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계측결과를 이용한 강거더연속교의 횡방향 활하중 분배계수에 대한 연구
Verification of Lateral Live Load Distribution Factors for Continuous Steel Girder Bridges Based on Diagnostic Testing Results 원문보기

구조물진단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v.13 no.4 = no.56, 2009년, pp.180 - 187  

엄준식 (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재하 실험을 통해 교량설계기준에 규정되어 있는 횡방향 활하중 분배계수에 대해 연속교에 대해 적응이 가능한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기존의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해석적인 연구에서 설계기준에 규정되어 있는 횡방향 분배계수가 매우 보수적이며 정모멘트구역과 부모멘트 구역에서 활하중의 분배 형태는 유사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재하실험을 통해 변형율을 계측하고 유한요소해석의 결과와 비교해 본 결과, 대부분의 경우 실험에서 얻어진 변형율이 해석 결과보다 작았다. 특히 이상적인 조건을 가정하고 행해진 구조해석 결과는 상대적으로 외측 거더에 작용한 휨모멘트를 과다 평가하였으며 따라서 구조해석 결과에서 얻어진 횡방향분배계수는 계측결과와 비교해 볼 때 보수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결과 또한 1개의 교량의 부모멘트구역에서 AASHTO LRFD에서 규정한 값을 초과하는 횡방향분배계수가 계측되었다. 따라서 AASHTO LRFD를 이용하여 연속거더교의 각 거더에 작용하는 활하중 모멘트 산정시에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반해 AASHTO Standard 식은 재하실험 결과 예외 없이 매우 보수적임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code-specified girder distribution factors (GDF) for continuous steel girder bridges by field testing. Previous analytical study revealed that current GDF's specified in AASHTO Standard and AASHTO LRFD, developed for the simple span bridges are conse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예를 들어 교량 받침의 부식 등의 이유로 의도하지 않은 마찰이 발생하거나 비구조적 요소, 예를 들어 난간이나 보도 등이 구조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의 구조해석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현실적인 제약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Bakht외 1992; Eamon외 2005).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해석적 연구대상(엄 2005)이었던 미국 미시간주 소재 5개의 교량 중 3개를 선정하여 직접 활하중을 재하 하여 현장 실험 및 계측을 하였으며 그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정모멘트 구역에 대한 활하중 분배계수를 부모멘트 지역에 사용하여도 큰 문제가 없는 지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단순교에 사용되는 시방서 규정 활하중 분배계수가 연속거더교에도 사용이 가능한 지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과거의 연구 (엄준식 2005)은 5개의 공용중인 연속 교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그 결과 연속 교에서 정 모멘트 구역과 부모멘트 구역에서의 활하중 분배 형태가 유사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 기존의 연구 (엄준식 2005)에서는 5개의 강거더 연속교에 대해 3 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횡방향 분배계수의 검증이 이루어 졌다. 이 논문에서는 이 연구에서 얻어진 해석 결과가 과연 실제에서 얻어진 결과와 잘 부합하는지를 검증하고 그 결과에 따른 활하중 분배계수를 규정값과 비교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이 연구 대상으로 사용된 5개의 교량 중 3개 교량을 선정하여 재하실험을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대상 연속교에 대해 기존의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검증하고 보다 정확하고 현실적인 교량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현장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휨모멘트에 대한 횡방향 분배계수를 계산하기 위하여 변형율 계측을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각 대상 교량에 대해 각각 정모멘트와 부모멘트 지역을구분하여 Fig.
  • 이 연구에서는 현재의 교량설계기준에서 규정하는 횡방향 분배계수가 적절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 중인 3개의 강거더 연속교를 선정하여 실험을 통해 이에 대한 검증을 하려 한다. 기존의 연구 (엄준식 2005)에서는 5개의 강거더 연속교에 대해 3 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횡방향 분배계수의 검증이 이루어 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엄준식, "강거더 연속교의 횡방향 활하중 분배계수 검증", 한국구조물진단학회지, 제9권 제3호, 2005, pp.195-202 

  2. 도로교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2005 

  3. Bakht, B., and Jaeger, L.G. (1992), "Ultimate Load Test of Slab-on-Girder Bridge".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 118, No 6, 1992, pp. 1608-1624 

  4. Eamon, C.D. and Nowak, A.S., "Effect of Edge-Stiffening and Diaphragms on Reliability of Bridge Girders", ASCE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Vol. 10, No. 2, March/April 2005, pp. 206-214 

  5. Eom, J. and Nowak, A.S., "Live Load Distribution for Steel Girder Bridges", ASCE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Vol. 6, No. 6, 2001, pp. 489-497 

  6. Ghosn, M., Moses, F., and Gobieski, J., "Evaluation of Steel Bridges Using In-Service Testing".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072, TRB, Washington, D.C., 1986, pp. 71-78 

  7. Lichtenstein, A.G. (1993) "Bridge Rating Through Nondestructive Load Testing", NCHRP report No. 12-28(13)A, June 1993 

  8. Schultz J.L., Commander B., Goble G.G., Frangpol D.M. (1995), "Efficient Field Testing and Load Rating of Short and Medium Span Bridges", Structural Engineering Review, Vol. 7, No 3, 1995, pp. 181-194 

  9.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Washington, D.C., 2008 

  10. AASHTO Standard Specifications for Highway Bridges,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 Washington, D.C.,04 

  11. Newmark, N.M. (1948). "Design of I-beam Bridges". Highway Bridge Floor Symposium, ASCE Journal of Structures Division, Vol. 24, No. 2, 1948, pp. 141-161 

  12. Sanders, W.W., and Elleby, H.A. (1970). Distributions of Wheel loads on Highway Bridges. National Cooperative Highway Research Program Report 83,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1970 

  13. Stallings, J.M., and Yoo, C.H., "Tests and Ratings of Short-Span Steel Bridge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 119, No. 7, 1993, pp. 2150-2168 

  14. Zokaie, T., Osterkamp, T.A., and Imbsen, R.A., "Distribution of Wheel Loads on Highway Bridges", NCHRP Report 12-26,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