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기간에 따른 땅두릅 장아찌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Jangachi by Storing Time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5 no.1, 2009년, pp.8 - 15  

한귀정 (농촌진흥청 한식세계화연구단) ,  신동선 (농촌진흥청 한식세계화연구단) ,  장명숙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땅두릅을 이용하여 전래되어온 방법에 따라 된장장아찌, 고추장장아찌를 제조하고 장아찌로서의 적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pH 및 총산의 변화는 pH가 감소하면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담금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염도의 경우 저장 초기에서 1개월까지 급속히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의 변화는 $CaCl_2$ 처리방법과 담금원에 따라 저장기간별 외관적 품질의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총균수는 저장 초기 조금씩 증가하기 시작하여 저장 3개월에 급격히 증가하다가 저장 5개월에는 약 $6.6{\times}10^{6}cfu/mL$로 최고치에 이른 후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젖산균수의 경우 된장장아찌와 고추장장아찌의 염도가 대조구보다 $CaCl_2$ 용액으로 처리한 처리구가 다소 높게 나타나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젖산균수는 염도가 높을수록 생육이 저해되었다. 저장기간별경도 특성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CaCl_2$ 용액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조직의 경도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별 관능적 특성은 된장 장아찌 보다 고추장장아찌가 더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cK) Jangachi made with different $CaCl_2$ and seasoning treatments during storage at $4^{\circ}C$ for 6 months. The results exhibi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땅두릅 수확시기가 비교적 짧고 저장기간이 짧으므로 저장기간이 긴 제품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전래되어온 방법(빙허각이씨 1992) 및 현대 조리서(장명숙 1999, 김기숙 등 2001)방법을 참고로 하여 된장장아찌, 고추장장아찌를 제조함으로써 땅두릅의 우수한 맛, 향, 질감이 더해진 새로운 풍미를 갖춘 땅두릅 장아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아찌로서의 적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땅두릅의 이용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 땅두릅을 이용하여 전래되어온 방법에 따라 된장장아찌, 고추장장아찌를 제조하고 장아찌로서의 적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땅두릅 수확시기가 비교적 짧고 저장기간이 짧으므로 저장기간이 긴 제품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전래되어온 방법(빙허각이씨 1992) 및 현대 조리서(장명숙 1999, 김기숙 등 2001)방법을 참고로 하여 된장장아찌, 고추장장아찌를 제조함으로써 땅두릅의 우수한 맛, 향, 질감이 더해진 새로운 풍미를 갖춘 땅두릅 장아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아찌로서의 적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땅두릅의 이용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아찌의 가공 원리는 무엇인가? 장아찌는 재료를 소금물, 간장, 식초 등의 용액에 넣어 탈수시켜 세포의 기능을 잃게 하여 다시 된장, 고추장 등의 장류에 넣어 발효시키는 원리로 가공된다. 즉, 소금물에 절여서 삭히면 시료 내에 있는 수분이 용출되는 탈수 작용을 유발하고 원형질을 분리시켜 양념이 빠르게 조직 내로 침투하도록 도와준다.
땅두릅 뿌리의 주요 성분은 무엇인가? 땅두릅의 주요성분으로서 단백질, 무기질, 아스파라긴산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가가 풍부하여 고급 신선채소로 많이 이용되며, 땅두릅 뿌리에는 스테롤, 유기산, 당류, 아미노산, 정유, 알칼로이드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Kwon TR 등 1995). 또한, 무공해 건강식품을 선호하는 국민의 식생활 요구에 맞추어 어린순은 식욕을 돋우는 고급 신선채소로서 가치가 높은 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장아찌의 염분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장아찌는 재료를 소금물, 간장, 식초 등의 용액에 넣어 탈수시켜 세포의 기능을 잃게 하여 다시 된장, 고추장 등의 장류에 넣어 발효시키는 원리로 가공된다. 즉, 소금물에 절여서 삭히면 시료 내에 있는 수분이 용출되는 탈수 작용을 유발하고 원형질을 분리시켜 양념이 빠르게 조직 내로 침투하도록 도와준다. 또한 염분이 스며들어 효소에 의한 소화 작용을 촉진하며 유효 미생물이 번식하여 발효가 진행되고 장류에 장기간 절여서 저장함으로써 유해한 미생물의 생육이 어려워 장기보존이 용이하게 된다 (Kim MJ와 Kim SD 1994).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계절별로 많이 생산되는 채소류를 침강하여 다양한 종류의 장아찌를 만들어 우리 식생활에서 기본적인 부식뿐 아니라 저장 음식으로써 특히 겨울철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 공급이나 각종 비타민을 보충해 주는 유용한 밑반찬 역으로 이용하여 왔다(Jo MS 2003, Chang CH 1988, Lee SW 1988, Lee YN 등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광옥, 김상숙, 성내경, 이영춘. 1993. 관능검사 방법 및 응용. 신광출판사. 서울. pp 192-237 

