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갑주 유물의 감정을 위한 현황파악과 시대구분
Present Situations of the Remaining Korean Armors and Helmets of Joseon Dynasty and their Periodization for A Better Appraisal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8 no.5, 2008년, pp.166 - 177  

박가영 (호남대학교 예술대학 의상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basic study of the remaining armors and helmets of the Joseon period for our better understanding and better maintenance of them. For the purpose, this paper shall try to show the present situations of the remaining armor and helmets of the period in Korea, and their typical classific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갑옷의 유형과 투구의 유형은 서로 착용시대가 일치하지 않아서 다양한 조합을 보이고 있으므로에서는 다양한 사료에서 보이는 갑옷과 투구의 조합 관계를 정리해 보았다.
  • 현재 갑옷과 투구 유물은 진품인지 모조품인지를 구분하거나 도난에 의해 국외로 밀반출되는 문제와는 다소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으로 요구되는 부분을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갑주유물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갑주의 시대를 구분하며 유형화를 시도하며 박물관에서의 명명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선시대 갑옷과 투구 유물에 대한 완벽한 이해나 구분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앞으로 갑옷과 투구 유물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첫걸음이 되리라 기대한다.
  • 즉 2007년 5월에서 6월까지 문화재청 홈페이지를 통하여 문화재의 감정기준과 분야별 문화재 감정 안내서를 공개하여 실시간 토론으로 전문가간의 전자공청회를 개최하고 비실시간 토론으로 일반인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1)9월에는 문화재 감정기준 연구결과 보고서를 바탕으로 세부 감정기준을 마련하였다. 또한 문화재 감정의 전문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원격지 전문분야 감정위원과 현지 비전문 감정위원이 합동으로 감정할 수 있는 문화재 사이버 감정체계를 향후 도입하여 대국민 감정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2)
  • 마지막으로 각 유물에 시대에 맞는 명칭을 붙여주기 위해서 명명방식에 대해 연구하였다. 우선 각종 문헌에 기록된 조선시대 갑주의 명칭을 수집하여 재료를 가장 중요시하던 명명의 원칙과 '색-신분-의재료-갑찰(甲札) 재료-갑주 부위'의 명명 순서를 밝혀내었다.
  • 우선 각종 문헌에 기록된 조선시대 갑주의 명칭을 수집하여 재료를 가장 중요시하던 명명의 원칙과 '색-신분-의재료-갑찰(甲札) 재료-갑주 부위'의 명명 순서를 밝혀내었다. 박물관별 갑주 명명법의 비통일, 두정갑이라는 명칭의 시대적 모순 등 유물의 명명 방식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새로운 명명 방식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갑주 유물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올바른 관리를 위하여 갑주 유물의 현황 파악, 유물의 시대구분을 위한 갑옷과 투구의 유형화, 갑주 유물의 명명(命名)의 3가지를 연구주제로 정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재 박물관에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조선시대 갑주로 제한하였다.
  • 셋째, 조선시대 갑주 유물에 올바른 이름을 붙여주기 위해서 명명방식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만기요람(萬機要覽)『무위영각색군기완파구별성 책 (武 衛營各色軍器完破區別成册)』등의 각종 고서(古書) 와 고문서(古文書)에 기록된 조선시대 갑주의 명칭을 수집한 후 명명의 원칙을 추출하여 현존하는 유물들의 명명방식을 제시한다.
  • 둘째, 갑주에 대한 제도나 갑주의 구조에 관련된 도식은 『세종실록(世宗實錄)』오례(五禮), 『국조오례서려(國朝五禮序禮)』와 같은 여서(禮書)나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융원필비(戎垣必備)』등의 병서(兵書)에서 찾을 수 있다. 우선 문헌에 나타난 갑주 제도의 변천을 바탕으로 실물, 회화 등의 사료들과 연결시켜 유형화함으로써 갑주 유물의 시대를 구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 조선시대 갑주 유물을 감정하기 위하여 갑주 유물의 현황을 살펴보고 유물의 시대구분을 위한 갑옷과 투구의 유형화를 시도하며 갑주 유물의 명명에 대해 연구하였다.

가설 설정

  • 제작방식은 역시의-두정형(衣-頭釘型)이지만 일반적으로 피갑은와 같이 가죽갑찰이 안감쪽에 노출되게 고정되어 있고, 철갑(鐵甲)은 철갑찰이 겉감과 안감 사이에고정되어 겉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제작되었으며, 단갑(緞甲)과 전갑(氈甲)은 갑찰이 없이 갑옷에 두정만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경향신문 (2007. 6. 7). 문화재 감정 기준 만든다 

  2. 문화재청 (2007. 6. 1). 문화재 감정! 전문가 울타리 넘어 대중에게 다가오다! - 문화재 감정기준 제정 및 문화재 감정 안내서 전자공청회 개최. 자료출처 http://www.chpri.org/board 

  3. 문화재청 (2006. 11. 17). 문화재 감정체계에 새 바람이 불다 -문화재 감정기준 마련 및 사이버 감정체계를 구축하다-.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culturalh/110010988572 

  4. 文化財管理局 (1987). 韓國의 甲?. 서울 :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5. 한국국제교류재단 편 (1991). 해외소장한국문화재 1 : 한국문화재 : 미국소장. 서울 : 한국국제교류재단 

  6. 한국국제교류재단 편 (1995). 해외소장한국문화재 4 : 한국문화재 : 일본소장(2). 서울 : 한국국제교류재단 

  7.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프랑스 국립기메동양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서울 : 국립문화재연구소 

  8. 국립진주박물관 편 (1998). 국립진주박물관 : 임진왜란 도록 

  9.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1992). 육군박물관도록. 서울 : 육군사관학교 

  10. 호암미술관 편 (1998). 朝鮮後期國寶展 : 위대한 문화유산을 찾아서(3). 서울 : 三星文化財團 

  11. 고려대학교박물관 (2008). 고려대학교박물관 名品圖錄. 서울 : 고려대학교박물관 

  12. 부산시 내무국 문화재과 편 (1980). 충렬사 정화지. 부산직할시 

  13.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編 (1981). 朝鮮時代 宮中服飾. 서울 :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14. 문광희 (2004). 조선후기 甲?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 : 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학회, 7(1) 

  15. 국립문화재연구소 해외소재한국문화재 (http://overseas.nricp.go.kr/) 

  16. 북한문화재자료관 (http://north.nricp.go.kr/) 

  17. 世宗實錄 卷133 五禮 軍禮 書例 兵器 

  18. 國朝五禮序例 卷4 軍禮 兵器圖說 

  19. 樂學軌範 卷9 冠服圖說 

  20. 國朝五禮序例 卷4 軍禮 兵器圖說 

  21. 武藝圖譜通志 卷4 冠服圖說 馬藝冠服圖說 

  22. 戎垣必備 甲? 

  23. 國朝五禮序例 卷4 軍禮 兵器圖說 

  24. 樂學軌範 卷8 定大業呈才儀物圖說 

  25. 武藝圖譜通志 卷4 冠服圖說 馬藝冠服圖說 

  26.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3 

  27. http://overseas.nricp.go.kr/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