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방개(Eleocharis kuroguwai Ohwi)를 이용한 전통약주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ative Properties of Traditional Sake Using Allbangga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6, 2008년, pp.784 - 791  

정철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발효식품과학과) ,  이인숙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발효식품과학과) ,  이시경 (건국대학교 축산대학원 식품공학과) ,  강순아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발효식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pergillus sp.와 Rhizopus sp.의 누룩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로 접종한 후, 올방개의 함량을 0, 10, 20, 30, 40, 50%로 담금하여 얻은 술덧의 성분과 향기성분 그리고 관능검사로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술덧의 주정도는 발효 $3{\sim}5$일 사이에 가장 많은 알코올 발효가 일어나 $15.3{\sim}16.4%$로 나타냈으며 올방개가 10% 함유한 실험구가 16.4%로 가장 높았으며, 올방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주정도가 낮아져 50% 올방개 약주의 주정도는 15.3%였다. 아미노산도$0.90{\sim}1.20%$이었으며, 올방개 10%와 20% 첨가구에서 아미노산도가 1.20%로 가장 높았으며, 환원당은 올방개 10%일 때 8.2로 가장 낮았고, 이는 올방개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점점 높아졌다. 올방개를 첨가한 술덧의 유기산구연산, 호박산, 사과산, 초산이 검출되었으며 초산 함량이 $160.3{\pm}8.0{\sim}253.3{\pm}20.3mg/100mL$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총유기산은 20% 술덧이 $330.9{\pm}28.6mg/100mL$로 가장 높게 확인되었으며 50% 술덧이 $17.14{\pm}9.3mg/100mL$로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각 술덧별 주요 아미노산은 알라닌, 프롤린,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라이신, 글루타믹산 등이었으며 총 17종이 검출되었고 올방개 20% 첨가한 술덧에서 총 아미노산이 $341.1{\pm}30.7mg%$로 가장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효모 수는 발효종료 7일에 $4.4{\sim}6.2{\times}10^8cells/mL$가 검출되었다. 각 술덧별 향기성분은 흡착법(SPME)으로 분석한 결과 10종이 검출되었으며, 주요 향기성분은 에틸아세테이트, 이소아밀알코올, 이소뷰틸알코올로 올방개 20% 술덧에서 향기성분이 높게 검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new sake fermented using a mixture of Aspergillus sp., Rhizopus sp. and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containing allbanggae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allbanggae contents ($0{\sim}50%$) in the sake on the qualitative and sensory properties and flavor componen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양조주의 유효성분정량에 관한 연구로는 백포도주의 페놀류 함량(12), 침출기간에 따른 작약과 당귀의 지표성분 분석(13), 도토리 약주의 탄닌 성분(14), 알로에 발효주의 barbaloin 함량 등이 보고(15)되어 있지만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며 올방개를 이용한 술 제조에 관한 연구는 전혀 보고된 바 없다. 본 실험은 부존자원의 고효율 에너지 자원화가 필요한 시점에서 멥쌀과 올방개를 첨가하여 전통술의 특성을 살리면서 올방개의 약리작용으로 건강지향성 술로 개발함과 동시에 올방개의 이용성을 증대시켜 현대인의 기호도에 맞는 저알콜 고급 농도주를 개발코자 올방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약주를 제조,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올방개는 무엇인가? 올방개(烏芋, Eleocharis kuroguwai Ohwi)는 방동사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경기도 이남의 늪이나 연못, 도랑, 논 등 습지의 얕은 물속에 자생하며,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고 끝에 괴경이 달린 식물이다(1). 한방에서는 黃疸(황달), 健胃(건위), 解熱(해열), 利尿(이뇨), 通經(통경), 瘀血(어혈) 등의 치료에 이용되는 생약이며 뇌종양에 특효가 있으며 민간요법으로 괴경을 생식하면 술 마시고 취한데 효험이 있고, 춘궁기 구황식품으로 향기가 있으며 달고 담백한 풍미가 있다고 漢書(한서)에 전한다(2).
올방개를 이용한 술 제조에 사용된 일반미와 올방개 원료의 일반성분들은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했는가? 올방개주 제조에 사용된 일반미와 올방개 원료의 수분은 105°C 열풍건조법으로, 조단백질은 Macro(염입식) Kjeldahl 방법으로 분석(16)하였으며,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으로 분석하고 탄수화물은 Somogy변법으로, 회분은 550°C 회화법으로 각각 정량하였다.
올방개가 국, 튀김, 통조림 등 건강식품의 재료로 쓰이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방에서는 黃疸(황달), 健胃(건위), 解熱(해열), 利尿(이뇨), 通經(통경), 瘀血(어혈) 등의 치료에 이용되는 생약이며 뇌종양에 특효가 있으며 민간요법으로 괴경을 생식하면 술 마시고 취한데 효험이 있고, 춘궁기 구황식품으로 향기가 있으며 달고 담백한 풍미가 있다고 漢書(한서)에 전한다(2). 올방개는 저산성, 저단백질의 수생채소로 사각사각하고 연하며(3) 맛이 달고 즙이 많아 과일대용으로 생식할 경우 해갈, 청량, 이뇨에 좋으며 익혀먹을 경우 오래 끓여도 씹히는 맛이 특이하고 소화를 촉진시켜준다고 하여 국, 튀김, 통조림 등 건강식품의 재료로 쓰이고 있으며, 또한 육류의 독을 중화시켜주며(4) 본초 신편(本草新編)에는 올방개를 얇게 썰어 말려서 약으로 쓰면 헛배가 부르고 답답하며 결리는 증상을 잘 낫게 해주며 본초구진(本草求眞)에서는 맛이 달고 품성이 약간 차며 이질과 혈독을 없애주고 충독(蟲毒)과 간염으로 인한 황달 등을 치유해 준다고 역대 의서에 기록되어 전한다. 그밖에도 올방개의 약효 중 올방개의 영(英)성분은 황금색 포도상구균, 대장간균, 산기간균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으며 내불열성인 영성분은 활성탄에도 흡착이 안되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HD. 1996.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sprouting occurrence and tuberization of water chestnut (Eleocharis kuroguwai Ohwi).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1996. Pictorial dictionary of the relief farming plant 

