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화산회토양에서 Ni, Cu 및 Zn의 자연함유량 특성
Characteristics of Natural Pedo-geochemical Background for Ni, Cu and Zn in Volcanic Soils of Jeju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1 no.3, 2008년, pp.199 - 205  

임한철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  문경환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  전승종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  장공만 (제주대학교 생물자원산업학부) ,  현해남 (제주대학교 생물자원산업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지역 토양에서 Ni 함량이 높은 원인을 밝히고 인위적인 함량증가가 우려되는 Cu와 Zn의 함량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토양시료는 Alfisols 4개통, Andisols 35개통, Endisols 9개통, Inceptisols 16개통, Ultisols 1개통에서 채취하였으며, 동일한 지점에서 모암(자갈) 시료를 채취하였다. 토양색별 Ni, Cu 및 Zn의 함량은 통계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으나 Ni 평균함량은 $79.2mg\;kg^{-1}$으로 토양색으로 분류한 토양별 평균함량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였다. Cu 함량은 $40mg\;kg^{-1}$ 내외, Zn은 $108mg\;kg^{-1}$ 내외로 토양오염우려기준에 비해 낮았으며, 토양색간 함량 차이가 크지 않았다. 토양목별 Ni 함량은 Entisols에서 특이하게 높았으며, 그 외의 토양목에서는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Cu와 Zn은 토양목과 무관하게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Ni 함량이 많은 암석은 성산층, 신더어콘 및 침상장석 감람석현무암에서 높았으며, 장석현무암 및 조면질 안산암에서 낮았다. Ni은 경작지에 비해 비경작지 함량이 높았으나, Cu와 Zn 함량은 비경작지에 비해 경작지에서 높은 현상이 뚜렷하였다. Ni은 총 시료 중에서 표토/심토 비가 1보다 낮은 토양이 대부분이었으나 Cu와 Zn은 전함량의 표토/심토 비는 1보다 높은 토양이 많아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표토에 Cu가 집적되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causes of high Ni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increase of Cu and Zn contents in the soils of Jeju area.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4 series of Alfisols, 35 series of Andisols, 9 series of Entisols, 16 series of Inceptisols, and 1 series of 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 토양에서 Ni 함량이 높은 원인이 인위적인 요인인지, 화산재의 특성인지, 모암에서 오는 것인지를 밝히고 동시에 인위적인 함량증가가 우려되는 Cu와 Zn의 함량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제주지역 토양에서 N1 함량이 높은 원인을 밝히고 인위적인 함량증가가 우려되는 Cu와 Zn의 함량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토양시료는 Alflsols 4개통, Andlsols 35개통, Endlsols 9개통, Inceptlsols 16개통, Ultisols 1개통에서 채취하였으며, 동일한 지점에서 모암(자갈) 시료를 채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J. S., C. M. Chon, K. Y. Kim, K. S. Ko, and K. H. Park. 2006.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eavy Metal Distribution in Selected Volcanic Ash Soils in Jeju Island.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43(6) : 602-614. 

  2. Anderson, M. K, A. Refsgaard, K, Raulund-Rasmussem, B. W. Strobel, and C. B. Hansen. 2002. Content, distribution, and solubility of cadmium in arable and forest soils. Soil Soc. Am. J. 66 : 1829-1835. 

  3. Burt, R., M. A. Wilson, M. D. Mays, and C.W. Lee. 2003. Major and Trace Elements of Selected Pedons in the USA. J. Environ. Qual., 32 : 2109-2121. 

  4. Choi, I. S., J. Y. Park, and J. M. Oh. 2002.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at Field and Upland Soils. J.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 : 406-415. 

  5. Emmanuel D., H. S. Macary, and V. van de Kerchove. 2006. Sources of very high heavy metal content in soils of volcanic island(La Reunion). J. of geochemical Exploration 88 : p194-197. 

  6. Hea, Z. L., X. E. Yanga, and P. J. Stoffella. 2005. Trace elements in agroecosystems and impacts on the environment. J. of Trace Elements in Medicine and Biology 19 : 125-140. 

  7. Ital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1999. Regolamento recantecriteri, procedure e modalita per la messa in sicurezza la bonifica e il ripristino ambientale dei siti inquint, ai sensi dell'articolo 17 del decreto legislativo 5/21997, n. 22, e successive modificazioni e integrazioni. Gazzetta Ufficiale deila Repubblica Italiana 471, 67. 

  8. Jung, K. Y., S. I. Kwon, G. B. Jung, W. I. Kim, and Y. G. Jeong. 1997. Effect of long term application of sewage shudge on distribution and availability of heavy metals in soil-plant system.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East and Southeast Asia Fertilizer of Soil Science Societies. 335-347. 

  9. Jung, G. B., K. Y. Jung, G. H. Cho, B. K. Jung, and K. S. Kim. 1998. Heavy metal contents in soils and vegetables in the plastic house. J. korean Soc. Soil Sci. Fert 30 : 152-160. 

  10. Jung, G. B., W. I. Kim, and G. S. Hyeon. 2000.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background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 of soils in Korea. Annual Report Dept. of Agro-Environment, NIAST. p24-31. 

  11. Jung, G. B., W. I. Kim, J. S. Lee, J. D. Shin, J. H. Kim, and S. G. Yun. 2004. Assessment on the Content of Heavy Metal in Orchard Soils in Middle Part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3(1) : 15-21. 

  12. Kabata-Pendias, A. and H. Pendias. 2001. Trace Elements in Soils and Plants. CRC Press, Boca Raton, Fla. 413. 

  13. Ma, L. Q., F. Tan, and W. G. Harris. 1997. Concentrations and distribution of eleven metals in Florida soils. J. Environ. Qual. 26 : 769-775. 

  14.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NIAST). 1976. Detailed soil map(Chejudo). 

  15.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NIAST). 2000.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s. RDA. Korea. 

  16. Paola A., F. T. Laurence Denaix, and Z. Mariavittoria. 2003. Characterization of heavy metals in contaminated volcanic soils of the Solofrana river valley(southern Italy). Geoderma. 117 : 347-366. 

  17. Shin, J. S. and G. Stoops. 1988. Composition and Genesis of Volcanic Ash Soils in Jeju Island. I. Physico-Chemical and Macro- Micromorpholoical Propertis.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1) : 32-39. 

  18. Song, K. C., S. J. Jung, B. K. Hyun, Y. K. Sonn, and H. K. Kwak. 2005.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soils. p 35-107. in Achievement and development plan for soil survey program in Korea. RDA, Suwon, Korea. 

  19. Takeda, A., K. kimura, and S. Yamasaki. 2004. Analysis of 57 Elements in Japanese Soils, with Special Reference to Soil Group and Agriculture Use, Geoderma. 119 : 291-307. 

  20. U.S.A. EPA. 1996. Microwave assisted acid digestion of sediments, sludge, soils and oils. Method 30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