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유산균용 발현벡터 pSJE6c 개발과 이를 이용한 외래 유전자 발현
Development of pSJE6c, an Expression Vector for Kimchi Lactic Acid Bacteria, and Heterologous Gene Expression Using the Vector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7 no.4, 2009년, pp.389 - 398  

이강욱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  박지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  이지연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  이황아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  백창운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  조현덕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  김주연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  권건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원) ,  천지연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정환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김치에서 분리한 Leu. mesenteroides SY2 유래 pFMBL1 을 바탕으로 구축한 셔틀벡터인, pSJE[7]를 외래유전자 발현에 적합하게 개량한 발현벡터를 구축하였다. Lactococcus lactis LM0230에서 분리한 프로모터 P6C를 pSJE에 도입하였다. P6C 염기서열을 지닌 oligonucleotide 쌍을 따로 제조한 후 annealing을 통해 짧은 DNA 단편을 얻어서 제한효소 처리후 pSJE에 도입하여 pSJE6c를 구축하였다. PSJE6c 효능 검증을 위해서 외래 유전자인 aga와 lacZ를 각각 pSJE6c에 도입하였다. P6C 프로모터와 비교를 위해 고유 프로모터를 지닌 유전자들도 각각 pSJE에 도입하였다. 재조합 plasmid들을 electroporation 방법으로 Lactobacillus brevis 2.14 균주에 도입하고 재조합균주들의 생육곡선과 효소역가 그리고 slot blot으로 전사체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보면 PSJE6c에 클로닝 된 유전자들이 pSJE상의 유전자보다 효소역가들이 약 1.5배에서 2배 정도로 높았다. 전사체 농도 측정 결과도 pSJE6c 들에서 더 많은 전사체가 생성됨을 보여주었다. 이상 결과들은 효율적인 발현벡터들의 사용을 통해서 김치유산균에서 외래유전자 발현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velopment of expression vectors is important for the basic and applied researches on kimchi LAB (lactic acid bacteria). An expression vector, pSJE6c was constructed by inserting P6C promoter sequence from Lactococcus lactis into pSJE, a shuttle vector for E. coli and Leuconostoc species. To tes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각각의 유전자를 지닌 재조합균주들에 대한 효소역가 측정 및 전사체 농도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pSJE6c는 pSJE 보다 외래유전자 발현에 적합함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보고한다.
  • 5 내지 2배 정도 더 높았고 이는 6가지 탄소원 모두에서 확인할수 있었다. 이 결과는 aga 고유 promoter보다는 P6C promoter가 aga 유전자 발현에 더욱 적합함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강력한 promoter를 지닌 발현벡터 구축의 필요성을 확인시켜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용 발현 벡터와 분비 벡터를 이용한 김치유산균주 개량은 어떤 이점이 있는가? 식품용 발현벡터나 분비벡터를 이용한 김치유산균주 개량은 장기적으로 볼 때 우수한 종균 확보뿐만 아니라 식용에 안전한 김치 유산균의 산업적 활용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이다. 즉, 효율적인 외래 유전자 발현을 통해 유산균에서 경제적 가치가 큰 유용물질들을 생산할 수 있다.
프로모터 P6C가 강력한 프로모터라는 것을 알 수 있었던 실험 결과는? cremoris LM0230에서 유래한 프로모터 P6C[6]를 발현벡터 제조에 사용하였다. P6C는 강력한 promoter임이 reporter gene을 이용한 서울대의 실험결과 확인되었고, 그 실험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조구로서 흔히 유산균주의 외래 유전자 발현에 많이 쓰이는 발현벡터인 pMG36e를 프로모터 세기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어졌고, 이는 유산균주에서 강력하게 작동하는 P32라는 프로모터를 가진 벡터로서 P6C 와 P32를 비교하였을 때 약 3배정도 높은 프로모터 세기를 나타내었다[6]. 이러한 P6C 프로모터를 이전에 본 연구실에서 개발된 유산균용 셔틀벡터 pSJE[7]에 도입함으로써 발현 벡터인 pSJE6c를 구축하였다.
P6C는 어디에서 유래된 프로모터인가? 본 연구에서는 김치유산균인 Lactococcus lactis ssp. cremoris LM0230에서 유래한 프로모터 P6C[6]를 발현벡터 제조에 사용하였다. P6C는 강력한 promoter임이 reporter gene을 이용한 서울대의 실험결과 확인되었고, 그 실험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조구로서 흔히 유산균주의 외래 유전자 발현에 많이 쓰이는 발현벡터인 pMG36e를 프로모터 세기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어졌고, 이는 유산균주에서 강력하게 작동하는 P32라는 프로모터를 가진 벡터로서 P6C 와 P32를 비교하였을 때 약 3배정도 높은 프로모터 세기를 나타내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xelsson, L., A. Holck, S.-E. Birkrland, T. Aukrust, and H. Blom. 1993.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 of a gene from Lactobacillus sake Lb706 necessary for sakacin A production and immunity. Appl. Environ. Microbiol. 59:2868-2875 

