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리법에 따른 국내산 마늘종과 마늘의 항산화 효능
Antioxidant Activities of Domestic Garlic (Allium sativum L.) Stems and Garlic Bulbs according to Cooking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2, 2009년, pp.188 - 194  

정지영 (창원전문대학 식품영양과) ,  김창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늘종의 조리법으로 빈번이 사용되고 있는 데치기, 볶음처리, 간장 절임 마늘종장아찌, 고추장 절임 마늘종장아찌를 선택하여 마늘종을 조리한 후에 항산화관련 물질의 함량과 항산화 효능을 생마늘종과 비교 측정하여 마늘종을 활용한 응용식품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생마늘종은 생마늘에 비해 알리신이나 페놀화합물 함량이 낮게 함유되었으나 클로로필, $\beta$-카로틴, 비타민 C는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 후 마늘종에 함유된 클로로필과 $\beta$-카로틴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비타민 C, 페놀화합물, 알리신 함량은 감소하였다. 측정된 항산화 효능은 생마늘이 EDA와 NSA가 생마늘종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나 SOD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조리 후 마늘종의 항산화 효능은 감소하여 생마늘종, 볶음 처리, 데치기, 간장 절임 마늘종장아찌, 고추장절임 마늘종장아찌 순으로 낮아졌다. 조리 후에도 마늘종의 EDA와 NSA는 마늘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생것에 비해 그 차이가 적어져 EDA는 마늘의 약 70%, NSA는 약 65% 정도였으며, SOD 유사활성은 마늘과 유사하였다. 조리 전, 후에 나타난 항산화 효능은 한지형이 난지형보다 높았다. 따라서 항산화 효능 면에서 마늘종을 생으로 먹는 것이 가장 좋고, 기호에 따라 단시간 볶거나 데친 후에도 상당한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더욱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안들도 추후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of raw and cooked (blanching, pan-frying, soy sauce pickle, Kochugang pickle) domestic garlic stem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chlorophyll, carotenoid, vitamin C, phenolic compounds and allicin in raw and cooked garlic stems were measured. Various cook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에 반해 마늘종은 향신채소, 장아찌, 볶음용 등에 국한하여 이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로는 마늘종 분말을 첨가한 식빵 제조에 관한 연구(19)가 있을 뿐 마늘종 이용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리법에 따른 마늘종의 항산화 관련물질 함량 변화와 항산화 효능을 조사하여 마늘종을 활용한 응용식품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마늘종의 조리법으로 빈번이 사용되고 있는 데치기, 볶음 처리, 간장 절임 마늘종장아찌, 고추장 절임 마늘종장아찌를 선택하여 마늘종을 조리한 후에 항산화관련 물질의 함량과 항산화 효능을 생마늘종과 비교 측정하여 마늘종을 활용한 응용식품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생마늘종은 생마늘에 비해 알리신이나 페놀화합물 함량이 낮게 함유되었으나 클로로필, β-카로틴, 비타민 C는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1)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each column (A-D) and each row (a-d)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1)Phenolic compound content was expressed as gallic acid equivalents (GAE) in milligrams per 100 g dry material.
  • 2)The numbers in parenthesis indicate the percentage of phenolic compounds retention after cookin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마늘은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우리나라의 마늘은 따뜻한 남부지역인 제주, 남해, 해남, 무안 등에서 재배되는 난지형(暖地型) 마늘과 상대적으로 추운 중부 지방인 의성, 서산, 삼척 등에서 재배되는 한지형(寒地型) 마늘로 구분된다(9). 마늘은 구근을 발육시키기 위해서는 5월 초순경부터 마늘종(蒜薹)을 뽑아주어야 한다(10).
마늘은 어떤 생체조절 효과가 탁월한가? 마늘(Allium sativum Linnaeus)은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이 강장, 강정식품으로 널리 이용하여 왔으며(1), 최근에는 항암효과(2), 항균작용(3,4), 항산화작용(5-8) 등의 생체조절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마늘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마늘종은 향신채소, 장아찌, 볶음용 등에 국한하여 이용되고 있는 반면 마늘은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마늘은 조미향신료, 장아찌, 마늘 가루, 다진 마늘 퓨레, 마늘 간장, 구운 마늘, 흑마늘 등 현재 다양한 상품들이 상업화되어 유통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마늘 식초, 쿠키, 약과, 빵 등에 활용하고 있다(15-18). 그에 반해 마늘종은 향신채소, 장아찌, 볶음용 등에 국한하여 이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로는 마늘종 분말을 첨가한 식빵 제조에 관한 연구(19)가 있을 뿐 마늘종 이용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매우 미흡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Hoong MS. 1992. The culture of food in Korea. Kyomoonsa, Seoul. p 79 

