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베타카로틴 함유 제제의 약효 연구 - 뷰티카로틴 제제에 대하여 -

Study on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Preparations Containing Beta-carotene - On $Beautycarotene^{TM}$ Preparations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preparations containing beta-carotene, $Beautycarotene^{TM}$. $Beautycarotene^{TM}$ increased the collagen synthesis in CCD-986sk cell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 vitro system. In addition, it enhanced the viability of murine thymocytes and the population of splenic $CD4^+$ cells. Also, it increased the phagocytic activity of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eautycarotene^{TM}$ can have a protective effect of skin via the diverse action, such as the stimulatory action of collagen synthesis, antioxidative action, tyrosinase inhibitory action and immune regulatory action.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뷰티카로틴의 경구용 피부보호 제로의 기능을 검토하고자 collagen 힙성능, 항산화작용, tyrosinase 활성 및 면역조절작용을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뷰티카로틴의 경구용 피부보호 제로의 기능을 검토하고자 collagen 힙성능, 항산화작용, tyrosinase 활성 및 면역조절작용을 측정하였다.

  • 이 결과는 뷰티카로틴이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뷰티카로틴에 함유된 베타카로틴 및 마리골드 추출물이 면역조절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뷰티카로틴이 생체의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보았다.

    억제하였다. 이 결과는 뷰티카로틴이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뷰티카로틴에 함유된 베타카로틴 및 마리골드 추출물이 면역조절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뷰티카로틴이 생체의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보았다. 뷰티카로틴을 투여하였을 때 흉선세포의 생존율은 Con A를 처리하지 않았을 때나 처리하였을 때 모두 증가하였으나, 비장세포의 생존율은 대조군과 별 차이가 없었다.

