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열량섭취와 폐기능지표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Caloric Intake and Lung Function Parameters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원문보기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TRD = 결핵 및 호흡기 질환, v.65 no.5 = no.286, 2008년, pp.385 - 389  

윤호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폐센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박영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영양과) ,  조여원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강영애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폐센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권성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폐센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이재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폐센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이춘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폐센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배경: 이전의 연구에서 섭취의 제한은 폐기종과 유사한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이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갖는 의미는 밝혀진 적이 없다. 저자들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영양섭취량과 폐기능지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2006년 3월부터 1년동안 진료받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폐활량검사, 확산능검사, 폐용적검사와 함께 영양섭취상태평가를 시행한 후 분석하였다. 결 과: 총섭취열량과 1초간노력호기량이나 최대노력호기량(%예측치)과는 아무런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반면 폐확산능의 지표인 DLCO (%예측치), DLCO/VA (%예측치)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총폐용량(%예측치)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섭취한 열량 중 단백질섭취열량과 폐확산능 DLCO (%예측치), DLCO/VA (%예측치)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탄수화물 및 지방섭취에 의한 열량과 폐기능지표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하루 섭취 열량은 그 환자의 폐확산능과는 양의 상관관계, 총폐용량과는 음의상관관계에 있어 섭취열량과 폐기종의 관련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re are reports that food deprivation causes emphysematous changes in the lungs of rats and humans. However, the meaning of this phenomen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has not been evalua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기능적 지표인 폐 기능과 영양학적 지표가 아닌 섭취 자체-섭취된 칼로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라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 겠다.
  •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총칼로리 섭취, 그 중에서도 단백질섭취에 의한 칼로리의 섭취가 만성페쇄성폐질환 환자들의 1초간 노력호기량과는 관계 없이 폐확산능이나 폐용적과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칼로리의 섭취양이 폐기종의 변화와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갖는 의미는 밝혀진 적이 없다. 저자들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영양섭취량과 폐기능지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하지만 실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영양분의 섭취량이 질환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영양의 섭취와 폐기능지표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영양의 섭취가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어떤 질환인가?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흡연이나 대기오염 등의 외부인자에 대한 비정상적인 기도의 염증반응으로 완전히 가역적이지 않은 기도폐쇄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흡연에 의한 산화손상과 기도염증이 중요한 기전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도 병태생리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
거식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을때 어떠한 변화가 관찰되는가? 생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에서 음식공급을 줄이면 쥐들의 폐에 surfactant의 양이 감소하고 폐기종과 유사한 변화가 유발되며 이러한 변화는 음식공급량을 늘이는 것에의하여 회복됨이 증명된 바 있다12-17. 실제로 거식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을 때 역시 폐기종과 유사한 변화가 관찰됨이 여러 차례 보고되었다18-20 .
과거에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어떻게 생각했는가? 흡연에 의한 산화손상과 기도염증이 중요한 기전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도 병태생리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 과거에는 기관지 및 폐에 국한된 단일장기의 질환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 관련지식의 증가로 전신적인 변화를 동반 하는 전신질환으로 이해되고 있다1-4. 이러한 전신적인 변화들로는 심혈관계질환의 증가, 골다공증, 빈혈, 근육의 변화와 더불어 저체중 등의 영양학적 변화가 있으며 낮은 체질량지수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불량한 예후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10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Walter RE, Wilk JB, Larson MG, Vasan RS, Keaney JF Jr, Lipinska I, et al. Systemic inflammation and COPD: the Framingham Heart Study. Chest 2008;133:19-25. 

  2. Agusti A. Systemic effects of COPD: just the tip of the Iceberg. COPD 2008;5:205-6. 

  3. Hoeper MM, Welte T. Systemic inflammation, COPD, and pulmonary hypertension. Chest 2007;131:634-5. 

  4. Fabbri LM, Rabe KF. From COPD to chronic systemic inflammatory syndrome? Lancet 2007;370:797-9. 

  5. Ohara T, Hirai T, Muro S, Haruna A, Terada K, Kinose D, et al. Relationship between pulmonary emphysema and osteoporosis assessed by CT in patients with COPD. Chest 2008;0:chest.07-3054v1-0. 

  6. Cote CG, Pinto-Plata VM, Marin JM, Nekach H, Dordelly LJ, Celli BR. The modified BODE index: validation with mortality in COPD. Eur Respir J 2008;32:1269-74. 

