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esame, Black Sesame, Perilla and Olive Oil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3, 2009년, pp.280 - 286  

김은주 (한경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식품생물산업연구소) ,  황성연 (한경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식품생물산업연구소) ,  손종연 (한경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식품생물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참기름, 흑참 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수율은 각각 0.94%, 0.70%, 0.48% 및 0.30%로 참기름의 경우, 추출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올리브유의 경우 가장 낮았다.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7%, 1.9%, 3.0% 및 1.4%이었고, 총 페놀 함량은 각각 6.5%, 4.5%, 4.1% 및 10.1%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참기름> 올리브유> 들기름> 흑참기름 추출물의 순으로, 참기름 추출물이 가장 강한 효과를 보였다.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의 SOD 유사활성은 1,000 ppm일 때 0.1%, 36.2%, 34.5% 및 31.0%, 5,000 ppm일 때 0.2%, 67.2%, 90.2% 및 46.7%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올리브유 추출물의 순으로, 참기름 추출물이 가장 강했다. 올리브유 추출물의 경우 B. cereus, M. luteus, E. coli, S. Enteritidis 모두에서 강한 항균효과를 보인 반면, 흑참기름 추출물의 경우는 M. luteus와 E. coli에서만 약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한편 참기름 및 들기름 추출물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sesame, black sesame, perilla and olive oil extracts. Total flavonoid contents of sesame, black sesame, perilla and olive oil extracts were 2.7, 1.9, 3.0 and 1.4%, respectively, while total phenol contents were 6.5, 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들 성분들의 생리활성은 추출방법이나 조건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일조건에서 80% 메탄올로 추출한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항균활성 등을 측정하여 이들의 전반적인 생리적 활성의 차이를 상대적으로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수율은 각각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본 연구에서는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수율은 각각 0.94%, 0.70%, 0.48% 및 0.30%로 참기름의 경우, 추출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올리브유의 경우 가장 낮았다.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7%, 1.9%, 3.0% 및 1.4%이었고, 총 페놀 함량은 각각 6.5%, 4.5%, 4.1% 및 10.1%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참기름> 올리브유> 들기름> 흑참기름 추출물의 순으로, 참기름 추출물이 가장 강한 효과를 보였다.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및 올리브유의 SOD 유사활성은 1,000 ppm일 때 0.1%, 36.2%, 34.5% 및 31.0%, 5,000 ppm일 때 0.2%, 67.2%, 90.2% 및 46.7%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올리브유 추출물의 순으로, 참기름 추출물이 가장 강했다. 올리브유 추출물의 경우 B. cereus, M. luteus, E. coli, S. Enteritidis 모두에서 강한 항균효과를 보인 반면, 흑참기름 추출물의 경우는 M. luteus와 E. coli에서만 약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한편 참기름 및 들기름 추출물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올리브유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올리브유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로는 oleuropein, hydrotyrosol, catechin, caffeic acid, vanillic acid, vanillin, tyrosol, luteolin-7-glucoside, verbascoside, luteolin, diosmetin-7-glucoside, apigenin-7-glucoside, rutin, diosmetin 등과 같은 페놀성 화합물들이 있다(9,10). 또한 올리브유에 함유되어 있는 β-carotene은 빛의 filtering 효과로 일중항 산소를 제거하여 지질산화 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2).
lignan 화합물의 효능은? 일반적으로 lignan 화합물의 함량은 흰참깨에 비하여 흑참깨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 α-tocopherol과 polyphenol류 등의 여러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이들 lignan 화합물들은 체내에서 간 해독 작용 촉진, 과산화지질 생성억제, 저밀도 리포 단백질 산화억제, 장내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 및 당뇨개선 작용 등의 다양한 생체조절기능도 갖고 있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Fukuda Y, Osawa T, Namiki M, Ozaki T. 1985. Studies on antioxidantive substance in sesame seed. Agric Biol Chem 49: 301-306 

  2. Shahidi F, Amarowixz R, Abou-Gharbia HA, Shehata AA. 1997. Endogenous antioxidants and stability of sesame oil as affected by processing and storage. J Am Oil Chem Soc 74: 143-148 

  3. Fukuda Y. 1990.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oil. Food Science Japan 32: 11-13 

  4. Wu WH. 2007. The content of lignans in commercial sesame oils of Taiwan and their changes during heating. Food Chem 104: 341-344 

  5. Katsuzaki H, Kawasumi M, Kawakishi S, Osawa T. 1992. Structure of novel antioxidantive lignan glucosides isolated from sesame seed. Biosci Biotech Biochem 56: 2087-2088 

  6. Hwang SZ, Ko YS. 1982.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edible oils and fats - Part 5: Analysis of fatty acids in sesame and perilla oil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BiochemNet 15: 15-21 

