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늘 저장 중 부패병 방제를 위하여 처리한 농약의 경시적 농약 잔류량 평가
Safety Assesment of Pesticides Treated on Garlic to Control Black Rot during the Storage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3 no.3, 2009년, pp.148 - 158  

유오종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  진용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황세구 (충북농업기술원 단양마늘시험장) ,  이용훈 (전북대학교 생명공학부) ,  임양빈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  김진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권오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경기성 (충북대학교 응용생명환경학부) ,  김장억 (경북대학교 응용생물화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늘 저장 중 발생하는 부패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처리한 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침지와 경엽살포 및 관주처리 방법으로 농약을 처리한 후 경시적으로 마늘 중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부패병 방제를 위하여 시험농약인 diphenylamine, prochloraz, tebuconazole 및 dimethoate를 침지, 경엽살포 및 관주 처리한 후 6개월까지 저장하면서 매월 1회 잔류분석을 수행하였다. 잔류시험 결과 침지는 1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였고, 관주처리에서는 주당 50 mL를 처리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단양재래종, 의성재래종 및 남도종을 6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경시적 농약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단양재래종 마늘 중 잔류량은 diphenylamine 0.008~0.28 mg/kg, tebuconazole 0.03~0.32 mg/kg, prochloraz가 0.02~0.12 mg/kg 그리고 dimethoate가 0.02~0.25 mg/kg이었다. 의성재래종 마늘 중 잔류량은 diphenylamine이 0.008~0.09 mg/kg, tebuconazole이 0.08~0.45 mg/kg, prochloraz가 0.02~0.57 mg/kg 그리고 dimethoate가 0.04~0.38 mg/kg이었다. 또한 남도종 마늘 중 잔류량은 diphenylamine이 0.008~0.52 mg/kg, tebuconazole이 0.07~1.67 mg/kg, prochloraz가 0.02~0.17 mg/kg 그리고 dimethoate가 0.03~0.73 mg/kg이었다. 검출된 농약 중 tebuconazole은 잔류허용기준(MRL)인 0.1 mg/kg을 초과하였으나, dimethoate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MRL인 1.0 mg/kg 미만으로 검출되었으며, diphenylamine과 prochloraz는 MRL이 설정되지 않아 추가적인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tested and selected some agrochemicals reducing the occurrence of major pests and diseases during garlic storage. Tebuconazole, diphenylamine and prochloraz as fungicides and dimethate as a insecticide were sprayed or drenched before harvest. And the harvested garlic was dipped in each of the a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oxysporum 에 억제효과가 있는 diphenylamine, prochloraz 및 tebuconazole 을 마늘에 처리하여 저장기간 중 부패병 방제효과를 조사하면서 처리농약의 잔류량을 분석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 처리조건에 따른 사용시기 및 사용방법을 확립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Dimethoate는 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De Paoli M, Taccheo Barbina M, Damiano V, Fabbro D, Bruno R.(1997) Simplified determination of combined residues of prochloraz and its metabolites in vegetable, fruit and wheat samples by gas chromatography. Journal of Chromatography A. 765(1): 127-131 

  2. Hwang, J. M. (1988) Effect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before and after planting on bulb dormancy and development in garlic (Allium sativum L.). Seoul National University 

  3. Karamfilov V.K, T.W. Filemanb, KM. Evansb, R.F.C. Mantourab (1996) Determination of dimethoate and fenitrothion in estuarine samples by C- 18 solid-phase extraction and highresolution gas-chromatography with nitrogen-hosphorus detection. Analytica Chimica Acta 335:51-61 

  4. Park Y. M., J. M. Hwang and H. T. Ha (2000) Storability of garlic bulbs as influenced by postharvest clipping treatments and storage temperature. J. Kor Soc. Hort. Sci. 41(4):315-318 

  5. Rastrelli L., K Totaro, F. D. Simone, (2002) Determination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s in Cilento (Campania, Italy) virgin olive oil by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Food Chemistry 79:303-305 

  6. Saad B., N. H. Haniff, M. I. Saleh, N. H. Hashim, A. Abu, N. Ali, (2004) Determination of ortho-phenylphenol, diphenyl and diphenylamine in apples and oranges using HPLC with fluorescence detection. Food Chemistry 84:313-317 

  7. 김용기, 이상범, 이상엽, 심홍식, 최인후 (2003) 마늘 저장병 방제를 위한 경종적, 화학적 접근, 농약과학회지 7(2): 139-148 

  8. 김종훈, 김진주, 정진홍, 이호준, 김재능 (2002) 마늘의 줄기 및 뿌리절단에 따른 저장 중 품질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9(4):362-368 

  9. 고하영 (1983) 마늘 장기저장방법.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용문, 황재문, 이병일 (1992) 종구의 저장온도가 마늘의 수확중 품질과 파종후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과학회지 33(2):103-110 

  11. 배로나, 윤상돈, 안을균, 목일진, 임채일 (2002) 마늘 종구의 저장온도에 따른 생육 및 구비재의 품종간 차이. 원예과학기술지 20(2):95-99 

  12. 유오종, 이용훈, 진용덕, 김진배, 황세구, 한상현, 김장억 (2007) 마늘 저장 중 마름썩음병과 푸른곰팡이병 억제를 위한 농약의 살균활성, 농약과학회지 11(4):59-66 

  13. 식품의 농약 잔류호용기준, 2007, pp.69-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