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Leuconostoc kimchii GJ2가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uconostoc kimchii GJ2 Isolated from Kimchi (Fermented Korean Cabbage)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Fed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5 no.5, 2008년, pp.760 - 768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유미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아라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해춘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명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EPS 생성 유산균인 Leu. kimchii GJ2의 생리활성 효능을 구명하기 위하여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에게 Leu. kimchii GJ2 투여로 고지혈증 개선효과를 조사하였다. 체중증가율,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실험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당 간의 무게는 고콜레스테롤식이군 (HCD)이 다른 실험군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고콜레스테롤식이 급여로 증가된 혈청 중 GOTALP 활성은 Leu. kimchii GJ2 투여 병합투여로 활성이 감소되었으며, Leu. kimchii GJ2 투여 용량이 증가할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중성지방과 인지질 함량은 실험군 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콜레스테롤식이군(HCD군, HCD-LKL군 및 HCD-LKH군)들 간에 유의차를 보여 Leu. kimchii GJ2 투여 용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고콜레스테롤식이와 Leu. kimchii GJ2 병합투여한 HCD-LKL군과 HCD-LKH군은 HCD군에 비하여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LDL-콜레스테롤 함량, 심혈관위험지수 및 동맥경화지수는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Leu. kimchii GJ2 투여 용량이 증가할수록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저하되었다. 간조직 중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 함량은 HCD군이 ND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고콜레스테롤식이와 Leu. kimchii GJ2 병합투여한 HCD-LKL군과 HCD-LKH군은 HCD군에 비하여 Leu. kimchii GJ2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저하되었다. 지방조직의 HR-LPL과 TE-LPL 활성은 HCD군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Leu. kimchii GJ2 투여 용량이 증가할수록 HR-LPL과 TE-LPL 활성 모두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이상의 결과 Leu. kimchii GJ2은 고콜레스테롤식이 급여로 증가 되어진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감소되어진 HDL-콜레스테롤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청 지질을 저하시키며, 간기능 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고지혈증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eu. kimchii GJ2의 이러한 효과는 Leu. kimchii GJ2가 EPS를 생성하여 유산균 본래의 기능인 장 운동 개선효과와 식이섬유소처럼 작용하여 지질의 장내에서의 흡수를 저해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Leuconostoc kimchii GJ2 (Leu. kimchii GJ2), an exopolysaccharid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um isolated from kimchi, on serum and liver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 nor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2)The results are mean ± S.E. for 8 rats in each group.
  • 3)Total extractable(TE) LPL activity was measured in deoxycholate extracts of epididymal adipose tissu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xopolysaccharides(EPS)란 무엇인가? 유산균 기능성 물질로 알려진 exopolysaccharides(EPS)는 지난 20여년에 걸쳐서 다양하게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EPS는 물에 녹거나 분산되는 긴 사슬의 고분자 중합체로 미생물 세포벽의 일부로서 세포벽 주위에 협막을 형성하거나 세포벽 외부의 점질물(slime) 형태로서 발효 중에 축적되는 미생물의 1차 또는 2차 대사산물인 다당류이다(9). 미생물의 EPS는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는 않으나 건조, 식균작용, 원생동물의 습식, 항생제, 독성화합물, 삼투압 스트레스 등과 같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0).
미생물 exopolysaccharides(EPS)의 특징은 무엇인가? 유산균 기능성 물질로 알려진 exopolysaccharides(EPS)는 지난 20여년에 걸쳐서 다양하게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EPS는 물에 녹거나 분산되는 긴 사슬의 고분자 중합체로 미생물 세포벽의 일부로서 세포벽 주위에 협막을 형성하거나 세포벽 외부의 점질물(slime) 형태로서 발효 중에 축적되는 미생물의 1차 또는 2차 대사산물인 다당류이다(9). 미생물의 EPS는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는 않으나 건조, 식균작용, 원생동물의 습식, 항생제, 독성화합물, 삼투압 스트레스 등과 같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0). EPS는 미생물이 가장 다량으로 생성 하는 다당류이며, 배양액으로부터 회수가 쉽고, 정제비용이 적게 들므로 상업적인 잠재력이 가장 높은 다당류이다(11).
김치 유산균이 가지는 건강 증진 기능에는 무엇이 있는가? 김치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은 유산균과 같은 낙농제품에 들어있는 유산균과 비슷한 정장 및 항암작용, 면역증강 등의 기능을 하므로 대장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김치 유산균은 면역기능 강화(3),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4), 간 기능 항진작용(5), 항암작용(6), 항산화작용(7-8) 등의 다양한 건강 증진 기능을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Kim, S.J. (2005)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ogurt prepared with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Culture, 20, 337-340 

