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죽의 영양소에 관한 연구 - 열량 및 일반성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alorie and Proxima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 Grue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7, 2008년, pp.879 - 885  

윤숙자 (한국전통음식연구소) ,  허우덕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죽의 1회분량 당 총 열량은 148.8(대추죽)${\sim}294.1\;kcal$(잣죽)의 넓은 범위를 나타냈다. 음식별로 열량 함량을 보았을 때 잣죽이 294.1 kcal로 KDRI 한끼 기준량의 33.3%를 제공하여 잣죽의 열량이 가장 높았으며, 팥죽(285 kcal, 31.7%), 닭죽(249.5 kcal, 27.7%), 호박죽(243.8 kcal, 27.1%)의 순으로 열량이 높았다. 대추죽은 148.8 kcal로 가장 열량이 낮았다. 죽류의 1회분량 당 탄수화물 함량은 23.0(닭죽)${\sim}52.1\;g$(팥죽)의 범위의 수준이었으며, 평균 $34.7{\pm}9.1\;g$로 KDRI 한끼 탄수화물 권장량의 24.4%를 공급하였다. 죽류의 1회 분량 당 탄수화물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보았을 때 팥죽의 탄수화물 함량이 가장 많아 1회분량 당 탄수화물 함량이 52.1 g으로 KDRI 한끼 기준량에 36.7%를 제공하였으며, 다음으로 호박죽이 51.4 g으로 KDRI 한끼 기준량에 36.2%를 제공하였다. 1회분량 당 탄수화물 함량이 가장 작은 음식은 닭죽(23.0 g, 16.2%)으로 탄수화물 함량이 가장 낮았다. 음식별 탄수화물 영양밀도는 대추죽이 INQ 1.4로 가장 높아 다른 죽류보다 열량이 가장 낮은 반면 탄수화물 공급이 우수하였다. 그 다음으로 흰죽(INQ 1.3)과 호박죽(INQ 1.3) 순으로 탄수화물 영양밀도가 우수하였다. 반면 잣죽(INQ 0.6)과 닭죽(INQ 0.6)은 탄수화물 영양밀도가 낮아 다른 죽 종류보다 열량은 높은 반면 탄수화물의 함량이 낮았다. 죽류의 단백질 함량은 2.3(흰죽)${\sim}22.3\;g$(닭죽)의 범위 수준으로, 평균 $8.2{\pm}4.9\;g$로 KDRI 한끼 단백질 권장량의 25.6%를 공급하였다. 분석한 죽류 중 닭죽이 단백질 함량이 $22.3{\pm}0.03\;g$으로 가장 높았고, KDRI 한끼 단백질 권장량에 69.7%로 팥죽($12.6{\pm}0.14\;g$, 39.4%)과 콩죽($11.0{\pm}0.11\;g$, 34.4%) 등 두류를 첨가된 죽의 단백질 함량이 높았다. 단백질의 영양밀도가 가장 높은 음식 역시 닭죽(INQ 2.5)이 가장 높았고, 굴죽(INQ 1.5), 콩죽(INQ 1.3) 순으로 단백질 영양밀도가 우수하였고, 굴죽이 열량은 낮은 반면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는 우수한 급원 음식임을 알 수 있다. 죽류의 지방 함량은 0.3(대추죽)${\sim}17.8\;g$(잣죽)의 범위였고, 평균 $4.8{\pm}4.5\;g$로 KDRI 한끼 지방 권장량의 21.1%를 공급하였다. 분석한 죽 중 지방함량이 가장 높은 음식은 잣죽으로 지방 함량이 $17.8{\pm}0.12\;g$으로 가장 높았고, KDRI 한끼 지방 권장량에 77.4%이었다. 콩죽($9.0{\pm}1.0\;g$, 39.1%)과 닭죽($7.6{\pm}0.17\;g$, 33.0%)의 지방함량이 높았다. 죽류 중 1회 분량 당 지방 함량이 가장 낮은 음식은 대추죽($0.3{\pm}0.01\;g$)으로 KDRI 한끼 지방 권장량에 1.3%를 공급하였다. 지방의 영양밀도는 잣죽(INQ 2.4), 흑임자죽(INQ 1.5), 콩죽(INQ 1.5) 순으로 지방 영양밀도가 우수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 전통죽의 영양소 함량에 대한 자료가 국내외 한식당, 학교 및 산업체 급식 등 단체급식장에서 널리 활용되어 한국전통음식의 보급이 확대되는 기틀이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한국음식의 영양 성분에 대한 평균적인 data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보다 확장해서 연구하고, 이에 대한 영양정보제공 등이 필요하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15 traditional Korean gruels for nutrient density using the Index of Nutrient Quality (INQ). The calorie of the gruels ranged from 148.8 (Daechujuk) to 294.1 kcal (Jatjuk) per serving size. The calorie in 'Jatjuk' was the highest, covering 33.3% of Dietary Refer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까지 죽에 관한 연구로는 한국전통음식의 영양성분을 조사 분석한 연구로는 쌀로 만든 죽의 종류와 조리 방법에 관한 고찰(4), 한국 고유 죽류의 영양학적 연구(5), 깨의 함량과 전처리에 따른 깨죽과 흑임자죽의 기호도 연구 (6), 전복죽과 오분자기죽의 재료배합비가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7) 등에 대한 연구만 되어 있을 뿐 다양한 죽에 대한 영양성분분석 등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음식 중 죽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해 한국 음식에 대한 기초 영양 데이터베이스에 유용한 기초 정보로 제공하고, 일반인들에게 한국음식의 영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Negative values indicate lower figures detected by experiment in chemistry compared to CA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전통음식은 무엇을 말하는가? 한국 전통음식은 우리 민족의 생활 여건에 가장 알맞게 창안되어 전통문화와 함께 발전되어 온 한국인의 음식을 말하는 것으로 왕실, 반가의 화려했던 궁중 음식과 일반 서민의 소박한 음식, 각 지역마다 특색 있게 발달한 향토음식을 말한다. 농경사회를 중심으로 발달한 전통음식은 전통적인 대가족 중심의 생활에서 다양한 조리방법과 기술을 계승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시대의 요구에 발맞추어 소비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로서 제공되고, 영양 정보의 표준화를 위해 전반적인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영양분석 평가가 절실히 요구되는 배경은? 우리나라에 죽 조리법이 발달되면서 죽을 쑤는 방법은 1700년대와 현재의 방법이 큰 차이가 없으나 세부적으로 문헌과 지방에 따라 다양하며 조리방법도 각기 다르다. 오늘날에는 사회구조와 식생활이 변화되면서 죽에 대한 인식도가 상당히 높아져, 죽의 이용과 사용범위가 아침대용식, 유아식, 환자식, 건강식, 별미식, 간편식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들어 건강, 다이어트, 운동, 금연 등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음식과 식품에 대한 영양 성분 표시와 가공식품의 영양 성분 표시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2). 이렇게 시대의 요구에 발맞추어 소비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로서 제공되고, 영양 정보의 표준화를 위해 전반적인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영양분석 평가가 절실히 요구되어지는 실정이다.
오늘날 죽의 이용과 사용범위는 어떤 실정인가? 우리나라에 죽 조리법이 발달되면서 죽을 쑤는 방법은 1700년대와 현재의 방법이 큰 차이가 없으나 세부적으로 문헌과 지방에 따라 다양하며 조리방법도 각기 다르다. 오늘날에는 사회구조와 식생활이 변화되면서 죽에 대한 인식도가 상당히 높아져, 죽의 이용과 사용범위가 아침대용식, 유아식, 환자식, 건강식, 별미식, 간편식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들어 건강, 다이어트, 운동, 금연 등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음식과 식품에 대한 영양 성분 표시와 가공식품의 영양 성분 표시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윤서석. 1991. 한국의 음식용어. 민음사, 서울. p 25-42 