  7. Kang MH, Kawai Y, Naito M, Osawa T. 1999. Dietary defatted sesame flour decreases susceptibility to oxidative stress in hypercholesterolemic rabbits. J Nutr 129: 1885-1890 

  8. Hirata F, Fujita K, Ishikura Y, Hosoda K, Oshikawa T, Nakamura H. 1996.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sesame lignan in humans. Atherosclerosis 122: 135-136 

  9. Brenes M, Garcia A, Carcia P, Rios JJ, Garrido A. 1999. Phenolic compounds in Spanish olive oil. J Agric Food Chem 47: 3535-3540 

  10. Tasioula-Margari M, Okogeri O. 200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irgin olive oil phenolic compounds by HPLC/UV and GC/MS. J Food Sci 66: 530-534 

  11. Fakourelis N, Lee EC, Min DB. 1987. Effects of chlorophyll and $\beta$ -carotene on the oxidation stability of olive oil. J Food Sci 52: 234-235 

  12. Endo Y, Usuki R, Kaneda T. 1984. Prooxidants activities of chlorophyll and their decomposition products on the photo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J Am Oil Chem Soc 61: 781-784 

  13.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4. Teresa-Satue M, Huang SW, Frankel EN. 1995. Effect of natural antioxidants in virgin olive oil on oxidative stability of refined, bleached and deodorized olive oil. J Am Oil Chem Soc 72: 1131-1137 

  1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6. Iio M, Moriyama A, Matsumoto Y, Takai N, Fukumoto M. 1985.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flavonoids. Agric Biol Chem 49: 2173-2182 

  17. Gray JI, Dugan J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5 

  18. Kim MS, Lee DC, Hong JE, Chang KS, Cho HY, Kwon YK, Kim HY. 2000.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and Indonesian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49-958 

  19. SAS. 1987. SAS/STAT guide for personal computer. version 6th ed. SAS Institute Inc., Cary, North Carolina. p 60 

  20. Shin KA. 1997. Antioxidative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oils from perilla seeds roasted for different time.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21. Kang DW. 2003. Oxidation stability and synergistic effect of lignan compound extracted from sesame oil. MS Thesis. HanKyong University 

  22. Moon JS. 2005. The oxidation stability of virgin and pure olive oil on autoxidation and thermal oxidation. MS Thesis. HanKyong University. p 21 

  23. Benavente-Garcia O, Castillo J, Lorente J, Ortuno A, Del Rio JA. 2000.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ics extracted from Olea europaea L. leaves. Food Chem 68: 457-462 

  24. Skerget M, Kotnik P, Hadolin M, Hras AR, Simonic M, Knez Z. 2005. Phenols, proanthocyanidins, flavones and flavonols in some plant material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Food Chem 89: 191-198 

  25. Kim JH, Kim JK, Kang WW, Ha YS, Choi, SW, Moon KD. 2003. Chemical composition and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in different section of safflow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33-738 

  26. Ahn CY. 1991.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black sesame seed. MS Thesis. Jeonnam National University. p 77 

  27. Lee OH. 2005. Analysis of food compound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olive leaf. Ph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8. Kim SM, Cho YS. 2001. The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waste resource extracts (sesame meal, Korean tangrin peal, crab shell). J Life Reso & Indus 5: 1-8 

  29. Chung EJ, Lee YC. 1998. Effects of dietary fatty acids and vitamin E on rat brain antioxidant system & mineral concentrations. Yonsei Journal of Human Ecology 12: 18-22 

  30.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31. Calliste CA, Trouilla P, Allais DP, Simon A, Duroux JL. 2001.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measured by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scopy and B16 cell antiproliferative behaviors of seven plants. J Agric Food Chem 49: 3321-3327 

  32. Kim HK, Choi YJ, Kim KH. 2002. Functional activitie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13-1017 

  33. Lee-Huang S, Zhang L, Huang PL, Chang YT, Huang PL. 2003. Anti-Hiv activity of olive leaf extract (OLE) and modulation of host cell gene expression by HIV-1 infection and OLE treatment. Biochem Biophys Res Commun 307: 1029-1037 

  34. Benavenete-Gastillo O, Castillo J, Lorente J, Alcaraz M. 2002. Radioprotective effects in vivo of phenolics extracted from Olea europaea L. leaves against X-ray-induced chromosomal damage: comparative study versus several flavonoids and sulfur-containing compounds. J Med Food 5: 125-135 

  35. Khayyal MT, El-Ghazaly MA, Abdallah DM, Nassar NN, Okpanyi SN, Kreuter MH. 2002.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of an olive leaf extract (Olea europaea) in L-NAME induced hypertension in rats. Arzneimittelforschung 52: 797-8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