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마늘 가공 중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lic During its Processing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8 no.8 = no.100, 2008년, pp.1123 - 1131  

신정혜 (남해대학 호텔조리제빵과) ,  최덕주 (재능대학 호텔조리외식과) ,  이수정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차지영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정균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 ,  성낙주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개발된 마늘 가공품의 일종인 흑마늘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흑마늘의 제조공정을 4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흑마늘의 색은 제조공정을 거치면서 L, a 및 b값이 모두 감소하였는데 내부색의 경우 가공 초기에 크게 감소하였다. 수분은 1단계에서 65.54${\pm}$0.24 g/ 100 g였던 것이 4단계 시료에서는 $58.48{\pm}0.41$ g/100 g까지 감소하였고, pH도 점차 산성화되어 4단계 시료에서 4.22${\pm}$ 0.02, 반면에 숙성이 진행될수록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는 1단계시료에 비해 최종단계에서 각각 약 1.9배, 2.6배 증가하였다. Total pyruvate와 thiosulfinate도 비슷한 패턴으로 각각 약 1.6배, 5.8배 증가하였다. 유리당 중 가장 함량이 높은 fructose는 1단계에서는 1,403.03${\pm}$6.24 mg/100 g였던 것이 4단계에서는 2,454.45${\pm}$ 4.20 mg/100 g으로 증가하였으나, 반면에 이당류인 sucrose와 maltose는 흑마늘의 숙성과 더불어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다. 흑마늘의 제조 단계별 무기물의 총량은 4단계시료에서 1,009.20${\pm}$6.91 mg/100 g으로 가장 많았고, 흑마늘 중 무기물은 칼륨, 인, 마그네슘 및 칼슘의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흑마늘의 구성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proline과 aspartic acid였으며, 유리아미노산taurine, homocysteine 및 ${\delta}g$-hydroxylysine은 1단계 혹은 2단계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2단계 혹은 3단계 이후 시료에서 미량 검출되었다. 흑마늘 가공 중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숙성이 진행될수록, 추출물의 첨가 농도를 높일수록 점차 증가하여 4단계시료의 1,000 ${\mu}g/ml$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은 45.63${\pm}$0.43%, 물추출물은 67.40${\pm}$0.21%로 시험된 시료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100 및 500 ${\mu}g/ml$ 농도에서 1, 2단계 시료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물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of biological function of black garlic, it heated for 11 days at $40{\sim}90^{\circ}C$ (first step: heate for 2 days at $90^{\circ}C$, second step: heated for 4 days at $80^{\circ}C$, third step: heated for 4 days at $60^{\c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의 흑마늘 관련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으로 흑마늘 가공 중 이화학적 성분 변화와 기능성 물질의 생성 등을 분석하여 흑마늘의 최적가공 적성을 밝히고 나아가 2차 가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R, N. and S. K. Lee. 1990. Factors affecting browning and its control methods in chopped garlic. J Kor. Soc. Hort. Sci. 31, 213-218 

  2. Bae, S. K. and M. R. Kim. 1998. Changed of browning,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ed garlic juices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Sci. 14, 394-399 

  3. Bas, S. K. and M. R. Kim. 2002. Effects of sodium metabisulfite and adipic acid on browning of garlic juice concentrate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73-80 

  4.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5. Choi, J. H., W. J. Kim, J. W. Yang, H. S. Sung and S. K. Hong. 1981. Quality changes in red ginseng extract during high temperature storage. J. Korean Agric. Chem. Soc. 24, 50-58 

  6. Chung, M. J., J. H. Shin, S. J. Lee, S. K. Hong, H. J. Kang and N. J. Sung. 1998. Chemical compounds of wild and cultivated Horned Rampion, Phyteuma Japonicum Miq. Korean J. Food & Nutr. 11, 437-443 

  7. Cruess, W. V. 1944. Experiments on garlic and onion extracts. Fruit products J. 23, 305-313 

  8. Freeman, G. G. and F. Mcbreen. 1973. A rapid spectrophotometric methods of determination of thiosulfinate in onion and its significance in flavor studies. Biochem. Soc. Trans 1, 1150-1154 

  9.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AOCS 58, 966-967 

  10. Hwang, J. B., J. H. Ha, W. S. Park and Y. C. Lee. 2004. Changed of component on green discolored garl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8 

  11. Hwang, J. B. 2002. Control of green discoloration in low temperature stored garlic. Ph D thesis, Chung-Ang University, Ansung, Korea 

  12. Ide, N., B. H. S. Lau, K. Ryu, H. Matsuura and Y. Itakura. 1999. Antioxidant effects of fructosyl arginine, a Maillard reaction product in aged garlic extract. J. Nutr. Biochem. 10, 372-376 

  13. Kim, H. K., K. S. JO, D. B. Shin and I. H. Kim. 1987. Effects of phosphate complex treatment on the quality of dried garlic flak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75-80 

  14. Kim, M. H. and B. Y. Kim. 1990. Development of optimum processing conditions in air dried garlic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 234-238 

  15. Kim, Y. A. 1998. Effects of antibrowning agents on the browning reaction of enzymatic garlic hydrolyz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201-206 

  16. Kwon, O. C., K. S. Woo, T. M. Kim, D. J. Kim, J. T. Hong and H. S. Jeong.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31-336 

  17. Lee, J. W., J. H. Do and K. H. Shim.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1. DPPH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J. Ginseng Res. 23,176-161 

  18. Lee, J. W., S. K. Lee, J. H. Do and K. H. Shim. 1998. Characteristicd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of Korean red ginseng as affected by heating treatment. J. Ginseng Res. 22, 193-199 

  19. Lee, J. W., S. K. Lee, J. H. Do, H. S. Sung and K. H. Shim. 1995. Browning reaction of fresh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as affected by heating temperature. Korean J. Ginseng Sci. 19, 249-253 

  20. Miron, T., I. Shin, G. Feigenblat, L. Weiner, D. Mirelman, M. Wilchek and A. Rabinkov. 2002. A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allicin, alliin, and alliinase with a chromogenic thiol: Reaction of 4-mercaltopyridine with thiosulfinates. Analytical Biochemistry 307, 76-83 

  21. Moreno, M. I. N., M. I. N. Isla, A. R. Sampietro and M. A. Vattuone.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rmacology 71, 109-114 

  22.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anese J. Nutr. 44, 307-315 

  23. Schwimmer, S. and W. J. Weston. 1961. Onion flavor and odor, Enzymatic development of pyruvic acid in onion as a measure of pungency. JAFC 9, 301-304 

  24. Sung, N. J., J. G. Kim, S. J. Lee and M. J. Chung. 1997. Changes in amino acis contents of low-salt fermented small shrimp during the fermentation. J. Inst. Agri. & Fishery Develop. Gyeongsang Nat'l. Univ. 16, 1-10 

  25. Yu, T. H., C. M. Wu and Y. C. Liou. 1989. Volatile compounds from garlic. J. Agric. Food Chem. 37, 725-7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