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동(自然銅)이 초기 골절 생쥐 정강이뼈의 Re-modeling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ministration of Pyritum on Fracture Healing in Mice 원문보기

大韓鍼灸學會誌=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v.26 no.5, 2009년, pp.65 - 75  

신경민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정찬영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황민섭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이승덕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김경호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김갑성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Pyrite is one of the important prescriptions that has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for healing of fracture. It is reasonable, therefore, to postulate that native copper affects the process of bone metabolism and bone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effect of P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消瘀血, 續筋骨하는 自然銅이 골절 초기 리모델링에 대해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기 위해 MG-63 세포를 이용하여 自然銅이 뼈 모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고 인위적으로 생쥐 정강이 뼈 골절을 유발한 후 골절부위 뼈 모세포의 형태적인 변화와 전염증 효소(MIF와 IL-6)의 변화를 면역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가설 설정

  • B : Activation of OPN in fractured tibia (arrow; L. OPN irnmunohistochemistry, x200; R enlargement of Box of L. photo, x1,0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서울 : 최신의학사. 1999 : 557, 568-71, 580-92. 

  2. 王燾. 外臺秘要. 서울 : 成輔社. 1975 : 7 49-50. 

  3.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 서울 : 군자출판사. 2005 : 197-202. 

  4. 김익동, 이수영, 김풍택, 박병철, 박희진. 경골골절의 지연 및 불유합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정형외과학회지. 1984 ; 19(1) : 157-64. 

  5. Perumal V, Roberts CS. (ii) Factors contributing to non-union of fractures. Current Orthopaedics. 2007 ; 21(4): 258-61. 

  6. 李挻. 新校 編註醫學入門. 서울 : 대성문화사. 1996 : 491, 630. 

  7. 趙倍. 聖濟總錄(7卷). 북경 : 人民衛生出版社. 1987 : 460-4. 

  8. 南京中醫學院. 諸病源候論校釋. 北京 : 人民衛生出版社. 1982 : 1026-8. 

  9. 孫思邈. 備急千金要方. 北京 : 人民衛生出版社. 1982 : 454-5. 

  10. 陳師文 等 編. 太平惠民和劑局方. 中國 : 旋風出版社. 1976 : 220-7. 

  11. 허준. 동의보감. 서울 : 법인문화사. 1999 : 1522, 1525, 2006. 

  12. 이한구, 정문상, 윤강섭. 한국 인삼이 골절치유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외과학회지. 1984 ; 19(3) : 483-91. 

  13. 김진호, 오승환. 동종골의 치유 과정에 홍화씨를 첨가한 히알루론산의 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치의학. 2003 ; 12(1) : 167-87. 

  14. 황태경, 오민석, 송태원. 加味身痛逐瘀湯이 흰 쥐의 골절 유합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한의학논문집. 1999 ; 8(1) : 727-38. 

  15. 염익환, 오민석, 송태원. 加味芎歸湯 및 加味芎歸湯加鹿茸이 흰 쥐의 골절 유합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한의학논문집. 1999 ; 8(1) : 675-87. 

  16. 손원택. 順氣活血湯이 흰 쥐의 골절 유합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99 ; 9(2) : 350-62. 

  17. 황지혜. 自然銅의 투여가 인체의 뼈모세포 활성과 생쥐 정강이뼈 골절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9 ; 26(2) : 159-70. 

  18. 설재욱, 김세진, 안혜림, 정일문, 신미숙, 장하정, 최진봉. 自然銅에 對한 文獻的 考察.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6 ; 14 : 82-104. 

  19. 이홍초. 동의광물학. 부산 :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8 : 296-308. 

  20. 李時珍. 校訂本 本草綱目. 서울 : 의성당. 1993 : 466-8. 

  21. 吳儀洛. 本草從新. 서울 : 행림출판. 1989 : 203. 

  22. 黃宮繡. 本草求眞. 台北 : 宏業書局有限公司. 1975 : 244. 

  23. Sha Yin, Liu Guodong, Lan Wenzneng, Liu Pingsheng, Zhang Peiqun, Lin Han, Wen Xiaoheng. Study on the changes of metal elemental contents in whole blood and bone during fracture healing.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B. 1996 : 358-61. 

  24. 국윤범. 自然銅(산골)의 품질표준화 및 ?製 전후의 성분 비교. 대한본초학회지. 2003 ; 18(1) : 21-31. 