  3. Lee BY, Hwang JB. 1998. Some components analysis for chinese water chestnut processing. Kor J Food Sci Technol 30: 717-720 

  4. Lee CB. 1980. Pictorial dictionary of the Korean plant. Hyang Moon Sa, Seoul. p 126 

  5. Five innovative crops for the rural economy in 21C. 1992. Farm business management 5. p 22-31 

  6. Unlimited market for processed agroproducts export. 1992. Farm business management 9. p 22-31 

  7. Min YK, Cho JG. 199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ome medicinal herb rice wine. Agric Chem Biotechnol 37: 175-181 

  8. Min BS. 1963. Brewing by the fermentation of hwangjung without koji. Korean patent 6310-6380 

  9. Park HL. 1983. Fermented ginseng wine. Ginseng research report. Koryoginseng research center. p 43-47 

  10. Kim CJ, Gi GC, Kim DY, Oh MJ, Lee SG, Lee SO, Jeung ST, Jeung GH. 1990. Fermentation engineering. Sun Jin Moon Wha Sa, Seoul. p 79 

  11. Jeung GH. 1992. A study on the process for the Korean traditional distilled liquor (Jindo Hongju). J Kor Food Culture Research Center 3: 63-81 

  12. Song DH, Kim CJ, Rho TW, Lee JS. 1988. Phenolics content and browning capacity during the white wine making. Kor J Food Sci Technol 20: 787-793 

  13. Min YK, Jeong HS. 1995. Manufacture of some Korean medicinal herb liquors by soaking. Kor J Food Sci Technol 27: 210-215 

  14. Choi SH, Bock JY, Nam SH, Bae JS, Choi WY. 1998. Effect of tannic subances from acorn (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on the storage quality of rice wine. Kor J Food Sci Technol 30: 1420-1425 

  15. Park JS, Sung CK, Chang KW. 1996. Changes of barbaloin contents in aloe wine. Agric Chem Biotechnol 39: 183-188 

  16. Jo GS, Jou HG, Jo HH, Park CG, Jae SG, Ma SJ. 1996. Food analysis. Han Mun Publishing Co., Seoul. p 168-321 

  17. Kuk Se Chung Technique research. 1990. Requisition analysis of alcoholic liquors. p 365-369 

  18. Ministry of Science & Technology. 1998. Industrializ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and Nuruk brewed 

  19. Lee J. 1982. Quality characteristics flavor components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20. Kim CJ. 1968. Microbiological and enzymological studies on Takju brewing. J Korean Agric Chem Soc 10: 69-100 

  21. Jeung JH, Jeung ST. 1985. The changes of quality and microflora during the preservation of Korean Takju. J Korean Agric Chem Soc 28: 252-260 

  22. Kim CJ. 1963. A study on the possession of organic acids and sugars in the process for the Korean traditional alcoholicrice beverage. J Korean Agric Chem Soc 4: 123-129 

  23. Kung SN, Lee SW, Bae SM. 1992.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dure of Sogok Ju. J East Asian of Dietary Life 2: 83-94 

  24. Lee DY. 1998. Characterization of the bitterness and burnt flavor compounds in heated Takju.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25. Jhun HD. 2000. A study on flavor and chemical compounds in Takju with different yullmoo content. MS Thesis. Konkuk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