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uroQol-5 Dimension 건강가중치를 이용한 한국인의 건강수준의 형평성 측정
Health Inequality Measurement in Korea Using EuroQo1-5 Dimension Valuation Weights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41 no.3, 2008년, pp.165 - 172  

신호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동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Despite various government initiatives, including the expans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health inequality has been a key health policy issue in South Korea during the past decade. This study describes and compares the extent of the total health inequality and the incom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있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보건의료 분야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 전국단위 및 지역행정 단위의 포괄적인 건강 형평성 모니터링은 물론 사회계층에 따른 특화된 건강증진 정책의 추진이 요구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건강 수준의 제고와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것은 건강에 영향을 주는 정책의 수행 에 앞서 건강불평등이 가져 올 영 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일이다.
  • HUI 혹은 EQ-5D 건강가중치 의 누적분포와 주관적 건강상태의 5가지 각 범주의 상한과 하한 누적 분포를 연결하는 van Doorslaei와 Jones [8]의 연구는 주관적 건강상태를 이용하여 건강불평등을 측정하되 주관적 건강 상태 가 가지는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개발되었고, 여러 나라의 연구에서 신뢰 도와 타당도가 검증되 었다 [19-23]. 연구는 van Doorslaer와 Jones [8]의 연구 방법과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1998년,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인구집 단의 건강 수준 특히, EQ-5D 건강가중치를 이용한 건강 수준 및 주관적 건강상태의 형평성을 분석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동시에 시간의 경과에 따른 건강 형평성의 변화추이를 검토, 비교한다.
  • 본 연구에서는 1998년, 2001년, 2005년 국민건강영 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에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만을 포함하였는데 그 이유는 국제간 비교를 위해서이다.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형평성 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변수는 연虱 성별, 교육 수준, 가구소득, 직업, 조사대상자 거주지역이 속한 지 방자치 단체의 재정자립도이 다.

가설 설정

  • 이용하였다. 1998년도의 경우 재정자립도가산출되어 있지 않았으나, 재정자립도가 연도별로 그 차이가 크지 않을 것으로 가정하여 1998년 재정자립도는 2001년 재정자립도를 준용하였다. 2001년 2005년을 비교할 때 전체 234개 시군구 중 재정자립도에 변화가 있는 곳은 47 곳이고, 2001년과 2005년 모두 국민건강영양조사 조사구에 포함된 125개 시군구 중 재정자립도에 변화가 있는 곳은 36개소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Macinko JA, Starfield B. Annotated bibliography on equity in health, 1980-2001. Int J Equity Health 2002; 1(1): 1 

  2. Choi BH, Roh YH, Yoon BS, Shin HW, Kim MH, Kim CY. Measuring Inequity in Health Care and Policy Proposals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7. (Korean) 

  3. Kim CY, Kim MH. Equity of Health Status and Medical Utilization in Korea. In: Choi JS, editor. Health Behavior and Disease Pattern in Korea- Analysis of Korea National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3, p.477-481. (Korean) 

  4. Mun SH. Equity in the finance and delivery of health care. Korean Soc Secur Stud 2004; 20(1): 59-81. (Korean) 

  5. van Doorslaer E, Wagstaff A, Bleichrodt H, Calonge S, Gerdtham UG, Gerfin M, et al. Income-related inequalities in health: Some international comparisons. J Health Econ 1997; 16(1): 93-112 

  6. van Doorslaer E, Jones AM. Income-related inequality in health and health care in the European Union. Health Econ 2004; 13(7): 605- 608 

  7. van Doorslaer E, Koolman X. Explaining the differences in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ies across European countries. Health Econ 2004; 13(7): 609-628 

  8. van Doorslaer E, Jones AM. Inequalities in selfreported health: Validation of a new approach to measurement. J Health Econ 2003; 22(1): 61-87 

  9. Khang YH, Lynch JW, Yun S, Lee SI. Trends in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use of mortality and morbidity measure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4; 58(4): 308-314 

  10. Jee SH, Ohrr HC, Kim IS. Self rated health and mortality in elderly Kangwha cohort, 8-year follow up. Korean J Epidemiol 1994; 16(2): 172-180. (Korean) 

  11. Kweon SS, Kim SY, Im JS, Sohn SJ, Choi JS. Self-rating perceived health: The influence on health care utilization and death risk. Korean J Prev Med 1999; 32(3): 355-360. (Korean) 

  12. Idler EL, Benyamini Y.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A review of twenty-seven community studies. J Health Soc Behav 1997; 38(1): 21-37 

