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 가수분해 방법에 의한 감자 glycoalkaloid성분의 정량성 검토
Studies on Potato Glycoalkaloid Determination by Acid-hydrolysis Method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4 no.1, 2009년, pp.84 - 89  

윤경순 (영남대학교 식품외식학부) ,  변광인 (영남대학교 식품외식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배종 감자 덩이줄기에 존재하는 glycoalkaloid (PGA) 중 특히 ${\alpha}$-chaconine, ${\alpha}$-solanine, demessine을 산가수분해 처리하여 분해 생성물인 아그리콘 및 배당체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PGA의 정량 가능 유무를 조사하였다. 1. 표준품의 solanidine을 1 N-HCl로 가수분해하면 산 가수분해 반응 10분 후부터 solanidine이 급속하게 감소하였고 새로운 피크가 급증하였다. 이 피크를 GC-MS로 분석한 결과, 분자 이온 피크($M^+$=379)가 검출되어 이 물질을 solanthrene으로 분류하였다. 이 solanidine-solanthrene의 반응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진행되었다. 2. 표준품의 demissidine을 solanidine과 같은 방법으로 가수분해하여 GC-MS로 분석한 결과, solanidine의 경우와는 상이하게 solanthrene는 검출되지 않았고 demissidine ($M^+$=399, 204,150)의 피크만이 검출되었다. 이로써 demissidine은 산 가수분해 처리에 의한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추측 할 수 있었다. 3. ${\alpha}$-chaconine, ${\alpha}$-solanine, demessine를 산분해하면 ${\alpha}$-chaconine과 ${\alpha}$-solanine은 solanidine에서 solanthrene으로 분해 반응이 일어났다. 이 두 물질의 아그리콘인 solandine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PGA량을 산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산 분해에 의해 생성된 배당체는 매우 안정하여 이 배당체의 당함량을 측정하여 이 두 물질의 PGA 함량을 산출하는 것은 가능하였다. demissine는 산 분해에 의해 생성된 아그리콘(demissidine)은 매우 안정하여 생성된 아그리콘의 양으로부터 demissine 함량을 산출하는 것은 가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was conducted to evaluate aglycones and carbohydrates produced by acid hydrolysis of three potato glycoalkaloids [(PGA); ${\alpha}$-chaconine, ${\alpha}$-solanine, and demissine] in potatoes. Standard solanidine and demissidine were dissolved in 1N HCl and then he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재배종 감자 덩이줄기에 존재하는 glycoalkaloid (PGA) 중 특히 α-chaconine, α-solanine, demessine을 산가수분해 처리하여 분해 생성물인 아그리콘 및 배당체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PGA의 정량 가능 유무를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먼저 S. tuberosum과 S. andigena(재배종)과 S. acaule(원종)의 PGA 즉, α-chaconine, αsolanine과 demissine[Figure 1]의 구성 아그리콘인 solanidine 및 demissidine의 산 분해에 의한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와 동시에 표준품 α-chaconine, α-solanine, demissine을 이용한 동일한 방법으로 산 분해 반응을 시켜이 과정 중 열안정성과 산 분해에 의한 alkaloid 분석에의 적용 가능 유무를 검토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GA를 측정하는 분석법들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산가수분해법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이로 인해 식품 영양, 식품위생 분야에서는 PGA의 측정법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 보고에서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법[TLC; Thin-Layer Chromatography] (Bennett 1966; Rozum 등 1969; Cadle 등 1978),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법[GC; Gas Chromatography](Herbs 등 1975; King 1980; Gregory 등 1981),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Bushway 등 1979; Crabbe & Fryer 1980),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법[LC-M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Friedman & Levin 1992; Friedman 등 1994), Radio immunoassay법(Vallejo & Ercegovich 1978; Harvey 등 1985), X선 분석 등(Höhne 등 1966; Valverde 등1993)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분광법과 TLC 이외는 가격이 비싸고 또한 조작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가장 간단하고 단시간에 측정이 가능한 방법으로는 산가수분해법이 있다(Sinden 등 1978). 산가수분해법은 PGA에 염산이나 황산을 첨가하여 100o C의 조건에서 몇 분에서 2시간 정도 가수분해를 하여 생성되는 산분해물을 추적하는 것으로, PGA의 정량이 가능하다.
글리코알칼로이드을 한 번에 많이 섭취하면 나타나는 건강상 문제점은? 감자는 덩이줄기의 외피층과 발아부분에 유독 물질인 감자 글리코알칼로이드(PGA; Potato glycoalkaloid)가 존재하며 이 물질을 한 번에 많은 양을 섭취하게 되면(총 PGA 량의 20 mg% 이상) 설사, 복통, 구토 등의 위장 장해와 어지럼증, 졸음 및 가벼운 의식 장해의 증상을 나타낼 뿐 아니라, 드물게는 중추 신경계의 기능 저하에 의해 그 상태가 심각해지거나 때로는 사망 할 수 있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McMillan & Thompson 1979; Keeler 1986; Friedman & McDonald 1999a; Friedman & McDonald 1999b). 이로 인해 식품 영양, 식품위생 분야에서는 PGA의 측정법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 보고에서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법[TLC; Thin-Layer Chromatography] (Bennett 1966; Rozum 등 1969; Cadle 등 1978),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법[GC; Gas Chromatography](Herbs 등 1975; King 1980; Gregory 등 1981),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Bushway 등 1979; Crabbe & Fryer 1980),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법[LC-M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Friedman & Levin 1992; Friedman 등 1994), Radio immunoassay법(Vallejo & Ercegovich 1978; Harvey 등 1985), X선 분석 등(Höhne 등 1966; Valverde 등1993)이 보고되고 있다.
PGA 정량 측정할 때 활용하는 산가수분해법이란? 그러나, 분광법과 TLC 이외는 가격이 비싸고 또한 조작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가장 간단하고 단시간에 측정이 가능한 방법으로는 산가수분해법이 있다(Sinden 등 1978). 산가수분해법은 PGA에 염산이나 황산을 첨가하여 100o C의 조건에서 몇 분에서 2시간 정도 가수분해를 하여 생성되는 산분해물을 추적하는 것으로, PGA의 정량이 가능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산분해법에 의한 PGA에 관한 연구보고는 정량적 연구가 대부분으로, 산 분해 과정중의 PGA의 변화 특히 아그리콘(aglycone) 의 열안정성에 관한 연구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nnett RD, Heftmann F. 1966. Separation of closely related steroids by an improved technique for continuous development of thin-layer chromatograms. J. Chromatogr, 21(3):488-490 

