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obacillus bulgaricus를 이용한 메밀싹 첨가 요구르트의 발효특성
Lactobacillus bulgaricu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Yogurt with added Buckwheat Sprout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4 no.1, 2009년, pp.90 - 95  

강하니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학과) ,  김철재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uckwheat sprouts on the acid production and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n to which 5 and 10%(w/v) buckwheat sprouts was added, followed by fermentation with Lactobacillus bulgaricus. In yogurt to which 5 and 10% buckwhe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 및 기능성이 우수한 rutin이 다량 함유된 메밀싹을 이용하여 새로운 기능성 요구르트를 개발하고자 메밀싹 첨가에 따른 산 생성과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1)BS denotes buckwheat sprouts.
  • 1)Values in different superscript 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Values in different capital letter superscript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3)Values in different small letter superscript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효유란 무엇을 말하는가? 발효유(Fermented milk)는 일반적으로 우유, 산양유, 마유 등과 같은 포유동물유의 젖을 원료로 하여 유산균이나 효모 또는 이 두가지 미생물을 스타터로 하여 발효시킨 제품을 말하며, 여기에 향료, 과즙 등을 첨가하여 음용하기에 적합하게 만든 것을 의미한다(Lee 등 1999). 발효유의 역사로 볼 때 가장 중요한 유산균은 1857년 프랑스의 유명한 미생물학자 파스퇴르(Louis Pasteur 1807~1893)에 의해서 최초 발견된 미생물로서 발견 당시에는 포도주를 신맛(Sour)이 나게 만드는 백해무익한 균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보고된 유산균은 몇 종류인가? 발효유의 역사로 볼 때 가장 중요한 유산균은 1857년 프랑스의 유명한 미생물학자 파스퇴르(Louis Pasteur 1807~1893)에 의해서 최초 발견된 미생물로서 발견 당시에는 포도주를 신맛(Sour)이 나게 만드는 백해무익한 균으로 알려졌다. 그 후 여러 연구를 통해 인체에 유익한 균으로 밝혀졌으며(Shahani & Chandan 1979) 지금까지 300~400여 종류가 보고되었고 그 중 20여 종류가 주로 발효유 제조 및 발효산업에 이용되고 있다. 유산균은 β-galactosidase 생성에 의해 유당을 분해하고, 장내 유해균 억제(Yang 등 1999), 장내 정상 균총의 유지(Lee 등 2003),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Lee 1997).
유산균은 누구에 의해 최초로 발견된 미생물인가? 발효유(Fermented milk)는 일반적으로 우유, 산양유, 마유 등과 같은 포유동물유의 젖을 원료로 하여 유산균이나 효모 또는 이 두가지 미생물을 스타터로 하여 발효시킨 제품을 말하며, 여기에 향료, 과즙 등을 첨가하여 음용하기에 적합하게 만든 것을 의미한다(Lee 등 1999). 발효유의 역사로 볼 때 가장 중요한 유산균은 1857년 프랑스의 유명한 미생물학자 파스퇴르(Louis Pasteur 1807~1893)에 의해서 최초 발견된 미생물로서 발견 당시에는 포도주를 신맛(Sour)이 나게 만드는 백해무익한 균으로 알려졌다. 그 후 여러 연구를 통해 인체에 유익한 균으로 밝혀졌으며(Shahani & Chandan 1979) 지금까지 300~400여 종류가 보고되었고 그 중 20여 종류가 주로 발효유 제조 및 발효산업에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YT, Lim KS, Huh CS. 2006. Current state of functional yoghurt in Korea. Journal of Korean Dairy Technology and Science Association, 46(4):677-686 

  2. Baek YJ, Bae HS, Kim HY. 1991. In vivo antitumor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Sarcoma 180 and mouse Lewis Lung Carcinoma.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3(2):188-197 

  3. Havsteen B. 1983. Flavonoids a class of natural products of high pharmacological potency. Biochemical Pharmacology, 32(7):1141-1148 

  4. Hertog MGL, Kromhout D, Aracanis C, Blackburn H, Buzina E, Fidanza F, Giampaoli S, Jansen A, Menotti A, Nedeljkovic S, Pekkarinen M, Simic BS, Toshima H, Feskens EJM, Hollman PCH, Katan MB. 1995. Flavonoid intake and longterm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cancer in the countries study.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155(4):381-386 

  5. Huh CS. 2005. Development of Korean dairy industry-fermented milk products. Journal of Korean Dairy Technology and Science Association, 23(2):149-153 

  6. Keli SO, Hertog, MGK, Freskens EJM, Kromhout D. 1996. Dietary flavonoids, antioxidant vitamins, and incidence of stroke. The Zutpen study.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56(6):637-642 

  7. Kim YS, Kim JG, Lee YS, Kang IJ. 2005.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nents of buckwheat seed and spro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4(1):81-86 

  8. Kwon TB. 1994. Changes in rutin and fatty acids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7(2):124-127 

  9. Lee EH, Kim CJ. 2008. Nutritional changes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3(1):121-129 

  10. Lee JL, Huh CS, Baek YJ. 1999. Utilization of fermented milk and its health promotion. Journal of Korean Dairy Technology and Science Association, 17(1):58-71 

  11. Lee JS, Han PJ, Suh KB. 1972. Studies on production of modified yoghurt (soy cream) from soybean milk (I).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3):194-199 

  12. Lee JS, Lee MH, Chang YK, Ju JS, Son HS. 1995. Effects of buckwheat diet on serum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NIDDM.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28(9):809-816 

  13. Lee JS, Park SJ, Sung KS, Han CK, Lee MH, Jung CW, Kwon TB. 2000. Effects of germinated buckwheat on blood pressure, plasma glucose and lipid levels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2(1):206-211 

  14. Lee JS, Son HS, Maeng YS, Chang YK, Ju JS. 1994. Effects of buckwheat on organ weight,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27(8):819-927 

  15. Lee MH, Son HS, Choi OK, Oh SK, Kwon TB. 1994.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buckwheat germination.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7(4):267-273 

  16. Lee YW. 1997. Effect of fermented milk on the blood cholesterol level of Korean.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12(1):83-96 

  17. Ly SY, Shin JR, Lim SH. 2003. Effect of drinking fermented milk on the improvement of defecation in constipated female students.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12(2):265-274 

  18. Ohara T, Ohinata H, Muramatsu N, Matsuhashi T. 1989. Determination of rutin in buckwheat food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Nippon Shokuhin Koygy Gakkaishi, 36(2):114-117 

  19. Rasic JL, Kurmann JA. 1978. Yoghurt. Technical Dairy Publishing House, Copenhagen, Denmark, T. p 103 

  20. Rose AH. 1981. The microbiological production of food and drink. Scientific American, 245(3):127-138 

  21. Shahani KM, Chandan RC. 1979. Nutritional and healthful aspects of cultured and culture containing dairy foods. Journal of Dairy Science, 62(10):1685-1694 

  22. Shin YM, Son CW, Sim HJ, Kim MH.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irulina added yoghur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24(1):68-75 

  23. Swain T, Hillis WE, Ori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10(1):83-88 

  24. Yang SJ, Yoon JW, Seo KS, Koo HC, Kim SH, Bae HS, Baek YJ, Park YH. 1999. Prophylactic effects of Bifidobacterium longum HY8001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DT104 enteric infection and evaluation of vero cytotoxin neutralizing effects. The Korean Society for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27(5):419-4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