  25. 민평기, 서영배. 自然銅의 수치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한의학논문집. 2001 ; 10(1) : 47-53. 

  26. 최호영, 김기동, 우경하. 自然銅 포제의 규격화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1999 ; 14(1) : 29-35. 

  27. 최호영. 시판되는 自然銅 및 ?自然銅의 기원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1999 ; 14(1) : 23-7. 

  28. 윤혜경, 노영수. 藥用 自然銅 중 金屬元素의 흰 쥐에서의 相互作用에 관한 연구. 경희대 약대논문집. 1985 ; 18 : 105-22. 

  29. 대한병리학회. 병리학. 서울 : 고문사. 2000 : 1015-7. 

  30. Morand EF. New therapeutic target in inflammatory disease :macrophagemigration inhibitory factor. J Internal Medicine. 2003 ; 35 : 419-26. 

  31. Abe R, Shimizu T, Ohkawara A, Nishihira J. Enhancement of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MIF) expression in injured epidermis and cultured fibroblasts. Biochim Biophys Acta. 2000 ; 1500(1) : 1-9. 

  32. Mitchell RA, Metz CN, Peng T, Bucala R. Sustaine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cytoplasmic phospholipase A2 activation by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MIF). Regulatory role in cell proliferation and glucocorticoid action. J Biol Chem. 1999 ; 274(25) : 18100-6. 

  33. Lacey D, Sampey A, Mitchell R, Bucala R, Santos L, Leech M, Morand E. Control of fibroblast-like synoviocyte proliferation by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Arthritis Rheum. 2003 ; 48(1) : 103-9. 

  34. Onodera S, Nishihira J, Iwabuchi K, Koyama Y, Yoshida K, Tanaka S, Minami A.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up-regulates matrix metalloproteinase-9 and -13 in rat osteoblasts. Relevance to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J Biol Chem. 2002 ; 277(10) : 7865-74. 

  35. Carlene T, Luis AD, Nora GS, Lan LL, Anita HK, Raj M, Brian JN, Leslie JC, David AF. Responsiveness of Human T Lymphocytes to Bacterial superantigens presented by cultured Rheumatoid Arthritis Synoviocytes, Am College Rheumto. 1996 ; 39(1) : 125-36. 

  36. Tamiyo K, Taejoon C, Toshimi A, Masashi Y, Nasser N, Dana G, Louis C, Thomas A. Exppression of osteoprotegerin, receptor activator of NF-kB ligand (osteoprotegerin ligand) and related proinflammatory cytokines during fracture healing. J Bone & Mineral Research. 2001 ; 16(6) : 1004-14. 

  37. Muneaki I, Yoichi E, Kunikazu T, Susan RR, Hisashi K, David TD, Mitsuru E, Akira N and Masaki N. Osteopontin is associated with nuclear factor $\kappa$ B gene expression during tail-suspension-induced bone loss. Experimental Cell Research. 2006 ; 312(16) : 3075-83. 

  38. Rousseau F, Saugier P, Le Merrer M, Munnich A, Delezoide AL, Maroteaux P, Bonaventure J, Narcy J and Sanak M. Stop codon FGFR3 mutations in thanatophoric dwarfism type 1. Nat Genet. 1995 ; 10 : 11-2. 

  39. Weizmann S, Tong A, Reich A, Genina O, Yayon O and Monsonego-Ornan E. FGF upregulates osteopontin in epiphyseal growth plate chondrocytes: Implications for endochondral ossification. Matrix Biology. 2005 ; 24(8) : 520-9. 

  40. Gordjestani M, Dermaut L, De Ridder L, Thierens H, De Waele P, De Leersnijder WW and Bosman F. Osteopontin and bone metabolism: a histology and scintigraphy study in rats.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2005 ; 34(7) : 794-9. 

  41. Kasugai S, Todescan R, Nagata T, Yao KL, Butler WT and Sadek J. Expression of bone matrix proteins associated with mineralized tissue formation by adult rat bone marrow cells in vitro: inductive effects or dexamethasone on the osteoblast phenotype. J Cell Physiol. 2003 ; 147 : 111-20. 

  42. Muneaki I, Yoichi E, Kunikazu T, Susan RR, Hisashi K, David TD, Mitsuru E, Akira N and Masaki N. Osteopontin is associated with nuclear factor $\kappa$ B gene expression during tail-suspension-induced bone loss. Experimental Cell Research. 2006 ; 312(16) : 3075-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