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땅두릅 잎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Kimchi as Affected by Storage Tim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9, 2008년, pp.1202 - 1207  

한귀정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장명숙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땅두릅잎을 이용하여 전래되어온 제조 방법으로 잎김치를 제조하여 적합가능성을 알아보고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땅두릅 잎김치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pH 및 총산의 변화는 pH가 감소하면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양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염도의 경우 저장초기 급격히 증가하였고 그 이후부터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미미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미생물학적 특성에서 총균수와 젖산 균수의 변화는 비슷한 양상으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저장 4개월에 최고치에 이른 후 감소하여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물리화학 특성에서 색도는 저장초기 서서히 증가하다가 저장 4개월에 명도는 급격히 감소 경향을 보인 반면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며 총색차 ${\Delta}E$는 저장초기에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다가 발효가 진행된 저장 4개월에 완만하게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였다. 경도변화의 경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적 특성은 간장, 고춧가루, 젓갈양념 등 3가지 종류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5점 이상을 받아 우수하게 평가되어 땅두릅 잎김치로서의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였다. 위와 같이 땅두릅잎이 잎김치로서 적합함이 확인되었으며 우리 농산물의 농가 소득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일환으로 땅두릅잎을 다양하게 활용한다면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examined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cK) leaf-kimchi during storage prepared with different seasonings. The result exhibited prac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acidity, and salinity among the various samples made with three differ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땅두릅잎의 가공 적성에 맞는 상품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한 일환으로 쓸모없이 버려지는 땅두릅잎을 잎김치로 제조하여 적합가능성을 알아보고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땅두릅잎을 이용하여 전래되어온 제조 방법으로 잎김치를 제조하여 적합가능성을 알아보고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땅두릅 잎김치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pH 및 총산의 변화는 pH가 감소하면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양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염도의 경우 저장초기 급격히 증가하였고그 이후부터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미미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땅두릅의 뿌리에는 어떤 성분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가? 땅두릅은 단백질, 무기질, 아스파라긴산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가가 풍부하여 고급 신선채소로 많이 이용되며, 뿌리에는 스테롤, 유기산, 당류, 아미노산, 정유, 알칼로이드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5). 동의보감에는 땅두릅을 독활(獨活)이라고 하여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고 쓰며, 무독하다고 하였다(6).
민간에서 땅두릅은 어떻게 이용되어 왔는가? 동의보감에는 땅두릅을 독활(獨活)이라고 하여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고 쓰며, 무독하다고 하였다(6). 민간에서는 어린잎과 줄기를 열내림약, 기침약, 항염증약 등으로 이용하는데 신경쇠약, 신장병, 당뇨병 등에 효능(7,8)이 있어 무공해 건강식품을 선호하는 국민의식생활 요구에 맞추어 어린순은 식욕을 돋우는 신선채소로서 가치가 높은 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동의보감에서 땅두릅은 어떻게 설명되어 있는가? 땅두릅은 단백질, 무기질, 아스파라긴산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가가 풍부하여 고급 신선채소로 많이 이용되며, 뿌리에는 스테롤, 유기산, 당류, 아미노산, 정유, 알칼로이드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5). 동의보감에는 땅두릅을 독활(獨活)이라고 하여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고 쓰며, 무독하다고 하였다(6). 민간에서는 어린잎과 줄기를 열내림약, 기침약, 항염증약 등으로 이용하는데 신경쇠약, 신장병, 당뇨병 등에 효능(7,8)이 있어 무공해 건강식품을 선호하는 국민의식생활 요구에 맞추어 어린순은 식욕을 돋우는 신선채소로서 가치가 높은 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솔뫼. 2006. 산속에서 만나는 몸에 좋은 식물 148. 동학사, 서울. p 115-116 

  2. Han BH, Park MH, Han YN, Manalo JB. 1983.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ralia continentalis (II). Arch Pharm Res 6: 75-77 

  3. Perry LM. 1980. Medicinal plants of east and southeast Asia. Attributed properties and uses. The MIT Press, Cambridge, MA, USA. p 41 

  4. Lee JM, Lee SH, Kim HM. 2000. Use of oriental herbs as medicinal food.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 50-56 

  5. Kwon TR, Kim SK, Min GG, Jo JH, Lee SP, Choi BS. 1995. Seed germination of Aralia cordata thunb. and effect of mulching methods on yield and blanching. J Korean Soc Hort Sci 36: 620-627 

  6. Han BH, Woo ER, Park MH, Han YN. 1985.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ralia continentalis (III). Arch Pharm Res 8: 59-65 

  7. Kosela S, Rasad A, Achmad SA, Wicaksonon W, Baik SK, Han YN, Han BH. 1986. Effect of diterpene acids on malondialdehyde generation during thrombin induced aggregation of rat platelets. Arch Pharm Res 9: 189-191 

  8. Han BH, Han YN, Han KA, Park MH, Lee EO. 1983.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ralia continentalis (I) characterization of continentalic acid and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Arch Pharm Res 6: 17-23 

  9. Yoon SS. 1991. The historical review of Korean Kimchi. Korean J Dietary Culture 6: 467-477 

  10. Jo MS. 2003. A study of intakes of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8: 601-612 

  11. Moon KD, Byun JA, Kim SI, Han DS. 1995. Screening of natural preservatives to inhibit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57-263 

  12. Lee JM, Lee HR, Nam SM. 2002. Optimization for preparation of Perilla Jangachi according to steaming time and onion contents. Korean J Food Culture 17: 653-662 

  13. Choi SM, Jeon YS, Park KY, Jung KO. 2001. Antimutagenic effects of different kinds and parts of red pepper/powder on the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induced mutagenicities. J Korean Assoc Cancer Prevention 6: 108-115 

  14. Choi SM, Jeon YS, Park KY. 2000. Comparison of quality of red pepper powders produc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251-1257 

  15. Jo JS. 2000. Studies on Kimchi. Yurim-munhwasa, Seoul, Korea. p 160 

  16. Kim YI, Kim YK. 2000. Feeding value of leaves and stems from Aralia cordata Thunberg in Korean native goats. J Anim Sci Technol 42: 897-904 

  17.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Washington DC, USA 

  18. Kim KO, Lee YC. 1998. Sensory Evaluation of Food. Sinkw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19. Jung CY, Choi LG. 2002. SPSSWIN for statistic analysis. version 10.0. 4th ed. Muy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76-283 

  20.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21. Rhee HS, Lee CH, Lee GJ. 1987.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Korean cabbage during salting. Korean J Soc Food Sci 3: 64-70 

  22. Park WS, Lee IS, Han YS, Koo YJ. 1994. Kimchi preparation with brined chinese cabbage and seasoning mixture stored separately.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31-238 

  23. Han WS. 2005. Isolation of the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Aralia cordata Thunb.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182-185 

  24. Han HU, Lim CR, Park HK. 1990.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s an indicator o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26-32 

  25. Park SS, Jang MS, Lee KH. 1995.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stard leaf (Barassica juncea) Kimchi during various storage days. J Korean Soc Food Nutr 24: 752-757 

  26. Lee JM, Lee HR, Nam SM. 2002. Optimization for pretreatment condition according to salt concentration and soaking time in the preparation of Perilla Jangachi. Korean J Dietary Culture 17: 70-77 

  27. Kim JG, Choi HS, Kim SS, Kim WJ. 1989.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Korean pickled cucumber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838-844 

  28. Kim SD. 1997. Salting and fermentation of Kimchi. J Food Sci Technol 9: 187-1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