  • 이 결과는 뷰티카로틴이 생체에서 대식세포의 탐식 능을 증가 시켜 면역능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대식세포로부터 생성되는 lucigenin 가lemiluminescence 양을 측정한 결과, 뷰티카로틴을 투여하였을 때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뷰티카로틴이 생체에서 대식세포의 탐식 능을 증가 시켜 면역능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1. 이원택 외 역. Hole's human anatomy & physiology 9판. 정담, p 168, 2004 
  2. 2. Bauza, E., Oberto, G., Berghi, A., Dal, C.F., Domloge, N. Collagen-like peptide exhibits a remarkable antiwrinkle effect on the skin when topically applied: in vivo study. Int J Tissue React., 26(3-4):105-111, 2004 
  3. 3. O'Connor, I. and O'Brien, N. Modulation of UVA light-induced oxidative stress by beta-carotene, lutein and astaxanthin in cultured fibroblasts. J. Dermatol. Sci. 16: 226-230, 1998 
  4. 4. Chew, B.P., Park, J.S. Carotenoid action on the immune response. J. Nutr., 134(1):257S-261S, 2004 
  5. 5. Grassmann, J. Terpenoids as plant antioxidants. Vitam. Horm., 72: 505-535, 2005 
  6. 6. Muhling, J., Fuchs, M., Campos, M., Gonter, J., Sablotzki, A., Engel, J., Welters, I.D., Wolff, M., Matejec, R., Dehne, M.G., Menges, T., Krull, M., Hempelmann, G. Effects of ornithine on neutrophil (PMN) free amino acid and alpha-keto acid profiles and immune functions in vitro. Amino Acids., 27(3-4):313-319, 2004 
  7. 7. Marin, V.B., Rodriguez-Osiac, L., Schlessinger, L., Villegas, J., Lopez, M., Castillo-Duran, C. Controlled study of enteral arginine supplementation in burned children: impact on immunologic and metabolic status. Nutrition. 22(7-8):705-712, 2006 
  8. 8. Garner, S.T.Jr., Israel, B.J., Achmed, H., Capomacchia, A.C., Abney, T., Azadi, P. Transdermal permeability of N-acetyl-D-glucosamine. Pharm. Dev. Technol., 12(2):169-174, 2007 
  9. 9. Han, D., Kim, H.Y., Lee, H.J., Shim, I., Hahm, D.H. Wound healing activity of gamma-aminobutyric Acid (GABA) in rats. J. Microbiol. Biotechnol., 17(10):1661-1669, 2007 
  10. 10. Lee, E.H., Faulhaber, D., Hanson, K.M., Ding, W., Peters, S., Kodali, S. and Granstein, R.D. Dietry lutein reduces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inflammation and immuno- suppression. J. Invest. Dermatol., 122: 510-517, 2004 
  11. 11. Philips, N., Keller, T., Hendrix, C., Hamilton, S., Arena, R., Tuason, M., Gonzalez, S. Regulation of the extracellular matrix remodeling by lutein in dermal fibroblasts, melanoma cells, and ultraviolet radiation exposed fibroblasts. Arch. Dermatol. Res., 299(8):373-379, 2007 
  12. 12. Oikarinen, A., Autio, P., Kiistala, U., Risteli, L., Risteli, J. A new method to measure type I and III collagen synthesis in human skin in vivo: demonstration of decreased collagen systhesis after topcal glucocorticoid treatment. J. Invest. Dermatol., 98: 220-225, 1992 
  13. 13.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s. J. Agric. Food. Chem., 25: 103-107, 1977 
  14. 14. Wattasinghe, M., Shahidi, F. Scavenging of reactiveoxigen species and DPPH free radicals by extracts of borage and evenig primrose meals. Food chem., 70: 17-26, 2000 
  15. 15. Yagi, A., Kanbara, T. and Morinobu, N.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 3981: 517-519, 1986 
  16. 16. Wysocki, L.J. and Sato, V.L. Planning for lymphocytes: A method for cell selection. Proc. Natl. Acad. Sci. USA, 75: 2844, 1978 
  17. 17. Mizel, S.B., Openheim, J.J. and Rosensteich, D.L. Characterization of lymphocyte-activating factor(LAF) produced by the macrophage cell line P388D1. J. Immunol. 120: 1497, 1979 
  18. 18.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 1983 
  19. 19. Kotnic, V. and Fleischmann, W.R.Jr. A simple and rapid method to determine hematopoietic growth factor activity. J. Immunol. methods., 129: 23, 1990 
  20. 20. Suda, T. and Nagata, S.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Fas-ligand that induces apoptosis. J. Exp. Med. 179: 873-879, 1994 
  21. 21. Boudard, F., Vallot, N., Cabaner, C. and Bastide, M. Chemiluminenscence and nitrite determinations by the MALU macrophage cell line. J. Immunol. Methods, 174: 259, 1994 
  22. 22. Blair, A.L., Cree, I.A., Beck, J.S. and Hating, M.J.G. Measurement of phagocyte chemiluminenscence in a microtiter plate format. J. Immunol. Methods, 112: 163, 1988 
  23. 23.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Guideline for efficacy evaluation of functional cosmetics (II). 11-1470000-000863-01, 2005 
  24. 24. Braga, P.C., Dal Sasso, M., Culici, M., Spallino, A., Falchi, M., Bertelli, A., Morelli, R., Lo Scalzo, R. Antioxidant activity of Calendula officinalis extract: inhibitory effects on chemiluminescence of human neutrophil bursts and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Pharmacology. 83(6):348-355, 2009 
  25. 25.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n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Food Sci. Technol., 38: 128-134, 2006 
  26. 26. Lee, S.J., Park, D.W., Jang, H.G., Kim, C.Y., Park, Y.S., Kim, T.C., Heo, B.G. Total Phenol Content,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Pear Cut Branch Extract. Kor. J. Hort. Sci. Technol. 24(3):338-341, 2006 
  27. 27. Hwang, J.H., Lee, B.M. Inhibitory Effects of Plant Extracts on Tyrosinase, l-DOPA Oxidation, and Melanin Synthesis. J. Toxicol. Environ. Health. A. 70(5):393-407, 2007 
  28. 28. Korner, A., Pawelek J. Mammalian tyrosinase catalyzes three reactions in the biosynthesis of melanin. Science, 217: 1163-1165, 1982 
  29. 29. An, B.J., Cho, Y.J., Son, J.H., Pack, J.M. Lee, J.Y., Pack, T.S.Antioxidant effects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Extract of Prunus sargentii Rehder. J. Kor. Soc. Appl, Biol. Chem., 49(2):145-148, 2006 
  30. 30. Jeong, J.H., Wee, J.J., Shin, J.Y., Cho, J.H., Jung, D.H. Antioxidative effect of crude saponin fraction prepared from culture product of basidiomycota cultured with fresh ginseng as substr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7-72, 2005 
  31. 31. Kim, S.H., Kim, I.C.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Eucommiae cortex, Salviae miltiorrlhizae radix,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and Cnidii rhizom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4):618-623, 2008 
  32. 32. Miceli, M.C., Parnes, J.R. The role of CD4 and CD8 in T cell activation and differentiation. Advances in Immunology, 53: 59-63, 1993 
  33. 33. Breiheim, G., Stendahl, O. and Dahlgren, C. Intra- and extracellular events in luminol-dependent chemilulinescence of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Infect. Immun., 45: 1, 1984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KCI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