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걷기운동이 질환별 노인의 건강변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gular Walking Exercise on Health-Related Parameters in Persons with Chronic Diseas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12 = no.116, 2009년, pp.1750 - 1757  

임회진 (서울여자대학교) ,  김유식 (연세대학교) ,  조형석 (연세대학교) ,  김창희 (연세대학교) ,  임희정 (연세대학교) ,  정희성 (연세대학교) ,  임지애 (인토토) ,  윤병곤 (동의대학교) ,  백일영 (연세대학교) ,  서상훈 (연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으로 뇌졸중 27명(운동군 18명, 일상 생활군 9명), 과체중 17명(운동군 10명, 일상 생활군 7명), 내당능 장애 21명(운동군 11명, 일상 생활군 10명), 과체중+내당능 장애 20명을 대상으로 12주 걷기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비만도, 체력, 글루코스 대사지표와 지질대사 지표, 염증지표를 측정하였다. 측정 시기는 12주 걷기 운동 프로그램 시작 전, 종료 후로 총 2회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뇌졸중 집단에서는 운동군이 체중, BMI, 체지방, WHR, 혈압, 혈중지질 및 기능적 체력 검사의 결과가 모두 운동전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운동군과 일상 생활군 간의 차이에서도 체중, BMI, 체지방, WHR, 혈압, 혈중지질 및 기능적 체력 검사의 결과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과체중 집단에서는 운동군이 BMI, HDL-C에서 운동 후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기능적 체력 검사에서 의자에 앉아서 일어나기, 의자에서 일어나 2.4 m걸어 돌아오기, 6분 걷기에서 운동전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운동군과 일상 생활군 간의 차이에서는 체지방, TC, HDL-C, LDL-C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기능적 체력 검사의 결과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내당능 장애 집단에서는 운동군이 체중, BMI, 혈압, 글루코스, 혈중지질 및 기능적 체력 검사에서는 의자에 앉아서 일어나기와 6분 걷기 검사에서 운동전보다 운동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운동군과 일상 생활군 간의 차이에서는 체중, BMI, 체지방, 글루코스와 혈중지질에서 TC, TG, HDL-C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기능적 체력 검사 결과에서는 의자에 앉아서 일어나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과체중+내당능 장애 집단에서는 운동군이 체중, BMI, 체지방, 혈압, 글루코스와 혈중지질에서는 TG, HDL-C에서 운동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기능적 체력 검사에서는 의자에 앉아서 일어나기검사에서 운동전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또한 혈중 염증지표인 CRP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운동군과 일상 생활군 간의 차이에서는 체중과 혈중지질에서 HDL-C, LDL-C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기능적 체력 검사 결과에서는 의자에 앉아서 일어나기, 의자에서 일어나 2.4 m 걸어 돌아오기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12주 걷기운동이 뇌졸중 질환, 과제중, 내당능 장애 질환 및 과제중과 내당능 장애의 복합질환 노인들의 체중, 혈중지질, 글루코스, 기능적 체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고, 노인에게 발병되는 질환에 있어서 걷기 운동이 질환발병을 낮추는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사료된다. 또한 차 후 운동강도의 조절과 운동기간을 연장하여 남,녀로 구분한 연구와 더 많은 노인성 질환별 걷기 운동에 따른 혈중 지질대사 지표의 변화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gular walking exercise on health-related parameters i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 apoplexy, overweight, impaired fasting glucose, and overweight + impaired fasting glucose. A total of 85 subjects, 27, 17, 21 and 20 in apoplexy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운동 효과의 연구를 보면 발병 후 1년 이상의 만성 뇌졸중 노인에게 체중 이동, 균형조절운동, 걷기운동의 치료를 통해 일상생활 동작 수행능력이 향상을 가져왔으며 특히 노인들에게 있어 규칙적인 걷기 운동 또는 신체활동은 만성질환 및 신체기능 저하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고 하였다[또 다른 연구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개인의 신체기능 및 건강상태는 감소하지만 규칙적인 운동을 통하여 노인의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균형반응이 증진된다고 하였고, 이러한 체력증가는 노인들의 만성질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수 있다고 하였다 [2 이.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질환별(뇌졸증, 과체중, 내당능장애, 과체중+내당능 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규칙적인 걷기 운동이 체력 및 글루코스, 혈중지질 대사 지표와 염증지표를 포함하는 건강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6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7th ed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chapter 10, 246-251 

  2. Christiansen, T., B. Richelsen, and J. M. Bruun. 2005.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is produced in isolated adipocytes, associated with adiposity and reduced after weight loss in morbid obese subject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9, 146-150 

  3. Christensen, B. K, D. J. Terbizan, and C Deblauw. 2004. No changes in commitment to exercise in adults during a 14 week concurrent exercise training program. Med. Sci. Sports Exerc. 36, 64-68 

  4. Coghill, N. and A. R Cooper. 2008. The effect of a home-based walking program on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hypercholesterolaemic 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reve. Med. 46, 545-551 