  2. 김기숙, 김미정, 안숙자, 이숙영, 한경선. 2001. 식품과 음식 문화. 교문사. 서울. p 173 

  3. 김용익, 이형석, 김용국. 1999. 조사료원으로서 땅두릅 잎+줄기, 잎, 줄기 및 뿌리의 화학적 조성 및 반추위내 건물소화율.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 26(1):58-64 

  4. 김용익. 1999. 조사료원으로써 땅두릅 biomass의 영양가치 및 이용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3-5 

  5. 빙허각 이씨 원저, 정양완 역주. 1992. 규합총서. 보진제. 서울. p 49 

  6. 이선덕, 안중옥. 1991. 독활(Aralia cordata Thunb.)의 종자발아향상 및 연화방지방법. 농식논문집. 33(2):59-64 

  7. 장명숙. 1999. 식품과 조리원리. 효일문화사. 서울. pp 301-314 

  8.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Washington D.C. USA. pp 50-58 

  9. Chang CH. 1988. The future prospect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Korean J Dietary culture 3(4):341-345 

  10. Han HU, Lim CR, Park HK. 1990.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s an indicator o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1):26-32 

  11. Jo MS. 2003. A study of intakes of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8(6):601-612 

  12. Jung ST, Lee HY, Park HJ. 1995. The acidity, pH, salt content and sensory scores change in OyiJangachi manufacturing. J Korean Soc Food Nutr 24(4):606-612 

  13. Kim BS, Kang ST, Park KH, Hur JW. 1999.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of greenhouse horticultural commodities in the south area (1), effect of brine concentration on the quality of Cucumber-pickle. J Korean Soc Food Nutr 28(2):390-395 

  14. Kim CH, Yang YH, Lee KJ, Park WS, Kim MR.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ckled Cucumber prepared with dry salting methods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34(5):721-728 

  15. Kim HY, Chung HJ. 1995.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ring the preparation of Persimmon-pickles and its optimal prepara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5):697-702 

  16. Kim JG, Choi HS, Kim SS, Kim WJ. 1989.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Korean pickled Cucumber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6):838-844 

  17. Kim MJ, Kim SD. 1994. The fermentation control of Kimchi. J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4(2):62-78 

  18. Kim YK, Kim YI. 2000. Feeding value of leaves and stems from Aralia cordata thunberg in Korean native goats. J Korean Anim Sci Technol 42(6):897-904 

  19. Kwon TR, Kim SK, Min GG, Jo JH, Lee SP, Choi BS. 1995. Seed germination of Aralia cordata thunb. and effect of mulching methods on yield and blanching. J Korean Soc Hort Sci 36(5):620-627 

  20. Lee SW. 1988. The historical review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Korean J Dietary culture 3(4):331-339 

  21. Lee YN, Sin MJ, Kim BN. 1991.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traditional food. Korean J Dietary Culture 6(1):71-81 

  22. Park JI, Chung GH, Kim BS, Hur JH. 1994.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Boogags by traditional methods and improvement of preserv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6):986-994 

  23. Park MW, Park YK, Jang MS. 1994.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pickled Cucumber with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Nutr 23(4):634-640 

  24. Perry LM. 1980. Medicinal plants of east and southeast Asia. Attributed properties and uses. The Press. London. p 41 

  25. Ryu KD, Chung DH, Kim JK. 2000. Comparison of radish cultivars f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Kakdugi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3):681-690 

  26. Yoo S, Lee JS, Hong WS. 1989. Effect of different processes on texture of fermented cucumber pickle. Korean J Dietary Culture 4(1):103-1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