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분포 및 관리
Distribution of Actual Vegetation and Management of Bukhan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2 no.2, 2008년, pp.83 - 97  

오구균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  김도균 (순천대학교 조경학과) ,  김철의 (호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녹지자연도와 외래식물 분포실태를 2007년에 조사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은 총 8개의 식물군락과 기타 지역으로 구분 되었으며, 자연림은 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소나무군락, 낙엽활엽수림 등 5개 식물군락으로, 조림지는 잣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아까시나무림 등 3개 산림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북한산국립공원의 녹지자연도에서 가장 넓게 분포한 것은 8등급 지역이 약 92.8%였다. 북한산국립공원안에 식재된 수목류는 총 71과 212종류이었고 이 중 자생종은 37과 67종류(31.6%), 외래종은 58과 145종류(68.4%)이었다. 북한산국립공원의 자연환경 회복, 자생식물의 다양성 유지와 자연경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외래수종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tual vegetation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DGN) and distribution of exotic plants replanted in Bukhansan National Park. The actual vegetation of the surveyed site was classified into eight plant communities and crop land, etc. Substitutional forest...

주제어

참고문헌 (20)

  1. 국립공원관리공단(2001) 북한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289쪽 

  2. 국립공원관리공단(2003) 북한산국립공원관리계획, 478쪽 

  3. 국립공원관리공단(2006) 월출산국립공원 외래식물조사, 26쪽 

  4. 김용식, 김갑태, 김준선, 임경빈(1988) 치악산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과 녹지자연도 사정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2(1): 9-18 

  5. 김준선, 김갑태, 임경빈(1989) 가야산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 및 녹지자연도. 응용생태연구 3(1): 1-15 

  6. 김준선, 김갑태, 추갑철(1990) 속리산국립공원 속리산지역의 현존식생. 응용생태연구 4(1): 1-15 

  7.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1987) 북한산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1(1): 1-23 

  8. 산림청(2007) http://www.koreaplants.go.kr:9101/ 

  9. 오구균(1998) 식재설계 및 시공시 조경수종 사용에 있어서의 정확성과 자생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6(2): 251-258 

  10. 오구균(2004) 국립공원내 식재 및 녹지관리. 국립공원관리공단 2004년 공원시설관리 전문교육, 227-253쪽 

  11. 오구균, 박상규, 심항용, 김태환(2005) 월악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관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119-129 

  12. 오구균, 권태호, 전용준(1987) 북한산 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 및 주변 식생변화. 응용식생연구 1(1): 33-45 

  13. 오구균, 정승준, 김영선(1999) 월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식물 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17(1): 26-34 

  14. 이경재(1987) 국립공원 자연경관자원 관리대책. 환경과 조경(19), 106-113 

  15. 이규완(1992) 내장산국립공원 식생경관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3쪽 

  16. 진희성(1982) 북한산 삼림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산업대학. 130쪽 

  1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2) 환경영향의 합리적 예측평가 기법 연구. 544쪽 

  18. 한라산국립공원사무소(2007) 국립공원내 삼나무 조림지 관리계획. 2쪽 

  19. 홍문표(2004) 설악산 삼림식생의 생태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9쪽 

  20.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einer Vegetationskunde. 3. Aufl., Springer, Wien, New York, 865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