  5. Magkos, F., Y. Tsekouras, S. A. Kavouras, B. Mittendorfer, and L. S. Sidossis. 2008. Improved insulin sensitivity after a single bout of exercise is curvilinearly related to exercise energy expenditure. Clin. Sci. (Lond) 11, 59-64 

  6. Durstine, J. L., P. W. Grandjean, C. A. Cox, and P. D. Thompson. 2002. Lipids, lipoproteins, and exercise. J. Cardiopulm. Rehabil. 22, 385-398 

  7. Ford, E. S., W. H Giles, and A. H Mokdad. 2004. Increasing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 S. adults. Diabetes 27, 2444-2449 

  8. Friedewald, W. T., R J. Levy, and D. S. Fredrickson.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9. Ghosh, A. and A. B. Das Chaudhuri. 2005. Explaining Body Composition by some Covariate Factors among the Elderly Bengalee Hindu Women of Calcutte, India. J. Nutr. Health Aging 9, 403-406 

  10. Jang, H. c., S. Lim, and N. H. Cho. 2004. Metabolic syndrome-Korean Ansung and Ansan Cohort (KAAC) Study.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67, S528-S532 

  11. Jung, c. H, J. S. Park, W. Y. Lee, and S. W. Kim. 2002. Effects of smoking, alcohoL exercise,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history on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lt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63, 649-659 

  12. Kang, H J. 2002.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level on $\beta$ -cell insulin secretory function and sensitivity in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newly-dagnosed Type II diabetes mellitus. Exercise Science 11, 67-75 

  13. Kang W. K, J. T. Kwon, and W. K Kook. 2007. Reconside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pid aging of the societies and the older driver's traffic accidents. KSCE 27, 19-26 

  14. Kim, E. J. 2005. The effects of the aerobic exercise training with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inflammation response in the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4, 441-451 

  15. Kim, J. U, G D. Park, and S. W. Jung. 2006.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serum LDH isoforms, CPK concentration, and physical fitness levesl in the female elderly. Korea Sport Research 17, 55-64 

  16. Ko, S. K 2002. The quantity of aerobic exercise to improve the blood woman with hypertension. obesity and diabetes mmellitus. Exercise Science 11, 247-257 

  17. Leon, A. S. and O. Sanchez. 2001.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s. Circulation 104, 414-II-415 

  18. Lim, S., E. J. Lee, B. K Koo, S. I. Cho, K S. Park, H. C. Jang, and S. Y. Kim. 2005. Increasing Trend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Based on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Diabetes 29, 432-439 

  19. Losonczy, K G, T. B. Harris, J. Cornoni-Huntley, E. M. Simonsick, R B. Wallace, N. R Cook, A. M. Ostfeld, and D. G Blazer. 1995. Does weght loss from middle age to old age explain the inverse weight mortality relation in old age? Am. J. Epidemiology 141, 312-321 

  20. Mills, E. M. 1994. The effect of low-intensity aerobic exercise on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among sedentary elderly person. Nursing Research 43, 207-211 

  21. Niinikoski, H., H Lapinleimu, J. Viikari, T. Ronnemaa, E. Jokinen, R Seppanen, P. Terho, J. Tuominen, I. Valimaki, and O. Simell. 1997. Growth until 3 years of age in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of a diet with reduced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Pediatrics 99, 687-694 

  22. Oh, D. J. 2003. Life style and Coronary Artery Disease.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65, 130-135 

  23. Park Y. W., C. H Kim, and H C. Shin. 2002. Is the cut-off value of body mass index (BMI) appropriate for identifying obesity in Korea?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o 2, 10-15 

  24. Shephard, R. J. and G. L. Balady. 1999. Exercise as cardiovascular therapy. Circulation 99, 963-967 

  25. Skelton, D. A. and S. M. Dinan. 1999. Exercise for falls management: Rational for an exercise programme aimed at reducing postural instability. Phys. Theo. Prac 15, 105-120 

  26. Yiannis, T. E., Y. E. Amalia, B. Dimitrios, K A. Stavros, and S. S. Labros. 2007. A single bout of brisk walking increases basal very low-density lipoprotein triacylglycerol clearance in young men. Metabolism 56, 1037-1043 

  27.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3. Anual report on causes for deaths. 

  28. Trappe, S. W., D. L. Costill, and M. D. Vukovich. 1996. Aging among elite distance runners: a 22-year longitudinal study. J. Appl. Physiol 80, 285-290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6 

  30. Wing, R R, B. A. Polley, E. Venditti, W. Lang, and J. M. icikaJ. 1998. Lifestyle intervention in overweight individuals with a family history of diabetes. Diabetes Care 21, 350-359 

  31. Yang, M. R, M. Kim, and H. S. Kim. 1996. A Study of Health - Related Fitness in the Elderly Women. Physical Growth and Motor Development 4, 43-54 

  32. Yang, J. H. 1993. The Effects of the Elderly's Physical Activity on Fitness. Korea Sport Research 32, 2491-25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