  2. Lee, S.H. and No, M.J. (1997) Viability in artificial gastric and bile juic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 J. Appl. Micrbiol. Biotechnol., 25, 617-622 

  3. Shida, K., Makino, K., Morishita, A., Takamizawa, K., Hachimura, S., Ametani, A., Sato, T., Kumagai, Y., Habu, S. and Kaminogawas, S. (1998) Lactobacillus casei inhibits antigen-induced IgE secretion through regulation of cytokine production in murine splenocyte culture. Int. Arch. Allergy Immnunol., 115, 278-287 

  4. Jung, H.K., Kim, E.R., Yae, H.S., Choi, S.J., Jung, Y.J. and Juhn, S.L. (2000)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ed milks as probiotic functional foods. Food Ind. Nutr., 5, 29-35 

  5. Baek, Y.J. (1993) Lactic acid bacteria and human health. Korean J. Food Nutr., 6, 53-65 

  6. Kato, I., Endo, K. and Yokokura, T. (1994)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Lactobacillus casei on antitumor responses induced by tumor resection in mice. Int. J. Immnunopharmacol., 16, 29-36. 

  7. Kim, H.S. and Ham, J.S. (2003) Antioxidative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186-192 

  8. Ahn, Y.T., Bae, J.S., Kim, Y.H., Lim, K.S. and Huh, C.S. (2005) Effects of fermented milk intake on hepatic antioxidative systems in alcohol treated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31-635 

  9. Kim, D.J. and Lee, S.Y. (2001) Isol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Enterobacter sp.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the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is strain. Korean J. Biotechnol. Bioeng., 16, 270-375 

  10. Kang, H.J., Baick, S.C. and Yu, J.H. (2005)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the stirred yogurt manufactured by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84-91 

  11. Sutherland, I.W. (1998) Novel and established applications of microbial polysaccharide and optimization of its production.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 169-175 

  12. Kim, H.J. and Chang, H.C. (2006) Isolation and chracter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 196-203 

  13. Strory, J.A. and Kritchevsky, D. (1976) Dietary fiber and lipid metabolsim. In fiber in human nutrition, Spiller, G.A. and Amen, R.J. (Ed.) Plenum Press. New York. 

  14. Kimmel, S.A., Roberts, R.F. and Zieger, G.R. (1998) Optim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by Lactobacillus delbrueckii ssp. bulgaricus RR grown in a semidefined medium. Appl. Environ. Microbiol., 64, 659-664 

  15. Cerning, J., Bouilanne, C., Desmazeaud, M. and Landon, M. (1998) Exo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tion by Streptococcus thermophilus. Biotechnol. Lett., 10, 255-260 

  16. Eom, H.J., Seo, D.M., Yoon, H.S., Lee, H.B. and Han, N.S. (2002) Strain selection of psychrotrophic Leuconostoc mesenteriods producing a highly active dextransucrase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85-1090 

  17. Kim, B.J., Min, B.H., Kim, J.H. and Han, H.U. (2001) Isolation of dextran-producing Leuconostoc lactis from kimchi. J. Microbiol., 39, 11-16 

  18. Oh, C.Y. and Lee, W.K. (2000) Cholesterol lowering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he human intestine. Kor. J. Vet. Publ. Hlth., 24, 181-188 

  19. Klaver, F.A.M. and van der Meer, R. (1993) The assimilation of cholesterol by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bifidum is due to their bile salt-deconjugation activity. Appl. Environ. Microbiol., 59, 1120-1124 

  20. Park, S.Y., Ko, Y.T., Jeong, H.K., Yang, J.O., Chung, H.S., Kim, Y.B. and Ji, G.E. (1996) Effect of various lactic acid bacteria on the serum cholesterol levels in rats and resistance to acid, bile and antibiotic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4, 304-310 

  21. Kim, M.J. and Kim, G.R. (2006) In vitro evaluation of cholesterol re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extracted from kimchi. Korean J. Culinary Res., 12, 259-268 

  22. Kwon, J.Y., Cheigh, H.S. and Song, Y.O. (2004)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s of kimchi lactic acid powder in rats fed high fat di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014-1019 

  23. Smitinont, T., Tansakul, C., Tanasupawat, S., Keeratipibul, S., Navarini, L., Bosco, M and Cescutti, P. (1999) Exopolysaccharid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from traditional thai fermented foods: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exopolysaccharide characterization. Int. J. Food Microbiol., 51, 105-111 

  24. Reeves, P.G., Nielson, F.H. and Fahey Jr, G.C.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 J. Nutr., 123, 1939-1951 

  25. Friedwald, W.T., Levy, R.L. and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6. Eng, L.F. and Noble, E.P. (1957) The maturation of rat brain myelin. Lipids, 3, 157-162 

