효과를 얻지 못할 수도 있다. 항바이러스치료 목표는 최대한 HBV 증식을 차단하여 HBV DNA양과 기간을 줄여 간세포괴사로 인한 경변화를 막고 간세포 유전자의 악성변화를 막는 것이다. 완치약이 없는 현재로서 인터페론이나 핵산유사체 제제로 항바이러스치료를 하는데 있어서는 약제의 부작용, 치료효과의 한계와 돌연변이 내성바이러스 발생으로 인한 간기능 악화와 HCC 발생 위험 증가의 가능성 및 새로운 변종의 전파 등 치료 측면에서의 여러가지 부담과 치료효과의 필요성을 가늠하여 적절한 치료를 하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가장 정밀한 검사와 정확한 첨단의 지식으로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치료를 결정하여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 5번째 많은 암은? HCC는 세계 5번째 많은 암이며 3대 사망원인의 하나고 우리나라에서도 남성사망의 주요 원인의 하나로 10 만명당 32.5명이 간암으로 사망하며 5년 생존율이 췌장암 다음으로 낮은 9.
HBV 고감염지역은? 1965년 Blumberg에 의해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혈청에서 HBsAg 입자로 발견되기 시작한 B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는 혈청감염 질환으로 전세계 4억 이상의 인구가 감염되어 있고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HCC)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전세계 HCC 발생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역학적으로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70∼90% 정도의 환자는 만성 B형간염(chronic hepatitis B: CHB)과 관련이있으며 HBV에 만성적으로 감염된 성인 남자에서의 HCC 발생 위험율은 여자보다 4∼8배, 비감염자보다 200배 이상 높고 어린시기에 감염이 된 환자보다 성인이 된 후 감염된 환자에서는 HCC 발생위험이 훨씬 낮다.1-10) HBV 감염과 HCC발생은 저개발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 많고 특히 중국, 동남아시아, 사하라 남부 아프리카지역처럼 HBV 고감염지역이면서 중국, 홍콩, 타이완이나 우리나라 처럼 유전자형 C형바이러스와 수직감염 및 유아기, 소아기 수평감염이 만연한 지역에서는 HBV가 HCC 발생의 주원인임이 명백히 밝혀져 있다(Table 1).3, 9-14)
HBV 감염과 hepatocellular carcinoma 발생이 많은 국가와 그 특징은? 1965년 Blumberg에 의해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혈청에서 HBsAg 입자로 발견되기 시작한 B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는 혈청감염 질환으로 전세계 4억 이상의 인구가 감염되어 있고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HCC)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전세계 HCC 발생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역학적으로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70∼90% 정도의 환자는 만성 B형간염(chronic hepatitis B: CHB)과 관련이있으며 HBV에 만성적으로 감염된 성인 남자에서의 HCC 발생 위험율은 여자보다 4∼8배, 비감염자보다 200배 이상 높고 어린시기에 감염이 된 환자보다 성인이 된 후 감염된 환자에서는 HCC 발생위험이 훨씬 낮다.1-10) HBV 감염과 HCC발생은 저개발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 많고 특히 중국, 동남아시아, 사하라 남부 아프리카지역처럼 HBV 고감염지역이면서 중국, 홍콩, 타이완이나 우리나라 처럼 유전자형 C형바이러스와 수직감염 및 유아기, 소아기 수평감염이 만연한 지역에서는 HBV가 HCC 발생의 주원인임이 명백히 밝혀져 있다(Table 1).3, 9-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