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 전 아동의 식습관, 신체 발달 및 영양 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s, Physical Development and Nutrient Intakes in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2 no.1, 2009년, pp.23 - 37  

유경희 (울산과학대학 호텔조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영양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어린이의 올바른 식생활 형성, 관리 및 영양교육을 위한 영양관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울산시 보육 시설에 다니는 $3{\sim}6$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신체계측 및 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영양섭취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어린이가 식사를 잘하지 않는 이유로는 '많은 간식으로 인하여'라는 답이 가장 높은 비율 (50.4%)을 차지하였으며, 규칙적 아침 식사에 있어서는 1주에 $3{\sim}4$번 하는 어린이가 17.9%, $1{\sim}2$번 하는 어린이가 6.2%로 아침 결식률이 높았다. 2) 간식의 빈도로 세 번 이상 주는 경우가 22.8%로 나타났으며 생우유 섭취량이 하루 3컵 이상 마시는 어린이도 11.7%였다. 3) 어린이의 식습관에서 흔히 나타나는 문항을 5점 척도로 식습관을 평가하였다. '식사 시간이 규칙적'이라는 문항에 대해서 평균 $3.5\;{\pm}\;0.9$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적당양을 섭취한다'의 문항으로 평균 $3.4\;{\pm}\;1.0$, '음식 투정을 하지 않는다' $3.1\;{\pm}1.0$, '음식을 골고루 섭취한다' $3.0\;{\pm}\;1.0$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식사를 빨리 끝낸다'의 문항에 대해서는 $2.7\;{\pm}\;0.9$의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또한 5문항 전체 평가에 있어서는 식습관이 우수하다고 판정되는 어린이가 9.0%에 불과했으며 대부분 식습관이 보통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식습관이 불량하다고 판정되는 경우도 6.2%로 유치원에서부터 어린이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4) 어린이의 식품군별 섭취빈도 점수를 점수화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가장 낮은 섭취를 나타낸 식품군은 녹황색 채소류로 평가 점수가 $1.8\;{\pm}\;0.9$였으며, 다음이 미역, 김 등의 해조류의 식품이 $2.1\;{\pm}\;1.1$, 과일류가 $2.5\;{\pm}\;1.2$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어육류, 계란, 콩 등 단백질 식품은 $2.6\;{\pm}\;1.1$, 우유 및 유제품의 경우는 $3.3\;{\pm}\;1.1$로 가장 자주 섭취하는 식품군으로 나타났으며, 튀김 음식의 경우 어린이의 32.4%가 주에 $1{\sim}2$번 정도로 거의 섭취하지 않는다고 답하여 평점 $3.0\;{\pm}\;0.9$로 식습관의 진단에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4) 어린이의 건강 상태를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감기 증상이 $3.1\;{\pm}\;1.0$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알레르기 증상이 $3.7\;{\pm}\;1.3$로 낮은 결과를 보여 영양소 섭취 부족에 의한 임상 증상들에 비해 면역에 대한 질환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의 건강 점수는 50.3%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7.6%가 보통, 2.1%가 건강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 어린이의 신장은 평균 $103.6\;{\pm}\;6.4\;cm$였으며 남아의 경우 $104.5\;{\pm}\;6.3\;cm$, 여아의 경우 $102.6\;{\pm}\;6.4\;cm$로 연령 간에는 유의한 차이 (p < 0.05)가 있었으며 남녀 어린이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체중은 평균 $17.8\;{\pm}\;3.0\;kg$였고, 남아 평균 $18.4\;{\pm}\;3.2\;kg$, 여아 평균 $17.1\;{\pm}\;2.7\;kg$였다. 