  2. Rho SN, Han JH. 2000. Cytotoxicity of garlic and onion methanol extract o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870-874 

  3. Chung KS, Kim JY, Kim YM. 2003.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arlic juice and heat-treated garlic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40-543 

  4. Kim MH, Kim SY, Shin WS, Lee JS.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juice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52-755 

  5. Nuttakaan L, Viboon R, Nantaya C, Janusz MG. 2006.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garlic and shallot preparations. Nutrition 22: 266-274 

  6. Iqbal S, Bhanger MI. 2005. Stabilization of sunflower oil by garlic extract during accelerated storage. Food Chem 100: 246-254 

  7. Yang SY, Yu SO, Kim TC, Kim BW, Park YJ, Cho JY, Kim YM, Heo BG. 2005. Compare to the component contents and anti-oxidation activities between Goheung native garlic variety and introductions. J Korean Soc Plant People Environ 8: 1-5 

  8. Lee EJ, Kim KS, Jung HY, Kim DH, Jang HD. 2005. Antioxidant activities of garlic (Allium sativum L.) with growing districts. Food Sci Biotechnol 14: 123-130 

  9. Jo JS. 1990. Food materials. Gijeunyungusa, Seoul. p 154-155 

  10. 白合科菜蔬栽培技術. 1994. 華甲紀念著刊行委員會. p 14 

  11. Kim MY, Chung SK. 1997. Analysis of nutritional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garlic shoot.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c Products 4: 61-68 

  12. Kim MY, Choi SW, Chung SK. 2000. Antioxidative flavonoids from the garlic (Allium sativum L.) shoot. Food Sci Biotechnol 9: 199-203 

  13. Kim MY, Kim YC, Chung SK. 2005. Identification and in vitro biological activities of flavonols in garlic leaf and shoot: inhibition of soybean lipoxygenase and hyaluronidase activities and scavenging of free radicals. J Sci Food Agric 85: 633-640 

  14. Chung JY, Kim CS.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domestic garlic (Allium Sativum L.) stems from different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72-978 

  15. Ko EJ, Hur SS, Choi YH. 1998. The establishment of opti-mum cultural conditions for manufacturing garlic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02-108 

  16. Kim HY, Jeong SJ, Heo MY, Kim K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varied levels of shredded garl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37-641 

  17. Moon SI. 2003. A study of garlic-yackwa development 1.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lic-yackwa substitut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arlic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285-1291 

  18. Rao GV, Savithri GD, Indrani D. 1992. Studies on the use of garlic in bread. J Fd Sci Technol 29: 147-149 

  19. Lee MK, Park JS, Na HS. 2005. Proximate compositions of green garlic powder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bread with green garlic. Korean J Food Preserv 12: 95-100 

  20. Joung AR, Koh MS. 1993. Changes in the texture property of garlic pickle during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596-601 

  21. White RC, Jones IK, Gibbs E. 1963. Determination of chlorophylls, chlorophyllides, pheophytins and pheophorbides in plant materials. J Food Sci 28: 431-438 

  22. Jo JO, Jung IC. 2000. Changes in carotenoid contents of several green-yellow vegetables by blanching. Korean J Soc Food Sci 16: 17-21 