  27. Folch, J., Lees, M. and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28. Zlatkis, A. and Zak, B. (1969) Study of a new cholesterol reagent. Anal. Biochem. 29, 143-148 

  29. Biggs, H.G., Erikson, T.M. and Moorehead, W.R. (1975) A manual colorimetric assay of triglyceride in serum. Clin. Chem., 21, 437-441 

  30. Nilsson-Ehle, P. and Schotz, M.C. (1976) A stable radioactive substrate emulsion for assay of lipoprotein lipase. J. Lipid Res., 17, 536-541 

  31. Fried, S.K. and Zechner, R. (1989) Cathectin/tumor necrosis factor decreases human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mRNA levels, synthesis, and activity. J. Lipid Res., 30, 1917-1923 

  32. Iverius, P.H. and Brunzell, J.D. (1985) Human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changes with feeding and relation to postheparin plasma enzyme. Am. J. Physiol., 249, E107-E114 

  33. Rhee, S.J. and Park, H.K. (1984) Changes of lipid concentration and histochemical observation in liver of rats fed high fat diet. Korean J. Nutr., 17, 113-125 

  34. Yurley, E., Armstrong, N.C., Wallaoe, J.M.W., Gilmore, W.S., Mckelvey-Matin, J.V., Allen, T.M. and Strain, J.J. (1999) Effect of cholesterol feeding on DNA damage in male and female syrian hamsters. Ann. Nutr. Metab., 43, 47-51 

  35. Jung, H.K., Kim, E.R., Yae, H.S., Choi, S.J., Jung, J.Y. and Juhn, S.L. (2000)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ed milks as probiotics functional foods. Food Nutr., 16, 29-35 

  36. Plaa, G.L. and Charbonneau, M. (1994) Detec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ly induced liver injury. In Principles and Methods of Toxicology. Hayes AW ed., Raven Press. New York. pp. 839-870 

  37. Kim, K.H. (1980) A translation: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e test. Ko Moon Sa. Seoul. pp. 164-167 

  38. Lee, J.J., Kim, J.G., Chung, C.S., Oh, C.Y. and Lee, W.K. (1999)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human intestine on serum and liver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lipoprotein lipase activity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s. Kor. J. Anim. Sci., 41, 655-662 

  39. Pulusani, S.R. and Rao, D.R. (1983) Whole body, liver and plasma cholesterol levels in rats fed thermophulus, bulgaricus and acidophilus milks. J. Food Sci., 48, 280-281 

  40. Suzuki, Y., Kaizu, H. and Yamauchi, Y. (1991) Effect of cultured milk on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rats which fed high cholesterol diets. Anim. Sci. Technol., (Japan) 62, 565-571 

  41. Nakajima, N., Suzuki, Y., Kaizu, H. and Hirota, T. (1992) Cholesterol lowering activity of ropy fermented milk. J. Food Sci., 57, 1327-1329 

  42. Lin, S.Y., Ayres, J.W., Winkler, W. and Sandine, W.E. (1989) Lactobacillus effect on cholesterol: In vitro and in vivo results. J. Dairy Sci., 72, 2885-2899 

  43. Thompson, L.U., Jenkins, D.J.A., Vic Amer, D.M., Reichert, R. and Kamulsky, A.J. (1982) The effect of fermented and unfermented milks on serum cholesterol. Am. J. Clin. Nutr., 36, 1106-1111 

  44. Glliland, S.E. and Walker, D.K. (1990) Factors to consider when selecting a 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lus as a dietary adjunct to produce a hypocholesterolmic effect in humans. J. Dairy Sci., 73, 905-911 

  45. Castelli, W.P., Garrison, R.J., Wilson, P.W.F., Abborr, R.D., Kalousdian, S. and Kannel, W.B. (1986)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The Framingham study. JAMA, 256, 2835-2845 

  46. Rosenfeld, L. (1989) Lipoprotein analysis. Arch. Pathol. Lab. Med., 113, 1101-1110 

  47. Kwon, J.Y., Ann, I.S,, Park, K.Y., Cheigh, H.S. and Song, Y.O. (2005) The beneficial effects of pectin on obesity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20 

  48. O'Brien, K.D., Gordon, D., Deeb, S., Ferguson, M. and Chait, A. (1992) Lipoprotein lipase is synthesized by macrophage-derived foam cells in human coronary atherosclerotic plaques. J. Clin. Invest., 89, 1544-1550 

  49. Semenkovich, C.F., Coleman, T. and Daugherty, A. (1998) Effects of heterozygous lipoprotein lipase deficiency on diet-induced atherosclerosis in mice. J. Lipid Res., 39, 1141-1151 

  50. Lee, J.J., Chung, C.S., Kim, J.G. and Choi, B.D. (2000) Effect of fasting refeeding on rat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activity and lipogenesis: Influence of food restriction during refeed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71-4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