연령 간에는 4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5세, 6세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남녀 어린이 간에는 4세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WLI를 기준으로 비만율을 판정한 결과 저체중율은 11.1%, 과체중 이상의 어린이 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lth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using the questionnaires about dietary behaviors and anthropometric indices. And also nutritional status was investigated using questionnaires for 24-hr recall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in 145 children aged 3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계측이란 무엇인가? 신체계측은 영양과잉 및 영양부족 등 영양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이며, 정확한 신체 계측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지지만 사용의 복잡성과 경비 문제 등으로 인하여 피부 두겹 측정이나 팔둘레, 키, 체중 등의 측정이 건강 조사에 가장 흔히 이용되어진다.11) 학령기 아동의 경우는 학교 신체검사 규칙 (교육부령, 제594호)에 의거 신체검사를 시행하여 건강 이상자의 조기 발견과 함께 지속적인 관찰과 추구 관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학령전기 어린이의 건강관리를 위한 법적 근거나 제도적 장치는 전무한 실정이어서 스크리닝 되어야 할 중요한 건강 문제가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취학 어린이의 신체 계측을 통한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가장 간편하고 정확한 도구가 필요하다고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신체계측은 영양과잉 및 영양부족 등 영양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이며, 정확한 신체 계측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지지만 사용의 복잡성과 경비 문제 등으로 인하여 피부 두겹 측정이나 팔둘레, 키, 체중 등의 측정이 건강 조사에 가장 흔히 이용되어진다.11) 학령기 아동의 경우는 학교 신체검사 규칙 (교육부령, 제594호)에 의거 신체검사를 시행하여 건강 이상자의 조기 발견과 함께 지속적인 관찰과 추구 관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학령전기 어린이의 건강관리를 위한 법적 근거나 제도적 장치는 전무한 실정이어서 스크리닝 되어야 할 중요한 건강 문제가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12) 신장-체중을 기초로한 신체 계측 자료 중 BMI는 성인과 청소년의 과체중과 비만을 측정하는데 가장 흔히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5세 미만의 어린이에게는 일반적으로 잘 이용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대신 weight-for-height가 미취학 아동에서 저체중과 과체중을 스크리닝하는데 자주 이용됨을 보고하였다.
학령 전 아동기는 어떤 시기인가? 학령 전 아동기는 전체적인 신체의 성장과정 중에서 영아기의 성장속도에 미치지는 못하나 지속적인 성장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꾸준한 성장과 함께 활동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신체 조절 능력이 점차 향상되며, 뇌 발달이 거의 완성되는 시기이므로 충분한 영양소의 공급이 요구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또한 이 시기는 혼자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기술을 습득하는 시기이며, 각 개인의 식품 기호도가 생겨나는 시기이기도 하며, 신체 기능을 조절하고 타인과 함께 하는 법, 사회적으로 예의 있게 행동하는 법 등을 익히게 된다. 또한 어린이의 영양요구량은 신체 조성과 크기, 활동 패턴, 성장 속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지며, 어린이가 받아들이고 섭취하는 식품은 부모의 식품 선택과 유치원의 식사 환경, 부모의 강압, 광고, 어린이의 예전 식경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모의 적절한 보호가 필요한 시기이다. 학령전 아동의 식생활태도와 영양상태는 가정, 사회 환경 등의 요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부모나 교사의 인식과 아동에게로의 바른 전달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Lee JS.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different income level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6; 11(2): 161-171 

