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육아품앗이 사업 실천사례
A Case Study on Communal Child Care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7 no.6 = no.102, 2009년, pp.189 - 201  

차성란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a communal child care project that would lead towards a more family friendly community. By reviewing the case of the Daejeon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the study revealed that many child care providers showed an interest in co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육아품앗이란 무엇인가? 한편 지난 2008년 말 3개월의 짧은 기간이지만 건강가정지원센터는 공동육아품앗이 사업을 10개 센터에서 시범적으로 실시하였다. 공동육아품앗이는 지역의 주민들이 자발성과 주체성을 가지고 지역사회의 네트워크 형성이라는 일종의 지역 자원을 개발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성공적인 마을만들기 사례들을 통해 볼 때, 주민 네트워크는 자발성을 지닐 때 오랜 기간 유지될 수 있는 지속성을 지니지만, 네트워크 형성기에 민간단체의 동기부여 및 행정지원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건강가정기본법 제 35조에는 무엇을 규정하고 있는가? 건강가정기본법 제 35조에는 전국 시군구에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설치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기존의 가족복지 관련 기관들이 이미 설치, 운영 중임에도 불구하고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설치를 의무화한 것은 사회 내 가족문제발생에 대한 정부의 대응방식이 변화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공동육아품앗이가 교육운동, 지역운동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여지가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셋째, 교육운동, 지역운동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여지가 많다. 가족주의나 지나친 모자애착관계, 경쟁적이며 강박적인 자녀교육방식에서 벗어나 지역주민들과 소통하는 근대적 인간형, 사회적 생산성을 지니는 가족으로 재탄생하기 때문이다. 즉 나와 가족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과 사회가 함께 삶의 질을 누리는 방향으로의 의식과 행동 전환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공동육아연구원(2009).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소개서. 미간행 

  2. 김정희(2000). 핵가족 어머니 육아와 품앗이 공동육아: 중간계층 어머니와 아이의 체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16(1호), 95-129 

  3. 김주현(2000). 보육의 가족연대적 접근에 관한 연구: 공동육아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4. 류경희.김순옥(2000). 공동육아협동조합의 대안적 가족형태로서의 가능성 탐색.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2), 119-151 

  5. 류경희.김순옥(2001 a) 공동육아협동조합 가족의 공동체성 형성과정-조합형 어린이집 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대한 가정학회지, 39(3), 107-133 

  6. 류경희.김순옥(2001 b). 공동육아 협동조합의 참여를 통한 이웃과 가족관계의 변화. 대한가정학회지, 39(11), 193-208 

  7. 보건복지가족부(2009 a). 2009년도 가족품앗이 사업 운영 계획. 보건복지가족부 

  8. 보건복지가족부(2009 b).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안내. 보건복지가족부 

  9. 삶의질향상기획단(2003). 생산적 복지:복지패러다임의 대전환. 대통령비서실 

  10. 여성가족부(2006).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현황 및 계획. 국무회의 보고자료 

  11. 이부미(2000). 공동육아 문화의 교육적 해석. 유아교육학논집, 4(1), 131-150 

  12. 정병호(1992). 사회문화적 환경변화와 바람직한 공동육아-인류학적 시각. 우리아이들의 보육을 걱정하는 모임 편. 21세기와 영유아보육. 서울:한울 

  13. 조형(1994). 공동육아란 무엇인가. 공동육아연구회 편. 함께 크는 우리 아이. 서울: 또하나의 문화 

  14.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9). 운영가이드북.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15. 한국여성개발원(1998).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6. 행정자치부(2006).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모델 유형화 및 공모 방안 수립연구 

  17. 대전일보(2009). 엄마표 품앗이 교육에 아이들 '쑥쑥'- 해찬이와 4명의 '펀펀차일드'. 2009. 3. 24. 17면 

  18. 품앗이파워. www.pumpa.co.kr 

  19. 2030대전맘들. cafe.daum.net/2030daejonma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