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북 봉화와 강원도 간성 지역의 송이자생지 산림토양의 특성 - 1. O층과 토양지표층의 이화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a Forest Soil on Pine Mushroom Habitat Located in Ponghwa, Kyungbuk and Gansung, Kangwon. 1.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O Horizon and Surface Soil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1 no.3, 2008년, pp.206 - 213  

정덕영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화학) ,  이교석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화학) ,  이종신 (임산공학) ,  윤영남 (응용생물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5년에 송이가 자생하고 있는 지역으로 상대적으로 비교가 되는 기후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최북단과 최남단 지역인 경북 봉화와 강원 간성지역 토양의 이화학특성을 조사한 것이다. 송이균사는 임목밀도와 유기물층 하부의 토양수분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봉화지역에서 발생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토양수분함량은 유기물 두께가 증가할수록 토양내 수분함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송이균사의 발생과 발생밀도는 토양수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토양내 성분을 조사한 결과 송이가 발생한 지점의 철(iron) 이온의 함량이 미 발생지점보다 높았다. 그리고 철이온의 함량이 높은 지점에서 자갈의 비율은 송이균사가 존재하지 않는 지점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토양내 점토 함량이 높을수록 점토입자 표면에 흡착된 철이온의 용탈이 감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송이균사의 존재는 토양수분과 균사가 존재하는 토양내 수분함량과 철이온의 농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observe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a soil on pine mushroom picking areas where were located in the most upper and lower parts showing a comparative climatic characteristics in Korea. The slope gradients within the investigation areas which were divided into 100 quadrates of $1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매우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송이 생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국내 송이 자생지 중 지리적으로 위치가 다른 경북 봉화지역과 강원도 간성에 위치한 송이자생지를 선정하여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토양수분 변화와 관련한 송이 자생지 토양환경에 대한 정밀 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Left value means average of total rectangles and right one means standard deviation for their on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영배, 김동수, 박용환, 신관철. 1975. 한국의 송이 발생지 분포 및 발생환경에 관한 실태조사. 농시연보 17(토양비료, 작물보호, 균이편) : 109- 114. 

  2. 변병호. 1973. 송이 생태 및 인공증식에 관한 연구. 산림청 임업시험장 시험연구보고서 503- 512. 

  3. 김창호. 1984. 송이균(Tricholoma matsutake)의 배양환경에 대한 증식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64 : 33-41. 

  4. 강안석, 김양섭, 차동열. 1987. 송이 인공재배에 관한 시험.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시험연구보고서(생물부편). 623- 628. 

  5. 조덕현, 이경준. 1995. 29개 지역의 10년간 송이 발생림의 기상인자와 송이발생량과의 관계.한국임학회지 . 84:277-285. 

  6. 허태철, 박현, 주성현. 1999. 송이균환에서의 근계 동태. 한국임학회지. 88:454-461. 

  7. 小川眞. 1991. マツタケの生物學. 補訂版. 東京, 築地書館. 333pp. 

  8. Berg, B., and G.I. Agren. 1984. Decomposition of needle litter and it's organic chemical components: theory and field experiments. Longterm decomposition in a Scots pine forest. III. Can. J. Bot. 62:2880 2888. 

  9. Berg, B., K. Hannus, T. Popoff, and O. Theander. 1982b. Changes in organic chemical components of needle litter during decomposition. Long term decomposition in a Scots pine forest. I. Can. J. Bot. 60:1310 1319. 

  10. Cole, D.W., J.E. Compton, R.L. Edmonds, P.S. Homann and H. Van Migroet. 1995. Comparison of carbon accumulation in Douglas-fir and red alder forests. In Carbon Forms and Functions in Forest Soils. Eds. W.W. McFee and J.M. Kelly. Soil Sci. Soc. America, Madison, WI, pp 527 546. 

  11. David L. and Haines, Bruce L. 1988. Litter decomposition in southern Appalachian black locust and pine-hardwood stands: litter quality and nitrogen dynamics Can. J. Res. Vol. 18, 1988. Pages 54 - 63. 

  12. Edmonds, R.L. 1980. Litter decomposition and nutrient release in Douglas-fir, red alder, western hemlock, and Pacific silver fir ecosystems in western Washington. Can. J. For. Res. 10: 327-337. 

  13. Ian K. Morrison. 2003. Decomposition and element release from confined jack pine needle litter on and in the feathermoss layer. Can. J. For. Res. 33(1): 16-22 

  14. Lee, T. S. 1983. Survey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t the habitat of Tricholoma matsutake in Korea. J. Kor. Wood Sci. and Technology. 11(6):37- 44. 

  15. Morrison, J.K.: 1974, 'Mineral nutrition of conifers with special reference to nutrient status interpretations:A review of literature', Publ. No. 1343, Can. For. Serv., Ottawa, Ontario, 74 pp. 

  16. Ogawa, M. 1977. Microbial ecology of mycorrhizal fungus, Trcholoma matsutake (S. Ito et Imai) Sing in Pine Forest III. Fungal flora in shiro soil and on the mycorrhiza. Bulletin of the Government Forest Experiment Station no. 293. Tokyo, Japan. 

  17. Sanchez, Felipe G. 2001. Loblolly pine needle decomposition and nutrient dynamics as affected by irrigation, fertilization, and substrate quality.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52: 85-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