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시설과 유치원 급식의 식품 및 환경 미생물의 오염도 평가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Foods and Kitchen Environments in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Foodservice Opera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2, 2009년, pp.252 - 260  

설혜린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형수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기환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애경 (동남보건대학 보육과) ,  류경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지역 12곳의 보육시설과 유치원의 식재료 및 조리식품, 환경요소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 평가를 위하여 2007년 8월${\sim}10$월까지 시료를 채취하였다. 농산물 17, 수산물 3, 축산물 6, 가공식품 6, 조리식품 24로 총 56가지 시료를 대상으로 하였고, 환경은 칼, 도마, 고무장갑, 조리종사원의 손, 행주, 공중낙하균을 포함하여 총 105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식재료에 대한 미생물 분석 결과, 보육시설의 농산물에서는 시금치 I, II와 양배추 I, 콩나물, 오이가 일반세균수 5 log CFU/g 이상으로 나타났고, 시금치 I, II와 양배추, 콩나물은 장내세균도 5 log CFU/g 수준이었다. 식중독균은 시금치 I에서 C. perfringens만 1.18 log CFU/g로 검출되었다. 수산물은 냉동오징어에서 일반세균만 5.87 log CFU/g로 검출되었다. 축산물에서 대장균군과 장내세균은 돼지고기와 닭고기에서만 각각 $2.38{\sim}5.15$, $2.30{\sim}3.14\;\log\;CFU/g$로 검출 되었고, 대장균은 대부분의 식재료에서 2 log CFU/g 정도로 높게 검출되었다. 가공식품 중 두부는 일반세균수가 7.46 log CFU/g로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의 농산물에서는 깻잎의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수가 각각 7.04, 4.98 log CFU/g로 검출 되었다. 연근에서는 식중독균인 C. perfringens가 2.01 log CFU/g로 검출되었다. 수산물 중 조기는 일반세균만 3.39 log CFU/g로 나타났고, 오징어는 일반세균과 장내세균만 각각 4.89, 4.21 CFU/g로 나타났다. 축산물에서 쇠고기는 일반세균 4.22, 장내세균 2.53, 대장균군 2.43, 대장균 1.90 log CFU/g로 검출되었다. 가공식품 중 냉동고기산적에서는 4 log CFU/g 이상의 일반세균수가 검출되었으며, 대장균이 0.66 log CFU/g로 검출되어 기준에 적합하지 않았다. 쥐어채는 일반세균 5.58, 장내세균 4.12, 대장균군 3.72, 대장균이 1.69 log CFU/g로 검출되었다. 조리식품 중 비가열 조리공정 식품은 보육시설에서는 일반세균이 모두 적합수준이었으나 장내세균은 오이무침에서만 4.23 log CFU/g 검출되었다. 유치원에서는 배추겉절이에서 일반세균, 장내세균이 기준에 적합하지 않았다. 오이부추무침은 장내세균만 기준에 적합하지 않았다. 가열조리 후처리공정 식품은 보육시설의 경우 시금치나물 I에서 일반세균수와 장내세균수가 각각 6,5 log CFU/g 이상이었고, 시금치나물 II에서 장내세균이 2 log CFU/g 이상으로 검출되어 기준을 벗어났다. 가열조리 공정 식품은 보육시설, 유치원 모두 기준에 적합하였다. 조리과정에서 식품과 접촉할 수 있는 칼에서는 보육시설의 1 곳에서만 채소용 칼과 육류용 칼에서 기준치를 크게 넘어섰다. 도마에서는 보육시설의 경우 일반세균수는 채소도마에서 2곳이 허용치 이상으로 나타났고, 육류용 도마에서는 1곳이 4.43 log CFU/cm2로 검출되었다. 대장균군은 육류도마에서만 1곳에서 2.59 log CFU/cm2로 검출되었다. 유치원의 경우 1곳의 육류도마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기준에 적합 하지 않았다. 세척용 고무장갑에서는 보육시설의 경우 일반세균이 $1.58{\sim}6.04\;\log;CFU$/hand로 검출되었고, 1곳에서 장내세균과 대장균군이 각각 2.44, 1.58 log CFU/hand로 나타났다. 유치원은 4곳 모두 일반세균이 $1.80{\sim}3.19\;\log;CFU$/hand로 검출되었고, 그 중 2곳에서는 장내세균, 대장균군이 각각 $1.75{\sim}1.96$, $1.27{\sim}1.52\;\log\;CFU/g$로 나타났다. 조리용 고무장갑은 보육시설 1곳에서만 일반세균이 4.43 log CFU/hand로 검출되었다. 조리종사자의 손은 보육시설에서 일반세균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reas the numbers of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re increasing rapidly, systematic management to control the food safety of foodservice operation is not yet well established. Samples from 12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collected to asses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32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 및 유치원 급식에 제공되는 식품과 급식 시설 및 환경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평가하여 영유아급식의 위생관리 지침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에서는 자녀를 부담 없이 양육할 수 있도록 어떠한 노력을 보이고 있는가? 최근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한 저출산 현상으로 국가에서는 자녀를 부담 없이 양육할 수 있도록 보육시설 확충, 보육 서비스 및 유아교육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유치원 수는 1995년 8,976개원에서 2006년에는 8,290 개원으로(1) 조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육시설의 수는 2006년 12월 현재 29,233개소로 1991년에 비해 약 15배로 증가하였고, 보육되는 아동 수는 1,280,156명에 이르고 있다.
영유아 단체급식에서 식중독 사고가 발생될 확률이 높은 이유는? 영유아 단체급식의 주요 대상은 출생 후 만 1년에서 학령기 이전까지의 연령 분포에 있으며, 면역체계가 완전하게 발달하지 않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급식의 안전성이 선행되어야 한다(4). 그러나 국내의 경우 정부 차원에서의 제도나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식중독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영유아 단체급식의 대상은? 이렇듯 보육시설에서는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급식이 운영되고 있고, 유치원도 연장제 및 종일제 운영, 부모들의 요구 등 불가피한 이유로 인해 대부분 급식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3). 영유아 단체급식의 주요 대상은 출생 후 만 1년에서 학령기 이전까지의 연령 분포에 있으며, 면역체계가 완전하게 발달하지 않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급식의 안전성이 선행되어야 한다(4). 그러나 국내의 경우 정부 차원에서의 제도나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식중독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2008. 2006 Kindergarten Statistics. http://www.mest.go.kr 