  13. van Doorslaer E, Wagstaff A, van der Burg H, Christiansen T, De Graeve D, Duchesne I, et al. Equity in the delivery of health care in Europe and the US. J Health Econ 2000; 19(5): 553-583 

  14. Bound J. Self-reported versus objective measures of health in retirement models. J Hum Resour 1991; 26(1): 139-153 

  15. Crossley TF, Kennedy S. The reliability of selfassessed health status. J Health Econ 2002; 21(4): 643-658 

  16. Kerkhofs M, Lindeboom M. Subjective health measures and state dependent reporting errors. Health Econ 1995; 4(3): 221-235 

  17. Groot W. Adaptation and scale of reference bias in self-assessments of quality of life. J Health Econ 2000; 19(3): 403-420 

  18. Sadana R, Mathers CD, Lopez AD, Murray CJ, Iburg K. Comparative Analysis of more than 50 Household Surveys on Health Status. Geneva: WHO; 2007. (GPE Discussion Paper No. 15.) 

  19. Hernandez-Quevedo C, Jones AM, Rice N. Reporting Bias and Heterogeneity in Selfassessed Health. Evidence from the British Household Panel Survey: ECuity project III Group working Paper #19; 2004 

  20. Lecluyse A.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in Belgium: A longitudinal perspective. Eur J Health Econ 2007; 8(3): 237-243 

  21. Retana LF, Jones AM. Inequalities in Selfassessed Health in the Health Survey of England. ECuity Project III Working Paper #11; 2003 

  22. Leu RE, Schellhorn M. The Evolution of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ies in Switzerland over Time. ECuity Project III Working Paper #22; 2004 

  23. van Doorslaer E, Gerdtham UG. Does inequality in self-assessed health predict inequality in survival by income? Evidence from Swedish data. Soc Sci Med 2003; 57(9): 1621-1629 

  24. KOSIS: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Internet]. Dependency raio. Aged-child ration, and Meadian age of Korea. Daejeon: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cited 2007 Feb 16] . Available from: URL:http://www. kosis.co.kr 

  25. Kang EJ, Shin HS, Park HJ, Kim NY. A valuation of health status using EQ-5D.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06; 12(2):19-43. (Korean) 

  26. Jo MW. Estimating Quality Weights for EQ- 5D Health States with Time Trade-Off Methods in South Korea [dissertation]. Korea: Univ Ulsan; 2005. (Korean) 

  27. Kakwani N, Wagstaff A, van Doorslaer E.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Measurement, computation, and statistical inference. J Econometr 1997; 77(1): 87-103 

  28. Koolman X, van Doorslaer E. On the interpretation of a concentration index of inequality. Health Econ 2004; 13(7): 649-656 

  29. Blackburn ML. Interpreting the magnitude of changes in measures of income inequality. J Econ 1989; 42(1): 21-25 

  30. Kim HR, Khang YH, Yoon KJ, Kim CS.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ies and Counter Policies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4. (Korean) 

  31. Kim HR, Khang YH, Park EJ, Choi JS, Lee YH, Kim YS. Socioeconomic, Behavioral, Nutritional, and Biological Determinants of Morbidity, Mortality, and Medical Utilization in South Korea-Analysis of Korea National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Linked Dat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7. (Korean) 

  32. Kang SW, Kim JW, Kim TW, Choi HS, Lim WS. Change in Poverty and Inequality-related Indicators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7. (Korean) 

  33. Martikainen P, Lahelma E, Marmot M, Sekine M, Nishi N, Kagamimori S. A comparison of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physical functioning and perceived health among male and female employees in Britain, Finland and Japan. Soc Sci Med 2004; 59(6): 1287-1295 

  34. MacIntyre S, Hunt K. Socio-economic position, gender and health: How do they interact? J Health Psychol 1997; 2(3): 315-334 

  35. Mustard CA, Etches J. Gender differences in socioeconomic inequality in mortality.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3; 57(12): 974-980 

  36. Artazcoz L, Borrell C, Benach J. Gender inequalities in health among workers: The relation with family demand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1; 55(9): 639-647 

  37. Matthews S, Manor O, Power C. Social inequalities in health: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Soc Sci Med 1999; 48(1): 49-60 

  38. Thurston RC, Kubzansky LD, Kawachi I, Berkman LF. Is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posit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stronger in women than in men? Am J Epidemiol 2005; 162(1): 57-65 

  39. Honjo K, Kawakami N, Takeshima T, Tachimori H, Ono Y, Uda H, et al. Social class inequalities in self-rated health and their gender and age group differences in Japan. J Epidemiol 2006; 16(6): 223-2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