  2. 삼성경제연구소. 2002. 식품표시제 강화 추세와 정책과제. 서울. p 1-49 

  3. Kim JS, Shon JW, Yum CA.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and black sesame gruels with different mixing ratio and decortication. Korean J Soc Food Sci 12: 547-556 

  4. Lee HJ, Jurn JI. 2000. Research of kinds of rice porridges and recipes of it. Korean J Food & Nutr 13: 281-290 

  5. Chang MS. 1975. The nutritional study of Korean traditional gruels. Korean Home Economics Assoc 13: 3-18 

  6. Kim JS, Shon JW, Yum CA. 1996.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and black sesame gruels with different mixing ratio and decortication. Korean J Soc Food Sci 12: 547-556 

  7. Yang MY, Son JW, Yum CA. 1996. Effect of different mixing ration and cooking on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Jeonbok- and Obunhaki-Jooks. Korean J Soc Food Sci 12: 353-360 

  8. 강인희. 1987. 한국의 맛. 대한교과서, 서울 

  9. 염초애, 장명숙, 윤숙자. 1992. 한국음식. 효일문화사, 서울 

  10.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7. 한국음식대관 2. 한림출판사, 서울 

  11.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7. 한국음식대관 3. 한림출판사, 서울 

  12.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7. 한국음식대관 4. 한림출판사, 서울 

  13.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 2000.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서울 

  14.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A Project of Support Branching out into Foreign Countries for Food 

  15. Institute of Traditional Korean Food. 2007. The Beauty of Korean Food: with 100 Best-Loved Recipes. Hollym, Seoul 

  16. 한국과학재단. 2005. 한식일품요리의 대량생산 표준레시피개발과 산업화 운용시험 평가 

  17.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4. Study on Determination of Reference Amounts of Food and Serving Size 

  18. 배영희, 양동호. 2005. 단체급식관리와 조리실습 워크북. 교문사, 서울 

  19.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1. Hansen RG. 1973. An index of food quality. Nutr Rev 31: 1-7 

  22. Lim KS. 1997. Nutrient density and nutrient-cost evaluation for the representative menus of the school lunch program in Korea. Korean J Nutrition 30: 1244-1257 

  23. Kim YO, Jung HO, Rhee CO. 1990. Change of texture, soluble solids and protein during cooking of soybe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192-198 

  24. Ahn MS. 1999. A study on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bles by Korean traditional cooking methods. Korean J Dietary Culture 14: 177-188 

  2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Nutrition survey (I). p 204-240 

  26. Lee HS, Park MA, Kye SH, Moon HK. 1996. A study on sources of energy & macronutrients from Korean dishes by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1: 431-438 

  27. Choo JJ, Shin MK, Kwon KS, Yoon GS. 1998.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local foods of Cheollabuk-do province (The First Report).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630-6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