  2. Central Childcare Information Center. 2007. Statistics on Child Care Services. http://www.educare.or.kr 

  3. Jang ML, Kim YB. 2003.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kindergarten meals program. J Korean Soc Early Childhood Education 23: 261-284 

  4. FDA. 2005. Food Code 2005.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5. Lee YK, Ryu K. 2007.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for childcare foodservice. Report of the KFDA Research Grant 

  6. 연합뉴스. 2007. 부산어린이집서 26명 집단식중독. 동아일보 2007. 5. 21 

  7. 김정숙. 2003. 서울 유치원, 초등학교 병원성 세균 '우글'. 연합뉴스 2003. 9. 23 

  8. Min JH, Lee YK. 2004a.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for implementation of a HACCP system in day-care center foodservice operation. II. Focus on non-heating process. Korean J Nutr 37: 722-731 

  9. Min JH, Lee YK. 2004b.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for implementation of a HACCP system in day-care center foodservice operation. I. Focus on heating process and after-heating process. Korean J Nutr 37: 712-721 

  10. Shin WS, Hong WS, Lee KE. 2008.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quality for raw materials and cooked foods in elementary school food establish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379-389 

  11. Lee MS, Lee JY, Yoon SH. 2006. Assess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performance at child care centers. Korean J Community Nutr 11: 229-239 

  12. Kwak TK, Lee HS, Yang IS. 1991. Assessment of nutrition adequacy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 served in day-care centers. Korean J Soc Food Sci 7: 111-118 

  13. Harrigan WF. 1998. Laboratory Method in Food Microbiology. 3rd ed. Academic Press, San Diego, CA. p 307-309 

  14. Paulson DS. 1992. Evaluation of three handwash modalities commonly employed in the food processing industry. Dairy Food & Envir Sanit 12: 165-173 

  15. Choi HY, Park SK, Gil CN, Yoo IK. 1993. Laboratory Manual on Environmental Hygiene. Shinkwang Pub. Co., Seoul. p 67-69 

  16. Hub B, Ha YJ, Oh JT, Park EH, Park HJ. 2006. A rapid PCR-based assay for detecting hepatitis B viral DNA using GenSpector TMC-1000. Agric Chem Biotechnol 49: 143-147 

  17. KFDA. 2007.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8.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 Quarantine Service. 2001. HACCP Manual for Meat Processing Plants 

  19.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2004. A Guide to School Food Safety. 2nd ed. p 121 

  20. 원약공. 1949. 낙하세균에 관한 연구. 동경의학연구소자료집. 1: 60-64 

  21. Choi JW, Park SY, Yeon JH, Lee MJ, Chung DH, Lee KH, Kim MG, Lee DH, Kim KS, Ha SD. 2005.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fresh vegetables distributed in markets. J Fd Hyg Safety 20: 43-47 

  22. Kwak TK. 2004. Establishment of Safety Standards for Foods and Facilities of School Food Service. Re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Research Grant 

  23. Kim SH, Kim JS, Choi JP, Park JH. 2006. Prevalence and frequency of food-borne pathogens on unprocessed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94-598 

  24. Roh PU, Bin SO, Kim SW. 1997. A study on contamination of fish sold at wholesale market in Seoul area-material collected from seoul karak fish market-. J Fd Hyg Safety 12: 294-299 

  25. Jung KH, Huh W, Kweon OG, Son JC, Park SW. 1999.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isteria spp. from fish and shellfish collected the region of Kyungbuk Eastern Coast. Kor J Env Hlth Soc 25: 44-48 

  26. David P, David J, Stephen M, Ian J, John S. 2006. A national survey of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beef carcasses and frozen boneless beef in Australia. J Food Protect 69: 1113-1117 

  27. Kang HJ, Kim YH, Son WG. 2000. Contamination level of retail meat and chickens by quantitative test of food poisoning bacteria. J Fd Hyg Safety 15: 204-208 

  28. Gashe BA, Mpuchane S. 2000. Prevalence of Salmonellae on beef products at butcheries and their antibiotic resistance profiles. J Food Sci 65: 880-883 

  29. Alvareze-Astrorga M, Capita R, Alonso-Calleja C, Moreno B, Garcia-Fernandez MDC. 2002. Microbiological quality of retail chicken by-products in Spain. Meat Sci 62: 45-50 

  30. Yoo WH, Park HK, Kim KL. 2000.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prepared foods and raw materials of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Dietary Culture 15: 123-137 

  31.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Enforcement Ordinance of Food Hygiene Law 

  32. Legnani P, Leoni E, Berveglieri M, Mirolo G, Alvaro N. 2004. Hygienic control of mass catering establishments microbiological monitoring of food and equipments. Food Control 15: 205-211 

  33. Staskel DM, Briley ME, Field LH, Barth SS. 2007. Microbial evaluation of foodservice surfaces in Texas child-care centers. J Am Diet Assoc 107: 854-8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