  7. Sin DD, Man SF. Skeletal muscle weakness, reduced exercise tolerance, and COPD: is systemic inflammation the missing link? Thorax 2006;61:1-3. 

  8. Mascitelli L, Pezzetta F. Anemia and COPD. Chest 2005;128:3084. 

  9. John M, Hoernig S, Doehner W, Okonko DD, Witt C, Anker SD. Anemia and inflammation in COPD. Chest 2005;127:825-9. 

  10. Celli BR, Cote CG, Marin JM, Casanova C, Montes de Oca M, Mendez RA, et al. The body-mass index, airflow obstruction, dyspnea, and exercise capacity index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N Engl J Med 2004;350:1005-12. 

  11. Stein J, Fenigstein H. Pathological anatomy of hunger disease. In: Winick M, editor. Hunger disease: studies by the Jewish physicians in the Warsaw Ghetto: current concepts in nutrition. New York: Wiley & Sons; 1979. 

  12. Sahebjami H, MacGee J. Effects of starvation on lung mechanics and biochemistry in young and old rats. J Appl Physiol 1985;58:778-84. 

  13. Kerr JS, Riley DJ, Lanza-Jacoby S, Berg RA, Spilker HC, Yu SY, et al. Nutritional emphysema in the rat: influence of protein depletion and impaired lung growth. Am Rev Respir Dis 1985;131:644-50. 

  14. Dauber JH, Claypool WD. The role of nutrition in the pathogenesis of emphysema. Surv Synth Pathol Res 1984;3:83-92. 

  15. D'Amours R, Clerch L, Massaro D. Food deprivation and surfactant in adult rats. J Appl Physiol 1983;55:1413-7. 

  16. Sahebjami H, Vassallo CL. Influence of starvation on enzyme- induced emphysema. J Appl Physiol 1980;48:284-8. 

  17. Gail DB, Massaro GD, Massaro D. Influence of fasting on the lung. J Appl Physiol 1977;42:88-92. 

  18. Stanescu D, Pieters T. Anorexia nervosa and emphysem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5;172:398. 

  19. Coxson HO, Chan IH, Mayo JR, Hlynsky J, Nakano Y, Birmingham CL. Early emphysema i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4;170:748-52. 

  20. Wilson NL, Wilson RH, Farber SM. Nutrition in pulmonary emphysema. J Am Diet Assoc 1964;45:530-6. 

  21. Rabe KF, Hurd S, Anzueto A, Barnes PJ, Buist SA, Calverley P, et al.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OLD executive summary.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7;176:532-55. 

  22. Miller MR, Hankinson J, Brusasco V, Burgos F, Casaburi R, Coates A, et al. Standardisation of spirometry. Eur Respir J 2005;26:319-38. 

  23. Morris JF, Koski A, Johnson LC. Spirometric standards for healthy nonsmoking adults. Am Rev Respir Dis 1971;103:57-67. 

  24. Harik-Khan RI, Fleg JL, Wise RA. Body mass index and the risk of COPD. Chest 2002;121:370-6. 

  25. Wouters EF. Nutrition and metabolism in COPD. Chest 2000;117:274S-80S. 

  26. Siedlinski M, Postma DS, van Diemen CC, Blokstra A, Smit HA, Boezen HM. Lung function loss, smoking, vitamin C intake, and polymorphisms of the glutamate- cysteine ligase gene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8;178:13-9. 

  27. Jiang R, Paik DC, Hankinson JL, Barr RG. Cured meat consumption, lung function,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ong United States adult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7;175:798-804. 

  28. Pearson P, Britton J, McKeever T, Lewis SA, Weiss S, Pavord I, et al. Lung function and blood levels of copper, selenium, vitamin C and vitamin E in the general population. Eur J Clin Nutr 2005;59:1043-8. 

  29. Mannino DM, Holguin F, Greves HM, Savage-Brown A, Stock AL, Jones RL. Urinary cadmium levels predict lower lung function in current and former smokers: data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orax 2004;59:194-8. 

  30. Gilliland FD, Berhane KT, Li YF, Gauderman WJ, McConnell R, Peters J. Children's lung function and antioxidant vitamin, fruit, juice, and vegetable intake. Am J Epidemiol 2003;158:576-84. 

  31. Britton JR, Pavord ID, Richards KA, Knox AJ, Wisniewski AF, Lewis SA, et al. Dietary antioxidant vitamin intake and lung funct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5;151:138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