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소방용 방화복에 대한 만족도 조사
A Survey of Korean Firefighters Regarding their Satisfaction with Protective Clothing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8 no.9, 2008년, pp.166 - 175  

한설아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남윤자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최영림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structural firefighting protective clothing, it can show a synergy effect when it satisfies smart fabric to block off a harmful environmental element and ergonomics design that apply range of motion of human body and appropriate size system. There are various standards about the structural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화복의 신체적합성과 동작제한성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관련 문제점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소방대원들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업무수행에 도움을 주고 편안함이 추구된 인간공학적 방화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방대원들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업무수행에 도움을 주고 편안함이 추구된 인간공학적 방화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서울시내 남성 소방대원 209명을 대상으로 방화복 상의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 외에 겉주머니의 부적절한 위치와 무전기, 랜턴 등과의 크기가 맞지 않는 수납공간, 불필요한 겉주머니 및 고정고리의 개수 등을 디자인 요소에 있어서 동작을 제한하는 원인으로 지적하였다. 특히 너무 강력하여 신속한 사용이 불가능한 앞채움용 덮개와 겉주머니의 밸크로 여밈 때문에 착의시 복장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너무 많은 시간이 지체되는 단점이 있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한국표준협회 (2007). 보호복의 일반적인 요건 (KS K ISO 13688). 한국표준협회 

  2. 김도식 (2006). 방화복의 열화특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행정자치부 (2004). 소방용방화복규격서 

  4. 한국소방검정공사 (2004). 소방용방화복의 인정기준(FIS006). 한국소방검정공사 

  5. 윤기종 (2006). 첨단 보호복 산업과 기술. 섬유기술과 산업, 10(4), pp. 325-338 

  6. Crull, A. W. & Hooker. R. D. (2005). Protective clothing and gear: Body/Vehicle Armor, Fire, Chem/ Bio. Business Communication Company, Inc. 

  7. NFPA (2007), Standard on Protective Ensembles for Structural Fire Fighting and Proximity Fire Fighting (NFPA 1971). NFPA 

  8. CEN (2005). Protective clothing for firefighters-Performance requirements for protective clothing for firefighting(EN 469). CEN 

  9. 한국표준협회 (2003). 보호복-소방관용 보호복의 시험 방법 및 요구 성능(KS K ISO 11613). 한국표준협회 

  10. ISO (1999). Protective clothing for firefighters-Laboratory test methods and performance requirement (ISO 11613). ISO 

  11. Lawson, J. R. (1996). Fire fighter's protective clothing and thermal environments of structural fire fighting. U.S Department of Commerce, NISTIR 5804, pp. 334-350 

  12. Roger, K. & Barker, L. (2001). Modeling of thermal protection outfits for fire exposure. National textile Center Annual Report, pp. 2-8 

  13. Lee, C.. Kim, Y. I. & Wood, A. (2002). Investigation and correlation of manikin and bench -scale for testing of clothing systems. Fire and Materials. 26. pp. 269-278 

  14. Krasny, J. F. (1986). Some characteristics of fabrics for heat protective clothing. Performance of Protective Clothing, ASTM STP 900, pp. 463-474 

  15. Lawson, 1. R. & Vettori, R. L. (2002). Thermal measurements for fire fighters' protective clothing. Thermal Measurements: The Foundation of Fire Standards. ASTM STP 1427, pp. 168-182 

  16. Camenzind, M. A., Dale, D. J. & Rossi, R. M. (2007). Manikin test for flame engulfment evaluation of protective clothing: Historical review and development of a new ISO standard. Fire and Materials. 31. pp. 285-295 

  17. Paul. S. A.. Ann. C. S. & W. M. Keyserling. (1994). A model for protective clothing effects on performance. Intemational Joumal of Clothing Science and Technology. 6(4), pp. 6-16 

  18. Janice H. (1988). Protective clothing systems : A technique for evaluating restriction of wearer mobility. Applied Ergonomics. 19(3), pp.185-190 

  19. Eiser, D. N. (1988). Problems i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election. Performance of Protective Clothing: Second symposium. ASTM STP 989. pp. 341-346 

  20. Brown, P. (1992). Ready-To Wear Apparel Analysis. Macmillan Publishing Co. 

  21. NFPA (2002). Standard on hie departmen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rogram (NFPA 1500). NFPA 

  22. 김규상 (2005). 소방공무원의 위험노출과 건강 영향. 산업보건, 7월호, pp. 9-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