  23. Sood SP, Sartori LE, Wittmer DP, Haney WG. 1976.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ascorbic acid in selected foods and multivitamin products. Anal Chem 48: 796-802 

  24. Benvenuti S, Pellati F, Melegari M, Bertelli D. 2004. Polyphenols, anthocyanins, ascorbic acid,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ubus, ribes, and aronia. J Food Sci 69: FCT164-169 

  25. Talia M, Irina S, Guy F, Lev W, David M, Meir W, Aharon R. 2002. A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allicin, alliin, and alliinase (alliin lyase) with a chromogenic thiol: reaction of 4-mercaptopyridine with thiosulfinates. Anal Biochem 307: 76-83 

  2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7.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28.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e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9. Teng SS, Chen BH. 1999. Formation of pyrochlorophylls and their derivatives in spinach leaves during heating. Food Chem 65: 367-373 

  30. Choi NS, Oh SS, Lee JM. 2001.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quality properties of Aster scaber (Chamchwi) by blanch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45-752 

  31. Jung SJ, Kim GE, Kim SH. 2001. The changes of ascorbic acid and chlorophylls content in Gochu-janga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14-818 

  32. Chung JH, Cho BH, Lee CY. 1963. Studies on the compositions of hot bean past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 43-46 

  33. Khachik F, Beecher GR. 1987. Application of a C-45- ${\beta}$ -carotene as an internal standard for the quantification of carotenoids in yellow/orange vegetables by liquid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35: 732-738 

  34. Gomez MI. 1981. Carotene content of some green leafy vegetables of kenya and effects of dehydration and storage on carotene retention. J Plant Foods 3: 231-236 

  35. Granado F, Olmedila B, Blanco I, Rojas-Hidalgo E. 1992. Carotenoid composition in raw and cooked Spanish vegetables. J Agric Food Chem 40: 2135-2140 

  36. Jo JO, Jung IC. 2000. Changes in carotenoid contents of several green-yellow vegetables by blanching. Korean J Soc Food Sci 16: 17-21 

  37. Negi PS, Roy SK. 2000. Effects of blanching and drying methods on ${\beta}$ -carotene, ascorbic acid and chlorophyll retention of leafy vegetables. Lebensm Wissu-Technol 33: 295-298 

  38. Ahn MS. 1999. A study on a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bles by Korean traditional cooking methods. Korean J Dietary Culture 14: 177-188 

  39. Selman JD. 1994. Vitamin retention during blanching of vegetables. Food Chem 49: 137-147 

  40. Joe AV, Yong H, Xuehui S, Ligia Z. 1998. Phenol antioxidant quantity and quality in foods: Vegetables. J Agric Food Chem 46: 3630-3634 

  41. Ismail A, Marjan ZM. 2004. Total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in selected vegetables. Food Chem 87: 581-586 

  42. Barroga CF, Laurena AC, Mondoza EMT. 1985. Polyphenols in mung bean (Vigna radiata (L.) Wilczek) determination and removal. J Agric Food Chem 33: 1006-1009 

  43. Cheigh HS, Park KS, Moon GS, Park KY. 1990.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oybean paste and its extracts on the lipid oxid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9: 163-167 

  44. Lawson LD, Wang ZY, Hughes BG. 1991. Identification and HPLC quantitation of the sulfides and dialk(en)yl thiosulfinates in commercial garlic products. Planta Med 557: 363-370 

  45. Kim MR, Mo EK. 1995.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pickled garlic. Korean J Soc Food Sci 11: 133-139 

  46. Shela G, Jerzy D, Hanna L, Maria L, Katarzyna N, Zenon J, Zofia Z, Henryk B, Boris S, Elena K, Simon T. 2005. Comparison of the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potentials of fresh and cooked Polish, Ukrainian, and Israeli garlic. J Agric Food Chem 53: 2726-2732 

  47. Byun PH, Kim WJ, Yoon SK. 2001. Changes of functional properties of garlic extract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01-3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