  2. Bushway RJ, Barden ES, Bushway AW, Bushway AA. 1979.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potato glycoalkaloids. J. Chromatogr, 178(2):533-541 

  3. Cadle LS, Stelzig DA, Harper .L, Young RJ. 1978. Thin-layer chromatographic system for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potato tuber glycoalkaloids. J. Agric. Food Chem, 26(6):1453-1454 

  4. Crabbe PG, Fryer C. 1980. Rapid quantitative analysis of solasodine, solasodine glycosides and solasodine by high-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187(1):87-100 

  5. Friedman M, Levin CE. 1992.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potato glycoalkaloids and hydrolysis products on acidic columns. J. Agric. Food Chem, 40(11):2157-2163 

  6. Friedman M, Levin CF, McDonald GM. 1994. $\alpha$ -tomatine determination in tomatoes by HPLC using pulsed amperometric detection. J. Agric. Food Chem, 42(9):1959-1964 

  7. Friedman M, McDonald GM. 1997. Potato glycoalkaloids: chemistry, analysis, safety, and plant physiology. Critic Rev Plant Sci, 16(1):55-132 

  8. Friedman M, McDonald GM. 1999. Postharvest changes in glycoalkaloid content of potatoes. In Impact of Processing on Food Safty; Jackson, L.S., Knize, M.G., Morgan, J.N., Eds.; Plenum: New York. pp 121-143 

  9. Friedman M, McDonald GM. 1999. Steroidal glycoalkaloids. In Naturally Occurring Glycosides: Chemistry, Distribution and Biological Properties; Ikan, R/.Ed.; Wiley: New York. pp 311-342 

  10. Gregory P, Sinden SL, Tingey WM, Chassin DA. 1981. Glycoalkaloids of wild, tuber-bearing Solanium species. J. Agric. Food Chem, 29(6):1212-1215 

  11. FAOSTAT data. 2006. Agricultural data found http://faostat.fao.org/ 

  12. Harvey MH, Morris BA, McMillan M, Marks V. 1985. Measurement of potato steroidal alkaloids in human serum and saliva by radio immunoassay. Hum. Toxicol., 4(5):503-512 

  13. Herbs SF, Fitzpatrick TJ, Osman SF. 1975. Separation of potato glycoalkaloids by gas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23(3):520-523 

  14. Hohne E, Schreiber K, Ripperger H, Worch HH. 1966. Solanum alkaloids. IX. X-ray structure analysis of demissidine hydroiodide for the absolute configuration of solanidanes and 22, 26-iminocholestane at C-22. Tetrahedron, 22(2):673-678 

  15. King RR. 1980. Analysis of potato glycoalkaloids by gas chromatography of alkaloid components. J. Assoc. Off. Anal. Che, 63(6):1226-1230 

  16. Kozukue N, Misoo S, Yamada T, Kamijima O, Friedman M. 1999. Inheritance of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glycoalkaloids in potatoes of somatic hybrids between dihaploid solanum acaule and tetraploid solanium tuberosum. J. Agric. FoodChem, 47(10):4478-4483 

  17. Keeler RF. 1986. Teratology of steroidal alkaloids. In The Alkaloids. Chemical and Biological Perspectives Pelletier, S.W., Ed.; Wiley: New York. pp 389-425 

  18. McMillan M, Thompson JC. 1979. An outbreak of suspected solanine poisoning in schoolboys. Examination of criteria of solanine poisoning. Q.J. Med. 48(2):227-243 

  19. Mondy NI, Owens-Mobley E, Gedde-Dahl SB. 1967. Influence of potassium fertilization on enzymatic activity, phenolic content and discoloration of potatoes. J. Food Sci, 32(4):378-381 

  20. Rayburn JR, Bantle JA, Friedman M. 1994. Role of carbohydrate side chains of potato glycoalkaloids in developmental toxicity. J. Agric. Food Chem, 42(7):1511-1515 

  21. Rozumek KE. 1969. Thin-layer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tomatidenol, solasodine and soladulcidine and yamogenin, diosgenin and tigonenin. J. Chromatogr, 40(1):97-102 

  22. Sinden SL, Schalak JM, Stoner AK. 1978. Effects of day length and maturity of tomato plants on tomatine content and resistance to Colorado potato beetle. 103(5):596-600 

  23. Vallejo RP, Ercegovich CD. 1978. Analysis of potato for glycoalkaloid content by radioimmunoassy (RIA). In: Methods and Standards for Environmental Measurments, Publication 519,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Washington. D.C, 333-340 

  24. Valverde M, Lavaud C, Boustie J, EI Badaoui H, Muguest B, Henry M. 1993. Solamargine: the main glycoalkaloid from the fruits of Solanum paludosum. Planta Med, 59(5):483-4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