  2. Kim KA, Shim YH. Cognitive performance and hyperactivity in terms of eating behavior and physical growth among preschoolers: -2. The relationships of several factors (Nutritional and social factors, cognition and hyperactivity) on preschoolers-. Korean J Dietary Culture 1995; 10(4): 269-279 

  3. Park HS, Ahn SH. Eating habits and social behavior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2003; 36(3): 298-305 

  4. Kim MK, Kim HJ, Kim YO, Lee JH, Lee WC. Overweight among preschool children in Seoul: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1; 6(2): 121-129 

  5. Kim HS, Lee HO. Survey on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Asan measured by anthropometric and nutrient intake analysis. J Korean Dietetic Assoc 2005; 11(1): 114-124 

  6. Chung HK, Chang YE. Anthropometric and nutrition status of institutiona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999; 4(1): 3-10 

  7. Son SM, Park SH.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low income urban area -1.Anthropometry and dietary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999; 4(2): 123-131 

  8. Joung HJ, Lee NH, Choi YS, Cho SH. Baseline dietary behaviors of children for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s at child care centers in Korea. Korean J Nutr 2000; 33(8): 890-900 

  9. Joung HJ, Lee NH, Choi YS, Cho SH. Improved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by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s at child care centers in Korea. Korean J Nutr 2000; 33(8): 901-908 

  10.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 Nutrition Survey (I, II); 2006 

  11. Mei Z, Grummer-Strawn LM, Pietrobelli A, Goulding A, Goran MI, Dietz WH. Validity of body mass index compared with other body-composition screening indexes for the assessment of body fatnes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 J Clin Nutr 2002; 75: 978-85 

  12. Kim HS.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preschoolers in health centers connected to day-care center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3 

  13. Kim WY, Cho MS, Lee H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2003; 36(1): 83-92 

  1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005 

  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Society of Pediatrics. Body growth standard values of Korean pediatrics & juveniles in 2007; 2007 

  16. Choi MJ, Yoon JS. The effect of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 on the physical growth indices i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3; 8(1): 3-14 

  17. Lee JW, Lee MS, Kim JH, Son SM, Lee BS. Nutritional Assessment. Kyomunsa, Seoul; 2001. p.109 

  18. Hong YJ. A study on a relation of food ecology to obesity index of 5th grade in Cheju City (2). Korean J Dietary Culture 1998; 13 (2): 141-151 

  19. Yoon GA. Overweight tracking in primary school children and analysis of related factors. Korean J Nutr 2002; 35(1): 69-77 

  20. Singh M. Role of micronutrients for physical growth and mental development. Indian J Pediatrics 2004; 71(1): 59-62 

  21. Kwon JY, Park HR, Whang EM. The assessment of dietary quality in toddler of 12-36 months. Korean J Nutr 2001; 34(2): 176-187 

  22. Kang KJ. A study on food habits, nutrient intakes and nutritional quality of pre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5; 10(4): 471-483 

  23. Nam KH, Kim YM, Lee GE, Lee YN, Joung HJ. Physical development and dietary behavior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f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6; 11(2): 172-179 

  24. Byun SY, Park MR, Jeon IS. The impact of large amount whole cow's milk intake on iron status in early childhood. Korean J Pediatr 1993; 36(7): 968-974 

  25. Chung WJ, Kim KS, Kim MK, Kim SM. Iron deficiency anemia in infants. Korean J Pediatr 1995; 38(9): 1253-1261 

  26. Kim KH, Lee KR, Lee H, Suh YS, Eun BL. Anemia due to prolonged breast feeding without weaning diet or supplement food. Korean J Pediatr 1993; 36(4): 528-535 

  27. Boutry M, Needlman R. Use of diet history in the screening of iron defiency. Pediatrics 1996; 98(6 Pt 1): 1138-42 

  28. Chung HK. Evaluation of nutrition status on the basis of orphan home children's anthropometry. Korean J Dietary Culture 1991; 6(4): 413-419 

  29. Moon HK, Jung HJ, Park SY. Indicators of nutritional status on the basis of preschool children's anthropometry. Korean J Nutr 1998; 31(8): 1283-1294 

  30. Sin EK, Lee YK. Health status by anthropometric values and serum biochemical indices of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s in Gumi.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5; 10(3): 253-263 

  31. Lee KH, Hwang KJ, Huh ES. A study on body image recognition, food habits,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of elementary children in Changw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1; 6(4): 557-591 

  32. Shin KO, Yoo YY, Park HS.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growth development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2005; 38(6): 455-464 

  33. Kwon SJ. Effect of obesity on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unches and the behavior of leaving lunch food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1; 6(2): 139-149 

  34. Lim HJ, Kim JI. An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in preschool children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2; 7(2): 167-176 

  35. Choi MK, Lee SY. The effect of breast feeding on growth development, bone mineral density of carpus, and nutrient intakes i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5; 10(1): 3-11 

  36. Suh EN, Kim CK.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Korean J Nutr 1998; 31(4): 787-798 

  37. Atkins LM, Davis PSW. Diet composition and body composition in preschool children. Am J Clin Nutr 2000; 72(1): 15-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