  2. Berthier, F., M. Zagorec, M. Champomier-Verges, S. D. Ehrlich, and F. Morel-Devile. 1996. Efficient transformation of Lactobacillus sake by electroporation. Microbiology (Reading) 142: 1273-1279 

  3. Church, F. C., S. P. Meyers, and V. R. Srinivasan. 1980.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enes of alpha-galactosidase from Pichia guilliermondii. p. 339-348. In L. A. Underkofler and M. L. Wulf (eds.), Developments in Industrial Microbiology, Vol. 21. Lubrecht & Cramer 

  4. Dower, W. J., J. F. Miller, and C. W. Ragsdale. 1988. High efficiency transformation of E. coli by high voltage electroporation. Nucleic Acids Res. 16: 6127-6145 

  5. Han, E. Y. and Y. H. Kye. 2005. Market status of kimchi and management strategy. Proceeding of 2005 General Meeting of Korea Distribution Association. 11: 105-121 

  6. Jeong, D. W., Y. C. Choi, J. M. Lee, J. H. Kim, J. H. Lee, K. H. Kim, and H. J. Lee.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moters from Lactococcus lactis ssp. cremoris LM0230. Food Microbiol. 23: 82-89 

  7. Jeong, S.-J., J.-Y. Park, H. J. Lee, and J. H. Kim. 2007. Characterization of pFMBL1, a small cryptic plasmid isolated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SY2. Plasmid. 57:314-323 

  8. Kim, J. H., J.-Y. Park, S-J. Jeong, J. Chun, J. H. Lee, D. K. Chung, and J. H. Kim. 2005. Characterization of the $\alpha$ - galactosidase gene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SY1. J. Microbiol. Biotechnol. 15: 800-808 

  9. Labrie, S., C. Bart, C. vadeboncoeur, and S. Moineau. 2005. Use of an $\alpha$ -galactosidase gene as a food-grade selection marker for Streptococcus thermophilus. J. Dairy Sci. 88: 2341-2347 

  10. Lee, J. M., D. K. Chung, J. H. Park, W. K. Lee, H. C. Chang, J. H. Kim, and H. J. Lee. 1997.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 of the $\beta$ -galactosidase gene from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ATCC7962. Biotechnol. Lett. 19: 179-183 

  11. Lee, K. W., J. Y. Park, J-.Y. Park, J. Y. Chun, and J. H. Kim. 2008. Expression of $\alpha$ -galactosidase gene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SY1 in Lactobacillus brevis 2.14. Food Sci. Biotechnol. 17: 1115-1118 

  12. Lee, K. W., J. Y. Park, G. M. Kim, G..- H. Kwon, J.-Y. Park, M.- R. Lee, J. Chun, and J. H. Kim. 2008. Expression of $\alpha$ - amylase gen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in Lactobacillus brevis 2.14. J. Food Sci. Nutr. 13: 190-195 

  13. Miller, J. M. 2007. Experiments in molecular genetics.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Y., USA 

  14. Park, R. J., J. M. Lee, H. C. Chang, D. K. Chung, J.-H. Lee, H. J. Lee, and J. H. Kim. 2000. Expression of $\beta$ -Galactosidase gene of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ATCC7962 in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MG1363. J. Food Sci. Nutr. 5:153-1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