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8 no.2, 2008년, pp.195 - 203  

김수현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이은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evel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its influence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in Daegu, Kyungpook and Susan province. A total of 103 older adults aged 65 yr or older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단계로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 변수를 추가적으로 투입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상태에서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 변수가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에 독립적인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인지를 확인하고 회귀모형 에 변수를 추가하였을때 R?가 얼마나 유의하게 증가하는지를 검토하였다. 회귀모형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공차한계는 .
  •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노인들의 기본적 건강정보의 이해력과 활용 능력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의료정보 이해능력과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도 찾아볼 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의료정보 이해능력의 수준을 이해하고, 이러한 의료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지각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독립적인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 , 1995)의 독해영역이문장 내 빈칸 메우기 검사로 구성되어 있어서 정확한 단어의 뜻을 모르더라도 읽는 것이 가능한 한글 문장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미국 교육청의 성인의 의료정보 이해능력에 대한 연구(U.S. Department of Education, 2006)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실제 자료를이용하여 개발하였다. 현재 의료기관과 지역사회 등에서 사용중인 자료를 30개 이상 수집하여 노인관련 전문가 2인과 상의후 일반적으로 의료 환경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자료 3가지를선정하였으며, 이에는 현재 대구시내 K대학병원에서 사용 중인 복부 초음파 검사 예약표, 대장용종절제술 동의서, 지역사회노인을 위해 S간호대학에서 개발하여 2007년 방문보건사업교육시 배포된 노인낙상예방 리플렛 (Health Industry Devel opment Institute, 2007) 이 포함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의료정보 이해능력의 수준을 이해하고, 이러한 의료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지각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독립적인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노인들의 의료정보 이해능력의 수준과 건강 상태와의 관계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향후 노인 대상자와 더 명확한 의사소통과 교육을 위한 전략과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의 수준과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의수준과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과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파악하고,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지각된 건강상태에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 많은 노인들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의 수준이 낮은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월수입 정도에 따라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의수준을 이해하고,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대해 파악하며,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1일 4회약물 복용법 공복 시 약물 복용법을 이해하는 사람은 40-50% 에 불과하였고, 검사 설명서와 처치 동의서, 노인 교육자료의내용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11-38%로 매우 낮았으며,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의 전체 평균점수는 0T5점 기준에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d Hoc Committee on Health Literacy for the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9). Health literacy: Report of the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1, 552-557 

  2. Amella, E. J. (2004). Presentation of illness in older adults.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4(10), 40-52 

  3. Andrus, M. R., & Roth, M. T. (2002). Health literacy: A review. Pharmacotherapy, 22, 282-302 

  4. Baker, D. W., Williams, M. V., Parker, R. M., Gazmararian, J. A., & Nurss, J. (1999). Development of a brief test to measure functional health literacy.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38, 33-42 

  5. Billek-Sawhney B., & Reicherter, E. A. (2005). Literacy and the older adult: Educational considerations for health professionals. Topics in Geriatric Rehabilitation, 21, 275-281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 Cutilli, C. C. (2005). Do your patients understand? Determining your patients'health literacy skills. Orthopedic Nursing, 24, 372-377 

  8. Dewalt, D. A., & Pignone, M. P. (2005). The role of literacy in health and health care. American Family Physician, 5, 783-790 

  9. Dewalt, D. A., Berkman, N. D., Sheridan, S., Lohr, K. N., & Pignone, M. P. (2004). Literacy and health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9, 1228-1239 

  10. Faul, F. (2006). G*Power version 3.0.5. Germany: Universitat Kiel 

  11. Ferrini, A. F., & Ferrini, P. L. (2000). Health in the later years (3rd ed.). Boston: McGraw-Hill Higher Education 

  12. Gazmaraian, J. A., Baker, D. W., Williams, M. V., Parker, R. M., Scott, T. L., Green, D. C., et al. (1999). Health literacy among medicare enrollees in a managed care organiza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1, 545-551 

  1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Retrieved September 1, 2007 from http://www.nso.go.kr 

  14.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Educational material for tailored home visiting service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4). The study on the status of health and living in Korean older adults. Retrieved April 2, 2006, from http://www.mohw.go.kr/index.jsp 

  16. Nurss, J. R., Parker, R. M., & Baker, D. W. (2001).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 NC: Peppercorn Books & Press Inc. 

  17. Parker, R. M., Baker, D. W., Williams, M. V., & Nurss, J. R. (1995). The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 A new instrument for measuring patients'literacy skill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0, 537-541 

  18. Schloman, B. F. (2004). Health literacy: A key ingredient for managing personal health. Online Journal of Issues on Nursing, 9(2), 14-21 

  19.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06). The health literacy of America's adults: Results from the 2003 national assessment of adult literacy. Retrieved April 4, 2006, from http://www.edpubs.org 

  20. Weiss, B. D., Hart, G., McGee, D. L., & D'Estelle, S. (1992). Health status of illiterate adults: Relation between literacy and health status among persons with low literacy skill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Board of Family Practice, 5, 257-264 

  21. Williams, M. V., Parker, R. M., Baker, D. W., Parikh, N. S., Pitkin, K., Coates, W. C., et al. (1995). Inadequate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patients at two public hospital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4, 1677-1682 

  22. Wolf, M. S., Gazmararian, J. A., & Baker, D. W. (2005). Health literacy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among older adult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5, 1946-19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